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약세, 월러 연준 이사 금리 인하 지지 발언
2025년 7월 1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달러 인덱스(DXY)는 전장 대비 -0.24%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다. 전날 저녁 크리스토퍼 월러(Christopher Waller)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이사가 “7월 29~3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25bp(0.25%p) 기준금리 인하를 지지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힌 것이 결정적이었다.
인플레이션 기대치 둔화 역시 달러 약세를 부추겼다. 이날 발표된 미시간대 7월 1년 기대 인플레이션 지표는 전월 5.0%에서 4.4%로, 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5~10년 기대 인플레이션 역시 3.9%에서 3.6%로 떨어졌다.
주택·소비 지표는 예상 상회
달러의 하락폭은 주택 지표 호조로 제한됐다. 6월 주택 착공 건수는 전월 대비 4.6% 증가한 132만 1,000건으로 시장 예상치(130만 건)를 웃돌았다. 건축 허가도 0.2% 증가해 139만 7,000건을 기록, 예상치였던 0.5% 감소 전망을 뒤집었다.
같은 날 발표된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1.1포인트 상승한 61.8로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견조한 소비 여건은 달러에 일부 지지력을 제공했다.
월러 이사 발언 전문
“인플레이션이 목표치 근처로 내려왔고 상방 위험이 크지 않은 만큼, 우리는 노동시장이 본격적으로 둔화되기 전에 선제적으로 금리를 내리는 것이 합리적이다. 2주 뒤 열리는 FOMC에서 25bp 인하를 단행하는 방안이 타당하다.”
이에 따라 연방기금선물(Fed Funds Futures) 시장은 7월 회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5%로, 9월 16~17일 회의에서는 58%로 반영 중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카드 재부상
무역 변수도 시장 심리를 압박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150여 개국에 최대 15%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서한을 8월 1일자로 보낼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국과 교역 규모가 크지 않은 국가들’을 겨냥한다는 설명이지만, 글로벌 교역 긴장 고조는 안전자산 선호로 이어져 금·은 가격에 상승 압력을 줬다.
유로·엔 동향
같은 날 유로/달러(EUR/USD) 환율은 달러 약세 영향으로 +0.20% 상승했다. 다만 유로존 5월 건설 생산이 전월 대비 1.7% 감소하며 2년 반 만에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고, 독일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도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1.3% y/y)으로 떨어져 상승폭은 제한됐다. 금융타임스(FT)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EU와의 무역협상에서도 15~20% ‘최저 관세율’을 고수하고 있다고 전했다.
엔/달러(USD/JPY) 환율은 0.11% 상승(엔 약세)했다. 일본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집권 자민당(LDP) 의석 감소 우려와 여야의 현금 지원·감세 공약이 재정 악화 가능성을 키우며 엔화 매도가 우세했다. 다만 6월 일본 CPI(식료·에너지 제외)가 전년 동월 대비 3.4% 올라 17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 일본은행(BOJ)의 정책 정상화 기대도 일부 부각됐다.
귀금속 시장
8월물 금 선물은 +0.39%(13달러) 오른 1, after close, 9월물 은 선물은 +0.42%(0.161달러) 상승했다. 달러 약세와 국채 금리 하락이 금·은 가격을 지지했으며, 월러 이사의 비둘기파적(통화 완화 선호) 발언과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위협이 안전자산 수요를 강화했다.
주요 용어 해설
달러 인덱스(Dollar Index·DXY)는 유로, 엔, 파운드,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나, 스위스 프랑 등 6개 통화 바스켓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다. FOMC는 미 연준 내 통화정책 결정 기구로, 연 8회 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베이시스포인트(bp)는 0.01%포인트를 의미한다.
기자 해설 및 전망
금리 경로에 대한 월러 이사의 명확한 메시지는 다른 FOMC 위원들의 기류 변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시장은 여전히 7월 인하 가능성을 낮게 보지만, 소비·고용 지표가 추가로 둔화될 경우 9월 인하 시나리오에 무게가 실릴 전망이다. 반면 주택·소비 지표가 예상보다 강한 흐름을 유지한다면 연준이 ‘인내’를 택할 여지도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