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브런, 가이아나 해상 유전 분쟁 중재에서 엑손에 완승…530억 달러 헷스 인수 ‘청신호’

셰브런(Chevron)국제상업회의소(ICC) 중재에서 엑손모빌(Exxon Mobil)을 제치고 승소함에 따라 남미 가이아나 해상 유전 자산을 둘러싼 분쟁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번 결정은 530억 달러(약 71조 원) 규모 헷스 코퍼레이션(Hess Corporation) 인수를 사실상 확정 짓는 것이어서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 큰 파장을 예고한다.

2025년 7월 18일, CNBC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ICC 중재 판정부는 엑손모빌과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가 주장한 ‘우선매수권(right of first refusal)’을 인정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셰브런은 헷스의 가이아나 스테이브록 블록(Stabroek Block) 지분을 그대로 인수할 수 있게 됐다.

가이아나 유전 관련 이미지

헷스는 스테이브록 블록에서 3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엑손모빌이 45%, CNOOC가 25%를 각각 보유한다. 엑손모빌과 CNOOC는 “본계약 체결 시 기존 파트너에게 같은 조건으로 먼저 매수할 권리를 부여해야 한다”는 조항을 근거로 헷스 매각을 제동해 왔다. 그러나 ICC는 이 조항을 헷스와 셰브런의 합병에 적용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ICC 판정부는 “계약상 우선매수권이 헷스의 경영권 전체를 매각하는 M&A 상황에까지 확장될 수 없으며, 개별 자산 양수도에만 한정된다”는 취지로 판정했다.

시장 반응도 즉각적이었다. 판정 소식이 전해지자 셰브런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약 3% 급등했다. 그동안 불확실성 탓에 주가가 눌려 있던 셰브런 투자자들에게는 숨통이 트인 셈이다. 반대로, 승소 가능성을 믿고 헷스 인수 저지를 시도했던 엑손모빌은 동일 시간대 별다른 주가 반등을 보이지 못했다.

헷스 인수 의미와 전망
셰브런이 헷스를 품으면 스테이브록 블록 개발 참여를 통해 하루 수십만 배럴의 저원가 원유를 추가 확보할 수 있다. 특히 가이아나 유전은 생산단가가 배럴당 10달러 안팎으로 알려져 있어, 고유가 국면에서 막대한 현금창출원이 될 것이라는 평가가 우세하다.

스테이브록 블록은 2015년 첫 발견 이후 110억 배럴 이상의 추정 매장량이 확인된 초대형 유전 지대다. 향후 10년간 가이아나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석유 생산 성장 국가로 부상할 전망이다. 이번 인수로 셰브런은 기존 걸프만·미국 셰일 자산에 더해 남미 전략 거점을 확보하게 된다.

전문가 해설
ICC(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는 파리 본부를 둔 국제 민간 기구로, 상사 분쟁 중재에 전 세계적 권위를 가진다. 우선매수권(right of first refusal)은 주주가 지분 매각 시 기존 파트너에게 같은 조건으로 먼저 살 기회를 주겠다는 약속이다. 이번 판정은 합병·인수(M&A)단순 자산 거래를 구분해 해석한 대표적 사례로 기록될 가능성이 높다.


셰브런·엑손 경쟁 구도
지난해 말부터 가열된 양사의 공방은 업계에서 ‘메이저 간 M&A 방어전’으로 불렸다. 엑손모빌은 자사 최대 생산기지 중 하나가 될 스테이브록 블록 지분 희석을 막기 위해 중재를 택했으나, 결과적으로 막대한 법적 비용과 시간만 소모했다는 평가다.

반면, 셰브런은 “중재 결과와 무관하게 헷스 인수합병은 성사될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실제로 ICC 판정 직후 발표한 공식 성명에서 셰브런은 “우리는 모든 규제 승인 절차를 조속히 마무리하고 헷스 주주들과의 합병을 완료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셰브런 로고

향후 일정
셰브런은 이미 미국·EU·가이아나 당국으로부터 대부분의 규제 승인을 확보했다. 이번 중재 승소로 2025년 연내 헷스 인수를 마무리할 수 있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다만, 엑손모빌이 중재 판정에 대한 법적 재검토를 시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신중론도 나온다.

결론적으로, ICC의 판정은 셰브런이 가이아나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는 동시에 글로벌 석유 시장의 세력 지형도를 바꿀 수 있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시장 참여자들은 원유 공급 구조 변화, 국제유가 파동, 그리고 탈탄소 전략과의 접점을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