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앞두고 옥수수 선물가 강세

시카고 상품거래소(CBOT) 옥수수 선물 가격이 금요일(현지시간) ‘레임덕 세션’에서도 4~7.75센트 상승하며 한 주를 긍정적으로 마감했다. 이번 주 7일간 강우 예보(QPF)에 따르면 서부 중서부(WCB·Western Corn Belt) 남단의 누적 강수량은 최대 1인치(약 25㎜) 미만, 동부 중서부(ECB·Eastern Corn Belt)는 미미한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2025년 7월 19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미국 농무부(USDA)가 6월 27일 주간에 집계한 옥수수 수출 판매(Export Sales)는 구곡(old crop) 35만7,152톤으로, 전주 대비 34.1% 감소하며 12주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시장 예상치(50만~90만 톤)를 하회했으며, 주요 구매자는 ‘미확정(Unknown)’ 13만8,400톤, 콜롬비아 7만8,800톤이었다.

같은 기간 신곡(new crop) 판매량31만1,538톤으로, 예상 범위(0~40만 톤) 상단에 근접했다. 이 중 멕시코향 물량이 30만1,800톤을 차지했다.

브라질 경제부 무역통계 기준 6월 옥수수 수출은 85만892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17.74% 감소했다. 수확 시기 차이와 내수 물류 병목 현상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주요 월물·현물 가격(7월 18일 종가)
• Jul 24 옥수수: $4.11¼(+7.75¢)
• Sep 24 옥수수: $4.10½(+5.0¢)
• Dec 24 옥수수: $4.24(+4.5¢)
• 근월 현물가: $3.97¼(+5.25¢)
• 신곡 현물가: $3.85⅝(+4.75¢)

QPF(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는 24시간~7일간 예상 강수량을 mm 또는 인치 단위로 제시하는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산하 기상 모델이다. WCB와 ECB는 미국 옥수수 주산지를 동서로 구분한 용어로, 작황(作況)과 가격 변동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로 활용된다.

이번 주 옥수수 시장 반등은 △미 약세 달러로 인한 해외 수요 기대 △북반구 고온·건조 우려 △브라질 수출 둔화 등 공급 변수의 동시 등장에 힘입은 측면이 크다. 다만 미국 내 구곡 재고 부담과 중국 수입 수요 둔화 가능성은 상방을 제한할 수 있다.

기사 작성자 Alan Brugler는 본 기사에서 언급된 증권에 직접·간접적으로 보유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용이며, 투자 자문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Barchart Disclosure Policy 참조)

시장 전문가들은 4.20달러 선을 중심으로 기술적 저항이 형성돼 있다고 진단한다. 향후 7월 말 USDA 작황 보고서와 8월 WASDE(세계농산물수급전망) 결과가 추세 전환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