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거래되는 생우(Live Cattle) 선물 가격이 7월 18일(금) 세션에서 일제히 약세로 마감했다. 각 월물은 0.12달러에서 최대 0.70달러까지 하락했으나, 주간 기준으로 8월물은 1.35달러 상승 폭을 지키며 전주 대비 우위를 유지했다.
2025년 7월 2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예비 미결제약정(open interest)은 하루 전보다 2,335계약 줄어 롱 포지션 청산(long liquidation) 움직임이 관측됐다. 이는 투자자들이 일부 수익을 실현하며 포지션을 축소했음을 시사한다.
현물(cash) 거래는 전반적으로 한산했으나 캔자스(KS) 지역에서 230~231달러/cwt, 북부 지역에서는 240~242달러/cwt 수준에서 체결되며 가격 방어력을 확인했다.
같은 날 비육우(Feeder Cattle) 선물은 1~1.50달러 하락했다. 8월물은 주간 기준 1.32달러 내려 소폭 조정받았다. CME 비육우 지수(CME Feeder Cattle Index)는 7월 17일 11센트 오른 322.28달러/cwt로 집계돼 현물 시장 강세가 일부 유지됐다.
투자 심리 지표Commitment of Traders 보고서에 따르면, 7월 15일 기준 매니지드 머니(managed money)는 비육우 선물·옵션 순매수 포지션을 사상 최대치인 37,569계약(전주 대비 79계약 증가)으로 소폭 늘렸다. 같은 기간 생우 순매수는 4,063계약 추가돼 132,486계약으로 확대됐다.
Commitment of Traders(COT) 보고서는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매주 공개하는 포지션 통계로, 헤지펀드·연기금 등 대형 투기세력의 매매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핵심 자료다.
미 농무부(USDA) 도매 박스비프(Boxed Beef) 가격은 혼조세를 보였다. 7월 18일 오후 기준 초이스(Choice) 박스 가격은 0.27달러 오른 375달러/cwt, 셀렉트(Select)는 2.35달러 내린 351.49달러/cwt로 집계됐다.
USDA는 지난주 도축 두수가 56만3,000두로 전주 대비 5,000두, 전년 동기 대비 26,374두 감소했다고 추정했다. 공급 감소가 진행되고 있으나 현물가격은 견조함을 유지하고 있다.
📈 선물 종가 요약(7월 18일)
생우 선물
• 2025년 8월물 : 223.550달러(−0.125)
• 2025년 10월물 : 219.825달러(−0.500)
• 2025년 12월물 : 219.800달러(−0.700)
비육우 선물
• 2025년 8월물 : 324.000달러(−1.000)
• 2025년 9월물 : 324.200달러(−1.225)
• 2025년 10월물 : 322.300달러(−1.375)
전문가 해설 : 최근 매니지드 머니의 순매수 확대는 대형투자자들이 중장기적인 공급 타이트닝과 소비 회복에 베팅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계절적 수요 둔화와 기술적 과열 부담이 혼재해 가격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커졌다. 투자자들은 COT 지표와 미결제약정 추이를 면밀히 관찰하면서 포트폴리오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
용어 설명초심자 참고 : Live Cattle은 사육 후 도축 직전의 비육우를, Feeder Cattle은 체중 약 300~800파운드(136~363㎏)의 송아지를 의미한다. 전자는 도축·가공 단계, 후자는 사육·비육 단계에서 가격이 결정되므로 수급 구조와 가격 동인이 다르다.
Austin Schroeder는 본 기사 작성일 기준으로 언급된 증권에 직·간접적인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자문을 구성하지 않는다. 자세한 사항은 바차트(Barchart) 공시 정책을 참고할 수 있다.
본 기사에 담긴 견해는 작성자의 개인 의견일 뿐이며, 반드시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