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리디아(Validea)가 제공하는 ‘구루(guru) 펀더멘털 보고서’는 유명 투자 대가들의 공개 전략을 기준으로 개별 종목의 내재 가치를 평가한다. 이번 보고서는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icron Technology Inc., 종목코드 MU)를 마틴 츠바이크(Martin Zweig)의 성장 투자(Growth Investor) 모델에 대입하여 분석한 결과를 다룬다. 해당 모델은 지속적인 매출·이익 성장, 합리적인 밸류에이션, 낮은 부채 비율을 동시에 갖춘 종목을 선별하는 것이 특징이다.
2025년 7월 20일, 나스닥닷컴(Nasdaq.com)의 보도에 따르면 MU는 반도체 업종의 대형 성장주로 분류되며, 츠바이크 모델로 산출한 종합 점수는 62%다. 일반적으로 80% 이상이면 모델이 관심을 두기 시작하고, 90% 이상이면 강력 매수 후보로 간주되지만, 현재 점수는 이러한 기준에 못 미쳐 ‘부분 관심’ 단계로 평가된다.
평가 항목별 세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가수익비율(P/E) 항목은 FAIL, 매출 증가 대비 주당순이익(EPS) 증가는 PASS, 분기별 매출 증가율은 PASS로 나타났다. 이어 현 분기 실적(PASS)과 전년 동기 실적(FAIL), 저부채 구조(PASS), 내부자 거래 추세(PASS) 등 총 13개 세부 테스트 가운데 8개가 ‘통과’ 판정을 받았다.
주요 체크리스트
P/E RATIO: FAIL
REVENUE GROWTH IN RELATION TO EPS GROWTH: PASS
SALES GROWTH RATE: PASS
CURRENT QUARTER EARNINGS: PASS
QUARTERLY EARNINGS ONE YEAR AGO: FAIL
POSITIVE EARNINGS GROWTH RATE FOR CURRENT QUARTER: PASS
EARNINGS GROWTH RATE FOR THE PAST SEVERAL QUARTERS: PASS
EPS GROWTH FOR CURRENT QUARTER > PRIOR 3 QUARTERS: PASS
EPS GROWTH FOR CURRENT QUARTER > HISTORICAL GROWTH RATE: PASS
EARNINGS PERSISTENCE: FAIL
LONG-TERM EPS GROWTH: FAIL
TOTAL DEBT/EQUITY RATIO: PASS
INSIDER TRANSACTIONS: PASS
밸리디아는 MU에 대한 구루 분석 보고서, 펀더멘털 분석 보고서 등 추가 자료 링크를 제시하며, 투자자들이 세부 데이터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마틴 츠바이크는 15년간 뉴스레터 수익률이 연평균 15.9%를 기록해 훌버트 파이낸셜 다이제스트(Hulbert Financial Digest)로부터 리스크 조정 수익률 1위로 평가받은 인물이다. 그는 뉴욕 맨해튼 피에르 호텔 꼭대기에 위치한 7,000만 달러(약 938억 원) 상당의 펜트하우스를 보유했으며, 영화 ‘더티 해리’에 사용된 권총, 코모도어 밴더빌트가 서명한 주식증서, 그리고 어린 시절 주유소에서 보았던 빈티지 연료펌프 등 희귀 컬렉션으로도 유명하다.
밸리디아 측은 또한 나스닥 100 상위 종목, 기술주 상위 종목, 대형 성장주, 고모멘텀 종목 등 다양한 스크리닝 결과를 제공해 투자 판단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Validea(밸리디아)는 워런 버핏, 벤저민 그레이엄, 피터 린치, 마틴 츠바이크 등 장기적으로 시장을 웃도는 수익률을 기록한 ‘투자 구루’들의 전략을 모델 포트폴리오로 구현하는 리서치 회사다. 개별 종목 분석뿐 아니라 전략별 모형 포트폴리오를 통해 데이터 중심의 의사결정을 돕는 점이 특징이다.
■ 용어 해설
구루 전략(Guru Strategy)은 유명 투자자의 공개 투자 원칙을 정량화·모형화한 시스템이다. 성장 투자(Growth Investor)는 매출과 이익이 가속적으로 늘어나는 기업을 선호하며, 인사이더 트랜잭션(Insider Transactions)은 경영진 또는 주요 주주의 자사주 매매 동향을 말한다. 이 지표가 긍정적이면 내부 관계자가 기업 가치를 높게 본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한편, 기사 말미에 “본 문서에 포함된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의 것이며 나스닥 의견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고지가 포함돼 있다. 이는 통상적인 법적 면책 조항으로, 외부 기고 형태의 리포트에서 자주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