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22일 최진식의 미국 매크로 분석 – 관세 경고음 속 실적 허들, 단기 변곡점은 어디인가

서두 요약

뉴욕증시는 역사적 고점권에서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지난주 0.01~0.32% 수준의 미미한 조정 이후, 이번 주에는 (1) 빅테크 실적, (2) 8월 1일 관세 데드라인, (3) 연준 의사록‧위원 발언이라는 세 개의 단기 트리거가 동시다발적으로 다가온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의 ‘30% 베이스라인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시장은 슈퍼포지션(重ね合わせ) 리스크—실적 피크를 통과한 밸류에이션 부담+무역 불확실성—에 직면하게 된다.


1. 최근 시장 상황 및 핵심 이슈

  • 지수 레벨 : S&P500 5,589P, 나스닥100 20,592P, 다우 40,369P — 모두 전고점 대비 0.4~1.5% 이내.
  • 수급 : QQQ, SPY, VOO 등 패시브 ETF로 저점 매수 유입 지속. 그러나 선물‧옵션 공매도 잔고도 동시에 증가.
    ⇒ 헤지와 투기성 롱‧숏 포지션이 혼재하는 ‘역풍 대비형’ 포지셔닝
  • 관세 리스크 : 8월 1일 EU, 멕시코, 캐나다, 구리 등 관세 폭탄 시진핑式 ‘빈틈 공략’ 가능성 — 금융시장 Tail Risk 가격 재계산 중.
  • 실적 시즌 : 지금까지 발표한 S&P500 기업 86%가 EPS 서프라이즈. 이번 주 알파벳·테슬라·IBM·코카콜라·치폴레 집중.

2. 거시 데이터 체크

지표 최근 발표치 시장 컨센서스 모멘텀
6월 주택착공 132.1만 건(+4.6%) 130만 건 완만한 개선
7월 미시간 소비자심리 61.8 60.5 심리 안정
1Y 기대 인플레 4.4% 4.6% 둔화
10Y 국채금리 4.43% 4주래 최고

해석: 하드데이터(주택)와 소프트데이터(심리) 모두 R-의혹(침체)을 부정. 동시에 인플레이션 기대는 안정을 찾아 “연준 9월 소폭 인하→12월 동결” 시나리오가 베이스라인이 됐다.


3. 섹터별 단기 기상도

① 빅테크 & AI 인프라

알파벳·IBM·MS는 GPU/클라우드 CAPEX를 40~60% YoY 확대. 데이터센터 REIT·GPU 공급망(AMD, AVGO) 동반 강세 예상.

단기 리스크: 실적이 컨센 대비 1~2%p만 빗나가도 알파벳·MS 시총이 워낙 커서 지수 변동 폭이 기하급수적으로 확대.

② 소비 안정주 & 퀀트 관심주

핀터레스트 모건스탠리 → Overweight, 인베스코(IVZ) TD 코웬 → Buy. 두 종목 모두 ‘밸류 재평가 + 구조적 모멘텀’이 겹친다는 공통점. 자금 흐름이 퀄리티·캐시플로우 팩터로 이동.

③ 자동차 & 산업재

스텔란티스 27억 달러 순손실 가이던스 — 관세 직격탄. 테슬라는 매출 -20%에도 ‘로보택시 이벤트’ 기대감으로 숏 커버 추세. 자동차 업종 변동성 확대 → 옵션 스프레드 전략 유효.


4. 관세 시나리오별 1주일 로드맵

시나리오 발표(8/1) 단기 시장 반응(3~5영업일) 투자 아이디어
① 관세 전격 연기 서한 보류 V자 반등, 달러 약세, 성장주 재랠리 **TQQQ**(나스닥3배), **SOXL**(반도체3배)
② 15~20% 완화 타협안 공표 지그재그, IT↘ 방어주↗ 시클리컬 롱, 헬스케어·유틸 숏 커버
③ 30% 강행 (베이스) 원안 관철 지수 -3~5%, VIX 20% 급등 VIX 롱, SQQQ 숏, 금(GLD) 매수

==> 현재 옵션 시장은 시나리오②에 55%, 시나리오③에 35%, 시나리오①에 10% 확률을 Price-in.


5. 기술적 트리거: S&P500 일간 차트

  • 4,430~4,450선 : 20일선 & 상승 추세선 교차 — 단기 핵심 지지
  • 4,535 : 50일선, 이탈 시 모멘텀 펀드 자동 감산
  • 4,630 : 역사적 고점(종가 기준) — 돌파 시 숏 스퀴즈 ↑

S&P500 chart mock

MACD는 ‘베어리시 디커플링’ 직전, RSI 58→55로 하향 — 더블탑 우려가 커도, 4,450 깨지지 않으면 “지그재그 상승” 가능.


6. 결론 및 전략 제언

요약하면 ① 실적 피크 & ② 관세 데드라인의 ‘쌍봉(雙峰) 리스크’가 주간 변동성을 결정한다.

  • 코어 포지션 : 마켓 뉴트럴(β≈0) 유지. S&P 롱 60% + 마진콜 헤지(VIXf·SDS) 40%.
  • 테마 트레이드 : 핀터레스트·톤체크(PANW·CRWD)·AI 인프라 ETF(XLI+SMH) 롱 / 유럽 완성차 ETF(VGK Auto) 숏.
  • 이벤트 헤지 : 관세 발표 전주 금요일 S&P 풋스프레드(4,450/4,350) 8월물 매입 — 프리미엄 대비 베가효과 우수.

투자자들은 “숫자보다 가이던스”에 집중해야 한다. 알파벳과 테슬라 콜에서 각 사의 AI CAPEX 트랙·로보택시 구체 일정이 긍정적으로 제시되면, 관세 충격이 있더라도 나스닥 주도 반등 가능성은 살아 있다.


최진식의 마무리 한 줄

단기 변곡점일수록 속도보다 탄력이 중요하다. 지수의 한 틱보다 내 포트폴리오의 모멘텀 벡터를 먼저 점검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