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기대치 하회·소비심리 지표 대기…미 선물지수 상승세

Investing.com 발 — 18일(금) 미국 증시 지수선물이 동반 상승하며 전일 강세 흐름을 연장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월가 관계자들이 전했다.

2025년 7월 18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03시51분(미 동부시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 선물은 64포인트(0.1%) 올랐고, S&P 500 선물은 8포인트(0.1%), 나스닥100 선물은 27포인트(0.1%) 각각 상승 중이다.

전일 정규장에서 뉴욕 3대 지수는 양호한 2분기 기업 실적과 완만한 성장세에 대한 기대를 바탕으로 일제히 올랐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고 있다는 우려가 남아 있지만, 최근 발표된 지표들은 미국 경제가 예상보다 견조함을 시사했다.


관세 여파와 경제 전망

일부 이코노미스트들은 관세가 생산비·소비자 물가를 동시에 끌어올려 경기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러나 영국 경제조사기관 캐피털 이코노믹스는 투자노트에서 “궁극적으로 부과될 관세가 경기침체를 유발하진 않을 것”이라며 “다만 성장세 둔화는 불가피하다”라고 평가했다.

“Our base case remains that the tariffs ultimately imposed will not cause a recession — though we expect growth to slow,” — Capital Economics.


넷플릭스 2분기 실적

시간외 거래에서 넷플릭스(NASDAQ:NFLX) 주가는 장중 소폭 하락했다. 넷플릭스는 희대의 화제작 ‘오징어 게임’ 마지막 시즌 흥행 덕분에 주당순이익(EPS)희석 기준 7.19달러(시장 예상치 7.08달러)를 기록했으나, ‘완벽’을 가격에 반영한 월가의 높은 눈높이를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평가다.

넷플릭스는 광고주 유치를 위해 라이브 이벤트 등 신규 포맷을 도입하며 시청자 기반 다변화를 추진 중이다. 이를 근거로 올해 매출 가이던스를 종전 445억 달러에서 448억~452억 달러로 상향했지만, 달러 약세라는 ‘저품질 요인’이 실적 개선을 뒷받침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인베스팅닷컴 애널리스트 토머스 몬테이로는 “새 가이던스는 오히려 보수적으로 느껴진다”면서 “프리미엄 밸류에이션을 정당화하기엔 부족하다”고 분석했다. 넷플릭스 주가는 연초 대비 43% 상승해 스트리밍 업계 지배력 강화 기대를 반영 중이다.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발표 대기

시장 참가자들은 금일 미시간대학교가 발표할 7월 소비자심리지수에 주목하고 있다. 컨센서스는 전월 대비 소폭 상승을 예상하며, 1년 인플레이션 기대치는 5% 부근에서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ING는 보고서에서 “민주·공화 응답자 간 물가 전망 격차가 뚜렷하다”고 설명했다. 앞서 발표된 6월 소매판매와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모두 예상을 웃돌아 미국 소비 및 고용시장의 탄탄함을 시사했다.


연준 월러 이사, ‘7월 금리 인하’ 주장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전일 연설에서 “경제 위험이 커지고 있어 7월 29~30일 FOMC에서 0.25%p 인하가 타당하다”고 밝혔다. 그는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은 일시적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는 ‘더 빠른 완화’를 촉구하는 트럼프 대통령과 ‘신중론’을 유지하는 제롬 파월 의장 사이에서 절충점을 찾으려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연준은 현재 ‘데이터 의존적 접근’을 강조하며 공을 경제지표로 돌리고 있다.


비트코인, 美 하원 ‘암호화폐 3법’ 통과에 강세 지속

암호화폐 비트코인은 아시아 장에서 한때 12만 달러를 재돌파하며 4주 연속 주간 상승을 향해 가고 있다. 03시52분 현재 1.1% 오른 119,583.3달러에 거래됐다.

주요 요인은 미국 하원암호화폐 규제 틀을 마련하기 위해 3개 법안을 가결한 것이다. 특히 ‘GENIUS 법’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가 고품질 달러화 등가 자산을 보유하고 정기 감사Audit를 받도록 의무화하며 연방·주 감독체계를 동시에 구축한다.

또한 CLARITY 법안은 디지털 토큰이 SEC(증권거래위원회) 또는 CFTC(상품선물거래위원회) 관할에 해당하는지를 명확히 구분하도록 했다. Anti-CBDC Surveillance State 법안은 미 연준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를 의회 승인 없이 발행하지 못하도록 제한한다.


용어·배경 설명

스테이블코인: 달러 등 법정통화 가치에 페깅(Pegging)돼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한 암호화폐.
CBDC: 중앙은행이 직접 발행·유통을 관리하는 디지털 법정통화로, 거래 추적 가능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FOMC: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통화정책 결정 기구.
소매판매 지표: 미국 내 소비지출 추세를 가늠하는 핵심 경기선행지표.

이 같은 배경지식을 이해하면 관세·통화정책·디지털 자산 규제가 서로 얽혀 금융시장 전반에 어떤 파급효과를 미칠지 가늠하는 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