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가 금요일(현지시간) S&P 500, 다우존스 산업평균, 나스닥 100이 모두 상승 마감하며 반등에 성공했다. 반도체주가 강하게 회복했고, 뉴욕연은 존 윌리엄스 총재의 완화적(비둘기파) 발언이 국채금리 하락과 연준의 조기 금리인하 기대를 동시에 자극했다. 구체적으로, S&P 500 지수는 +0.98%, 다우는 +1.08%, 나스닥 100은 +0.77% 상승했다. 파생시장에서 12월 만기 E-미니 S&P 선물(ESZ25)은 +1.00%, 12월 만기 E-미니 나스닥 선물(NQZ25)은 +0.78% 올랐다.
2025년 11월 23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장 초반 변동성 속에서도 미 증시는 마감으로 갈수록 매수세가 우위를 보였다. 특히 반도체와 AI 인프라 관련주가 강세 반전을 주도했다.
존 윌리엄스 뉴욕연은 총재가 “정책금리를 보다 중립 수준에 가깝게 조정할 여지가 가까운 시기(near term)에 여전히 남아 있다”고 언급하자, 10년물 국채금리는 3주래 저점인 4.03%까지 하락했고, 다음 달 FOMC에서 25bp 추가 인하 확률은 목요일 35%에서 63%로 급등했다.
장 초반에는 S&P 500과 나스닥 100이 각각 2.25개월래 저점으로 밀리며 약세를 보였다. 최근 3주간 테크 밸류에이션 부담과 생성형 AI 투자의 수익 실현 가능성에 대한 회의가 겹치며, 반도체 및 AI 인프라 주도주의 조정이 심화된 영향이 컸다. 그러나 윌리엄스 총재 발언과 미시간대 11월 소비자심리지수 상향 수정이 투자심리를 개선하며 분위기를 바꿨다.
거시지표와 금리 기대
미국 11월 S&P 글로벌 제조업 PMI는 전월 대비 -0.6 하락한 51.9를 기록했다(시장 예상 52.0에 근접). 미시간대 11월 소비자심리지수는 51.0으로 상향 수정(+0.7)돼 예상치 50.6을 상회했다. 또한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4.5%로 종전 4.7%에서 하향, 5~10년 기대 인플레이션도 3.4%로 종전 3.6%보다 낮아졌다. 이러한 기대물가 진정은 국채와 주식 모두에 우호적으로 작용했다.
암호자산에서는 비트코인이 -2% 넘게 하락해 7.25개월래 최저로 떨어졌다. 비트코인은 지난달 기록했던 사상 최고가 대비 35% 이상 낮은 수준이며, 6주 연속 하락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연준(Fed) 인사 발언은 엇갈렸다. 윌리엄스 총재가 근시일 내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을 시사하며 채권·주식 동반 강세를 이끌었지만, 보스턴연은 수전 콜린스 총재는 “당분간 금리 동결이 적절하다”고 말하며 인플레이션이 한동안 높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댈러스연은 로리 로건 총재도 “이미 두 차례 인하가 진행된 만큼, 12월 추가 인하는 물가 하락 가속 또는 노동시장 급랭 같은 명확한 증거가 없는 한 어렵다”고 밝혔다.
정책·통계 일정 변동
미 노동통계국(BLS)은 금요일,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보고서를 취소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11월 CPI는 12월 18일에 발표된다. 앞서 BLS는 10월 고용보고서도 발간하지 않기로 했으며, 해당 고용지표를 11월 보고서에 반영해 12월 16일 공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밖의 지연된 경제지표들도 향후 며칠 내 순차 발표될 예정이나, 구체 일정은 미정이다.
파생시장에서 투자자들은 12월 9~10일 FOMC에서 25bp 추가 인하 가능성을 63%로 반영하고 있다. 이는 윌리엄스 발언 이후 크게 상향된 수치다.
3대 지수·섹터 동향과 개별 종목
채권금리 하락으로 주택건설 및 자재 업종이 동반 강세를 보였다. Builders FirstSource(BLDR)가 +7% 넘게 상승, DR Horton(DHI)와 Mohawk Industries(MHK)도 +6% 이상 올랐다. PulteGroup(PHM)과 Lennar(LEN)는 +5% 이상, Toll Brothers(TOL)는 +4% 이상 상승 마감했다.
반도체는 장중 낙폭을 만회하고 급반등했다. GlobalFoundries(GFS)가 +5% 이상, ON Semiconductor(ON)이 +4% 이상 상승했다. Microchip Technology(MCHP), NXP Semiconductors(NXPI), Analog Devices(ADI), Texas Instruments(TXN)는 +3% 이상 올랐고, Micron Technology(MU), Intel(INTC), Lam Research(LRCX), Qualcomm(QCOM)도 +2% 이상 상승했다.
국방주는 미·러가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평화안을 마련했다는 소식에 약세를 보였다. L3해리스 테크놀로지스(LHX)는 -2% 이상 하락했고, RTX와 록히드마틴(LMT)도 -1% 이상 밀렸다.
Enviri(NVRI)는 +28% 급등했다. 베올리아(Veolia)가 Enviri의 미국 유해폐기물 업체 ‘클린 어스(Clean Earth)’를 30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합의한 영향이다. Azenta(AZTA)는 계속사업 기준 4분기 매출이 1억5,900만 달러로 컨센서스(1억5,640만 달러)를 상회하며 +16% 상승했다.
Ross Stores(ROST)는 S&P 500·나스닥 100 내 상승 선두로 +8% 넘게 올랐다. 회사는 3분기 매출이 56억 달러로 컨센서스(54.1억 달러)를 상회했고, 4분기 기존점 성장률을 +3~+4%로 제시해 예상(+2.61%)을 웃돌았다. 갭(GAP)도 3분기 전체 기존점 매출이 +5%로 컨센서스(+3.11%)보다 좋아 +8% 이상 상승했다.
Paccar(PCAR)는 Hedgeye가 ‘Best Ideas Long’ 목록에 편입했다는 이유로 +5% 넘게 상승했다. Intuit(INTU)는 3분기 순매출이 38.9억 달러로 컨센서스(37.6억 달러)를 상회해 +3% 이상 올랐다.
Veeva Systems(VEEV)는 3분기 조정 총마진이 77.6%로 컨센서스(77.8%)에 못 미쳐 -9% 이상 하락했다. Bath & Body Works(BBWI)는 모건스탠리가 비중확대에서 동일비중으로 하향 조정하면서 -6% 이상 내렸다. Copart(CPRT)는 1분기 매출이 11.6억 달러로 컨센서스(11.8억 달러)에 못 미쳐 -3% 이상 하락했다.
Palo Alto Networks(PANW)는 HSBC가 보유(hold)에서 축소(reduce)로 하향하고 목표주가를 157달러로 제시하면서 -1% 이상 하락했다.
금리·채권시장
미국 12월물 10년물 미 국채선물(ZNZ5)은 +12틱 상승 마감했고, 10년물 수익률은 -2.4bp 낮은 4.061%를 기록했다. 장중 국채선물은 3주래 고점, 수익률은 3주래 저점(4.034%)까지 터치했다. 10년물 기대인플레이션(브레이크이븐)은 2.239%로 6.5개월래 최저로 내려가 T-노트에 우호적이었다. 다만, 장중 고점에서는 콜린스·로건 총재의 매파적 코멘트가 제동을 걸었다.
유럽 국채수익률도 동반 하락했다. 독일 10년물 분트는 1주래 저점인 2.671%까지 밀린 뒤, -1.3bp 하락한 2.703%에 마감했다. 영국 10년물 길트는 -4.0bp 하락한 4.546%를 기록했다.
해외 증시·지표
유럽과 아시아 증시는 동반 약세였다. 유로스톡스 50은 1.75개월래 저점으로 -0.98% 하락 마감했다. 중국 상하이종합은 1.25개월래 저점으로 -2.45% 내렸고, 일본 니케이 225는 -2.40% 하락했다.
지표 측면에서 유로존 11월 제조업 PMI는 예상(50.1)과 달리 -0.3 하락한 49.7로 5개월 만의 가장 가파른 위축을 보였다. 복합 PMI도 -0.1 하락한 52.4로 예상(52.5)보다 낮았다. 영국 10월 자동차 연료 제외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1.0%로 예상(-0.5%)을 하회, 5개월래 최대 감소를 기록했다.
ECB 루이스 데 구인데스 부총재는 “유로존 경제는 3~4개월 전 예상보다 더 잘 버티고 있다”고 평가하며, 현재 금리 수준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스와프시장은 12월 18일 ECB 회의에서 25bp 인하 확률을 약 3%로 반영 중이다.
실적 시즌 업데이트
S&P 500 구성 500개사 중 466개사가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에 따르면, 이 중 82%가 예상을 상회해 2021년 이후 최고의 분기 흐름을 보이고 있다. 3분기 이익은 +14.6%로 전년 대비 예상(+7.2%)의 두 배를 넘었다.
예정된 실적 발표(2025년 11월 24일)에는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A), Amentum Holdings(AMTM),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스(KEYS), 우드워드(WWD), 줌 커뮤니케이션즈(ZM)가 포함된다.
참고 및 고지
본 기사 게재 시점에 Rich Asplund는 본문에 언급된 유가증권에 대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 보유 포지션이 없었다. 이 기사의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바차트 공시정책을 참조할 수 있다. 문서 말미에 기재된 “The views and opinions expressed herein…” 문구에 따라, 본문 견해는 Nasdaq, Inc.의 입장을 반영하지 않는다.
More news from Barchart로는 다음과 같은 주제가 있다: ‘스마트머니 경고 신호 해석법(COT 데이터 복구)’, ‘곡물 시장 체크포인트’, ‘연준 인하 기대 속 선물 상승과 PMI 포커스’, ‘개장 전 랠리: 엔비디아 실적과 고용지표 주목’.
용어 설명 및 해설
S&P 500·다우·나스닥 100: 미국을 대표하는 주가지수로 각각 대형주, 산업 대형주, 기술 대형주의 흐름을 나타낸다. E-미니 선물: 지수를 소형 계약 단위로 추종하는 선물로, 장중·야간/해외 시간대 투자 심리를 민감하게 반영한다. PMI(구매관리자지수)는 50을 기준으로 경기 확장(>50)/위축(<50)을 가늠하는 선행지표다. 브레이크이븐 인플레이션은 명목채-물가연동채(TIPS) 수익률 차이로 추정한 향후 기대 인플레이션 수준을 뜻한다. FOMC 확률은 금리선물과 스와프시장에서 도출하는 내재 확률로, 정책 이벤트에 대한 시장의 즉각적 견해를 보여준다.
해설: 이번 랠리는 금리 민감 섹터(주택·건자재)와 베타 섹터(반도체)가 동시 반등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기대 인플레이션 하향과 연준의 완화 신호가 자본비용을 낮추는 서사를 강화했고, 최근 과매도 구간에 있던 반도체주에 단기 저가매수를 유입시켰다. 다만 일부 연준 인사들의 매파성이 여전히 남아 있어, 실제 물가 둔화 속도와 노동시장 냉각 정도가 확인되지 않을 경우 정책 기대의 변동성이 클 수 있다. 또한, AI 관련 설비투자 모멘텀의 실적 변환이 검증돼야 밸류에이션 부담이 구조적으로 완화될 전망이다.
요약하면, 윌리엄스 총재 발언→채권 강세→밸류에이션 민감주 반등으로 이어진 정책-금리-주가의 선순환이 당일 장세를 규정했다. 향후 관전 포인트는 BLS가 재개할 11월 CPI·고용, FOMC(12월 9~10일), 기업 실적 가이던스의 3대 축이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