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6월 단독주택 착공·허가 동반 급락…고금리·무역 불확실성 충격

[주택 시장 주요 지표 악화] 미국 상무부 산하 인구조사국이 6월 단독주택 착공 건수가 전월 대비 4.6% 감소한 연율 88만3,000채로 집계됐다고 19일(현지 시각) 밝혔다. 단독주택 착공은 전체 주택 건설에서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핵심 지표로, 이번 감소 폭은 시장 예상치를 넘어섰다.

2025년 7월 18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같은 달 단독주택 건축 허가*향후 착공 의향을 보여 주는 선행 지표도 3.7% 줄어든 86만6,000건으로 내려앉았다. 이는 고착화된 30년 만기 고정형 모기지 금리가 연초 이후 7% 선을 밑도는 수준에서만 등락한 데다, 경제 불확실성이 겹친 결과다.

“높은 금리와 무역정책 불확실성은 주택 구매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으며, 그 여파로 주택 신축 시장이 다시 한 번 뒷걸음질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같이 진단한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광범위한 수입 관세 정책이 물가 상승 압력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의식해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하를 멈춘 점이 부담으로 작용했다.

경제 지표와 관세 정책의 상호작용도 뚜렷하다. 6월 소비자·생산자물가 지수(CPI·PPI)는 일부 품목에서 관세 효과가 이미 가격 상승으로 전가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는 멕시코·일본·캐나다·브라질·EU 등지에서 들여오는 수입품에 대해 8월 1일부터 추가 관세를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앞서 4월에는 거의 모든 수입품에 10% 관세를 부과한 뒤, 각국에 90일 협상기간을 줬다.

관세와 재정 악화 우려는 미 국채 수익률을 끌어올려 모기지 금리를 추가 압박했다. 프레디맥(Freddie Mac·OTC:FMCC) 자료에 따르면, 30년 고정 모기지 평균 금리는 올해 줄곧 7% 수준을 맴돌고 있다.

건설업계 체감경기도 한층 악화됐다. 전미주택건설협회(NAHB)의 7월 설문조사에서 할인 분양에 나선 건설사 비중이 2022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수요 부진으로 재고가 2007년 말 이후 최대치에 근접한 만큼, 신규 착공을 미루는 건설사가 늘고 있다.

미국 국내총생산(GDP)에서 주거 투자(주택 건설·개보수 등)는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성장률을 억누르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소비·고용 지표 호조와 달리 경기 둔화 위험이 상존함을 시사한다.

단어·개념 설명
단독주택 착공(Single-family Housing Starts)은 한 가구가 거주하도록 설계된 주택의 신축 공사가 실제로 시작된 건수를 의미한다. 통상 건축 허가(Permits) 지표가 1~2개월 선행성을 띠며, 착공 지표는 건설업 경기와 민간 고정투자 흐름을 가늠하는 핵심 변수로 활용된다.

전문가 관전 포인트
첫째, 관세가 물가에 미칠 추가적인 상방 압력이 연준의 통화정책 경로를 바꿀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모기지 금리가 7%선 위로 재차 상승한다면 주택수요 위축이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셋째, 재고가 이미 2007년 고점과 유사한 수준에 도달해 있어, 향후 주택 가격 조정 압력도 배제할 수 없다.


시장·정책 전망
향후 몇 분기 동안 주택 시장 부진이 이어진다면, 연방정부는 세제 지원 확대나 주택금융 지원책을 검토할 여지가 있다. 다만 관세로 비롯된 인플레이션 압력을 고려하면 통화·재정 공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본 기사는 2025년 7월 18일 12시 45분 34초(미 동부 기준)에 게재된 로이터 통신 원문을 번역·재구성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