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제지표 호조에 달러 지수 3주 반 만에 최고치 기록

달러 강세가 다시 한 번 뚜렷해졌다. 18일(현지시간) 뉴욕 외환시장에서 달러 인덱스(DXY)는 전일 대비 0.29% 상승하며 3주 반 만의 최고치로 올라섰다.

2025년 7월 18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예상 밖으로 감소했고, 6월 소매판매가 시장 전망을 상회하면서 달러화가 전반적으로 매수 우위를 나타냈다. 이러한 지표 호조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를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달러 인덱스 그래프


1. 핵심 경제지표 동향

•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22만1,000건으로 3개월 만의 최저치를 기록, 시장 예상치(23만3,000건)를 크게 하회했다.
• 6월 소매판매: 전월 대비 0.6% 증가해 예상치(0.1%)를 상회, 자동차를 제외한 소매판매도 0.5% 증가하며 탄탄한 소비 여력을 입증했다.
• 7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 15.9로 5개월 만의 최고치에 올라 예상치(-1.0)를 크게 웃돌았다.
• 6월 수입물가(석유 제외): 전월 대비 변동 없음으로 시장 기대(0.2% 상승)보다 약했다.

이 밖에 주택시장 체감지표인 7월 전미주택건설업협회(NAHB) 주택시장지수는 33으로 전월 대비 1포인트 상승하며 예상치와 일치했다.


2. 연준 인사 발언이 환시장에 미친 영향

“물가가 다시 가속되는 조짐을 고려할 때 당분간 금리를 동결하는 것이 적절하다.” — 페드 거버너 쿠글러(Kugler)

쿠글러 거버너의 매파적(more hawkish) 발언은 달러 매수세를 추가 자극했다. 반면, 샌프란시스코 연은의 메리 데일리(Mary Daly) 총재는 올해 두 차례(25bp씩) 금리 인하 가능성을 재확인하며 “2% 목표에 도달할 때까지 기다리면 오히려 경제에 불필요한 상처를 줄 수 있다”고 지적해 시장의 달러 강세를 일부 되돌렸다.


3. 글로벌 무역·정책 이슈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전날 밤 150여 개국에 10~15%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서한을 8월 1일부로 발송하겠다고 예고했다. 이는 대선 레토릭 강화로 해석되며 무역 긴장 재점화 우려를 낳았다. 한편, 윌리엄 러트닉(상무부 장관 대행)은 “엔비디아(Nvidia)와 AMD가 중국에 저사양 AI 칩을 재판매할 수 있도록 허용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는 미·중 간 ‘빅딜’ 협상을 위한 수순으로 해석되고 있다.

유로/달러 차트


4. 주요 통화별 흐름

유로/달러(EUR/USD)는 달러 강세 영향으로 0.40% 하락, 3주 반 만의 최저치를 찍었다. 안토니오 타야니 이탈리아 부총리는 “유로화가 너무 강하다”며 ECB의 추가 금리 인하 필요성을 언급, 유로 약세에 기름을 부었다.

달러/엔(USD/JPY) 환율은 0.51% 상승했다. 일요일 참의원 선거에서 자민당(LDP)이 과반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와 각 당의 현금 지급·감세 공약이 재정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전망이 엔화에 부담을 줬다. 동시에 미 국채 수익률 상승이 엔 약세를 확대했다.


5. 원자재 시장 동향

금 선물 차트

8월물 금 선물은 온스당 13.80달러(0.41%) 하락하며 1주 반 만의 저점으로 밀렸다. 달러 강세와 위험자산(주식) 선호 심리 회복이 금 가격을 압박했다. 반면, 9월물 은 선물0.48% 상승해 안전자산 수요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음을 시사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규모 관세 발언과 연준 내 엇갈린 메시지를 주목하며, 향후 금·은 가격 변동성 확대에 대비하고 있다. ETF 내 금 보유량이 2년 만의 최고치라는 점도 귀금속 하단을 지지하는 재료로 꼽힌다.


6. 연방기금선물과 금리전망

시카고상품거래소(CME) 연방기금선물(Fed Funds Futures) 시장은 7월 29~30일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 3%로 미미하게 반영했고, 9월 16~17일 회의에서는 58%로 확률을 높게 본다. 이는 데일리 총재의 완화적 메시지와 쿠글러 거버너의 매파적 입장이 혼재된 결과로 해석된다.


7. 용어·개념 설명*

*달러 인덱스(DXY)유로, 엔, 파운드,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나, 스위스 프랑 등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가중 평균한 지표다. 연방기금선물은 시장이 예상하는 향후 미국 정책금리를 가격에 반영해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을 가늠하는 대표 지표로 활용된다.


8. 기자 관전평

이번 주 들어 발표된 고용·소비·제조업 지표는 미 경제의 경착륙 리스크가 크지 않음을 시사한다. 연준 내부의 견해 차이는 남아 있지만, “데이터 의존적”이라는 원칙 아래 금리 동결 기조가 당분간 유지될 여지가 크다. 달러 강세는 유럽·일본 등 타 주요국 통화당국의 정책 대응 폭을 제약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자들은 포트폴리오 내 통화·금리 민감 자산에 대한 위험 관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