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를 부인하며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해임설에 다시 불을 지폈다.
2025년 7월 20일, CNBC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WSJ는 18일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가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파월 의장 해임을 말렸다고 전했다. 베센트 장관은 파월 의장을 임기 종료 전 해임할 경우 “경제·금융시장의 부정적 반응”과 “전례 없는 법적·정치적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는 것이다.
WSJ는 사안에 정통한 복수의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내년 봄 임기가 끝나기 전에 의장을 교체하면 중앙은행의 독립성 문제가 법정 공방으로 번질 수 있다“는 베센트 장관의 우려를 보도했다. 그는 또 올해 중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굳이 해임까지 갈 필요가 없다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의 SNS 플랫폼 ‘트루스소셜(Truth Social)’에 글을 올려 “전형적으로 사실이 아니다“라며 WSJ 기사를 일축했다. 그는 “
나는 누구보다 시장과 미국에 무엇이 좋은지 잘 안다. 사람들이 나에게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그들에게 설명한다!
“고 반박했다.
베센트 vs. 친(親)트럼프 진영의 난색
베센트 장관의 신중론은 최근 파월 의장에 대한 백악관·공화당 인사들의 공세가 거세지는 가운데 나왔다. 특히 러셀 보다(Russell Vought) 백악관 예산관리국(OMB) 국장은 연준 본부 건물 25억 달러(약 3조4,000억 원) 규모의 리노베이션 예산 초과를 근거로 “파월 의장이 연준을 심각하게 오도(誤導)했다”고 비난했다.
보다 국장은 추가 질의서를 보내 공사비 산정, 입찰 과정 등을 따졌고, 파월 의장은 이번 주 서한으로 “
연준 이사회는 모든 의사결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국민에 책임을 지는 것이 최우선 과제다
“라고 답변했다.
전례 없는 ‘해임 카드’가 낳을 법적 쟁점
연방준비제도 의장을 임기 중 해임한 사례는 미국 역사상 전무하다. 파월 의장을 강제로 물러나게 할 경우 의회·법원·금융시장이 동시에 출렁일 가능성이 크다. CNBC는 전문가 발언을 인용해 “사법부 최종심까지 가면 연준 독립성의 헌법적 근거가 시험대에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럼프 vs. 머독, 또 다른 전선
트럼프 전 대통령은 WSJ 기사 직후 뉴스코퍼레이션 창업주 루퍼트 머독과 자회사 등을 상대로 100억 달러 이상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WSJ가 17일자 기사에서 그가 과거 지인 제프리 엡스타인의 50세 생일에 보낸 ‘외설적 편지’를 소개한 데 따른 맞대응이다.
트럼프 측은 머독, 뉴스코프, 다우존스, WSJ 기자 2명을 피고로 지목했다. 재무부와 백악관은 CNBC의 논평 요청에 답하지 않았다.
참고: 잘 알려지지 않은 용어 설명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은 트럼프 미디어 & 테크놀로지 그룹이 운영하는 자체 SNS 플랫폼으로, 그는 주요 입장 발표 창구로 활용한다.
OMB(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는 미국 행정관리예산국으로, 행정부 예산 편성과 연방 규제 평가를 담당한다.
취재·분석
현재 시장은 연준의 9월 혹은 12월 금리 인하를 기정사실로 반영하고 있다. 만약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선 전후 파월 해임을 강행한다면, 달러화와 국채금리 변동성, 그리고 중앙은행 독립성에 대한 국제적 신뢰도가 압박받을 수 있다. 반면 파월 체제 유지 시에는 연준이 물가 안정과 성장 둔화 사이에서 보다 완충적인 스탠스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결국 관전 포인트는 트럼프 캠프 내부에서 베센트 장관의 온건론이 얼마나 설득력을 얻느냐에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