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자신의 이름으로 작성된 것으로 알려진 ‘제프리 에프스타인 50세 생일 축하 편지’를 보도한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모기업 뉴스코프, 그리고 미디어 재벌 루퍼트 머독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겠다고 공개 경고했다.
2025년 7월 18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 소셜(Truth.Social)’에 장문의 글을 올려 해당 편지가 “가짜”라며 WSJ가 이를 인지하고도 기사화했다면 책임을 묻겠다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글에서 “WSJ와 루퍼트 머독은 이 편지가 조작된 것이라는 직접적인 경고를 받았다”라며 “그럼에도 이를 출판하면 고소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조만간 월스트리트저널·뉴스코프·머독을 상대로 소송 절차에 착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WSJ는 같은 날 보도에서 트럼프가 2003년 에프스타인의 50번째 생일을 기념해 ‘야한 표현이 섞인(bawdy)’ 편지를 보냈다고 전했다. 신문은 해당 편지가 에프스타인 측근 길레인 맥스웰이 생일 앨범용으로 수집했다고 보도했다.
에프스타인 스캔들의 재점화
이번 보도는 백악관이 에프스타인과 대통령의 관계 의혹으로 곤혹을 치르는 가운데 나왔다. 에프스타인은 2006년 미성년 성매매 알선·인신매매 혐의로 기소됐으며, 2019년 구금 중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결론 났다. 맥스웰은 현재 연방 교도소에 수감되어 있다.
논란은 7월 초, 트럼프 행정부가 ‘에프스타인 파일’ 공개 약속을 번복하면서 다시 불붙었다. 해당 자료는 에프스타인의 고객 명단을 담고 있으며, 다수의 부유층과 정치권 핵심 인사가 포함됐다는 관측 때문에 세간의 관심을 끌어왔다. 문건은 미 법무부 수사 자료의 일부다.
트럼프 대통령은 에프스타인과의 “어떠한 연관성도 없다”고 수차례 반박했지만, 자료 공개를 미루는 방식은 지지층 내부에서도 불신과 분노를 야기했다.
그는 이날 게시글에서도 에프스타인 의혹을 “민주당과 좌파가 꾸며낸 허구”라고 규정하며, “지지자들이 이 가짜 논란에 계속 집착하는 건 잘못”이라고 주장했다.
“에프스타인 파일은 조작극이다. 진실은 곧 밝혀질 것이며, 거짓으로 공격한 언론은 대가를 치를 것이다.”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일론 머스크의 조롱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는 트럼프와의 공개 설전 속에 이번 사안을 거론하며, 대통령의 ‘허구’ 주장을 비웃는 트윗을 올렸다. 그는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왜 공개를 미루느냐”고 반문했다.
과거 언론 소송 전력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초 CBS ‘60 Minutes’를 상대로 2024년 대선 라이벌 카멀라 해리스 인터뷰 편집 방송이 ‘악의적 왜곡’이라며 제기한 소송에서 승소한 바 있다. 그는 “이번에도 그때와 같은 결과를 자신한다”고 강조했다.
용어·인물 해설*
루퍼트 머독은 뉴스코프와 폭스코프를 거느린 호주 출신 언론 재벌로, WSJ·폭스뉴스 등을 소유하고 있다. Truth.Social은 2022년 출범한 트럼프 전용 소셜 플랫폼이다. 길레인 맥스웰은 영국 출신 사교계 인사로, 에프스타인의 성범죄 공모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bawdy’는 외설적·음담패설이 섞인 표현을 뜻한다.
전문가 분석과 전망
미 연방법원의 명예훼손 소송 기준은 공인이 제기할 경우 ‘실질적 악의(actual malice)’ 입증이 핵심이다. 법조계에서는 트럼프가 WSJ가 편지의 진위를 알고도 보도했다는 명확한 증거를 제시해야 승산이 있다고 본다. 그러나 대통령이 직접 ‘머독’ 개인을 거론한 점은 경영진에 대한 압박 수위를 한층 높였다는 평가다.
또한 이번 사안은 2026년 대선 레이스와 맞물려 언론·사법·정치 전선이 복잡하게 얽힐 가능성을 시사한다. 공화당 내부에서는 “언론과의 소모적 갈등이 중도층 이탈을 부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본 기사는 원문을 충실히 번역·재구성한 것이며, 추가된 전문가 의견은 일반적인 법적 가능성을 설명하는 차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