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왕원타오(王文涛) 중국 상무부 장관은 미국이 ‘대국(大國)에 걸맞은’ 책임 있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며, 미·중 상업·통상 관계를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발전 상태로 되돌려야 한다고 18일(현지시간) 강조했다.
2025년 7월 18일,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왕 장관은 베이징 국무원 신문판공실(국가정보판공실) 주최 기자회견에서 “양국은 수많은 난관을 겪어 왔으나 상호 의존적 파트너라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의 무역 부문은 탄력성과 성장 모멘텀이 모두 견고하며, 향후 14차 5개년 계획(2026~2030)에 따라 수입·수출을 동시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복잡한 대외 환경 속에서도 중국 정부의 수출 지원 정책은 오히려 ‘역주행’(bucked the trend)하며 효과를 발휘했다”고 설명했다.
왕 장관은
“강제적인 디커플링(decoupling·탈동조화)이나 공급망 단절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최소한 단기적으로는 양국 간 일부 교역을 대체할 수 없다”
고 단언했다.
“수많은 풍랑을 함께 헤쳐 온 만큼, 양국은 여전히 서로에게 중요한 경제·무역 파트너”라면서 “평등한 대화와 협의를 통해 긴장을 관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美 추가 관세 공방과 시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초 중국산 제품에 최대 100%를 웃도는 관세를 부과했다가, 5월 베이징과의 ‘무역 휴전’(trade truce)에서 상당 부분을 철회한 바 있다.
8월 12일까지 베이징이 워싱턴과 합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트럼프 대통령은 4~5월 보복 관세 공방 당시 일시 중단했던 추가 수입 제한 조치를 재개할 수 있다.
왕 장관은 “현재 미국이 부과 중인 중국산 제품 총 관세율은 여전히 53.6%로 ‘높은 수준’”이라며 “무역전쟁에서 승자는 없다. 중국은 전쟁을 원치 않지만 결코 두려워하지도 않는다”고 거듭 밝혔다.
그는 또
“대국답게 행동하라. 책임을 져야 한다”
며 “중국은 국가 이익을 지키려는 기본 입장을 결코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환율 정보 — 2025년 7월 18일 기준, 1달러=7.1811위안(RMB).
용어 설명 및 배경
디커플링(Decoupling)은 두 경제권이 공급망·기술·금융 등 다양한 차원에서 의존도를 낮추고 분리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단순한 무역 감소를 넘어, 산업·투자·인적 교류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글로벌 시장의 핵심 리스크로 꼽힌다.
관세율 53.6%는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평균적으로 부과하고 있는 ‘가중 평균 세율’(Weighted Average Tariff Rate)을 의미한다. 2018년 무역분쟁 이전 3% 안팎이었던 양국 평균 관세율은, 치열한 보복 조치 속에 50%를 넘어섰다.
기자 해설
양국 갈등이 2022년 미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반도체 규제 등 산업정책 경쟁으로 확전된 이후, 중국 정부가 ‘공급망 단절은 불가능하다’고 공개적으로 선을 긋는 것은 외자유치 및 수출시장 방어를 위한 전략적 메시지로 해석된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24년 대선 패배 후에도 공화당 내 강경파를 이끌며 ‘관세 카드’를 유지하고 있어, 8월 12일 시한은 시장 변동성을 키울 잠재 요인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원자재·해운·ICT 부문에서 대체 공급망 찾기 움직임이 가속될 전망이다.
중국이 14차 5개년 계획에 ‘수입 확대’까지 명시한 것도 주목된다. 이는 무역 파트너국에 대한 화해적 제스처인 동시에, 내수 부양 정책과 연계된 ‘쌍순환(雙循環)’ 전략의 연장선이라는 평가다.
종합적으로 미·중 간 관세·공급망 협상은 당분간 불확실성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한국 기업 역시 관세 우회 전략·공급망 다변화 준비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