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아 선물가격이 관세 인하 기대와 수급 변수에 영향을 받으며 주간 하락 흐름을 이어갔다. 12월물 ICE 뉴욕 코코아(티커: CCZ25)는 -110(-1.96%) 내렸고, 12월물 ICE 런던 코코아 #7(티커: CAZ25)도 -41(-0.98%) 하락했다. 뉴욕 근월물 기준으로는 약 1.75년 만의 저점을, 런던물은 3주 만의 저점을 각각 기록했다.
2025년 11월 13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에서 재배되지 않는 농산물(코코아 포함)에 대한 관세 정책과 관련해 조만간 중대한 발표가 있을 것이라는 신호가 가격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미국 재무장관 베슨트(Bessent)는 수요일(현지시간) “향후 며칠 내에” 해당 품목들에 대한 관세 문제와 관련해 “상당한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시장은 이를 관세 인하 가능성으로 해석하며, 수입비용 하락에 따른 단기 약세 요인으로 반영하는 모습이다.
지난주 화요일 6주래 고점을 기록한 이후, 코코아 가격은 서아프리카 대풍(풍작) 기대 속에 되돌림을 이어왔다. 코트디부아르 농가는 코코아 나무 생육이 양호하며 최근의 건조한 날씨가 수확두(빈) 건조에 도움을 주고 있다고 전했다. 가나 농가에서도 우호적 기상 여건이 코코아 꼬투리(팟) 생장을 빠르게 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는 전언이 이어졌다.
글로벌 초콜릿 제조사 몬델레즈(Mondelez)는 최근 서아프리카 코코아 팟 집계가 5년 평균 대비 7% 상회했으며, 전년보다도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코트디부아르의 메인 크롭(주요 작기) 수확이 막 시작된 가운데, 현지 농가들은 품질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수요 둔화 신호도 가격에 하방 압력을 가하고 있다. 10월 30일, 허쉬(Hershey)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핼러윈 시즌 초콜릿 판매가 “실망스러웠다”고 언급했다. 핼러윈은 2024년 미국 연간 캔디 매출의 약 18%를 차지했으며, 크리스마스 다음으로 큰 시즌이다. 수요 지표 측면에서 아시아 코코아 분쇄(grindings)는 아시아코코아협회(10월 17일)에 따르면 3분기 전년 대비 -17% 감소(183,413톤)하여 9년 만의 최저를 기록했다. 유럽코코아협회는 10월 16일, 유럽 3분기 분쇄가 전년 대비 -4.8% 감소(337,353톤)해 10년 만의 3분기 최저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북미에서는 전미과자협회 기준 3분기 분쇄가 전년 대비 +3.2% 증가(112,784톤)했지만, 신규 보고업체 편입으로 데이터가 왜곡됐다는 지적이 있다. 한편, 시장조사업체 서카나(Circana) 데이터에 따르면 9월 7일로 끝나는 13주 동안 북미 초콜릿 캔디 판매량은 전년 대비 21% 이상 감소했다.
공급 측에서는 세계 최대 생산국인 코트디부아르의 수출 둔화가 가격에 긍정 재료로 거론된다. 현지 정부 통계(월요일)에 따르면, 10월 1일~11월 8일 신작기 누적 기준 항만 선적 물량은 411,979톤으로 전년 동기 454,624톤 대비 -9% 감소했다. 이는 단기 공급 타이트화 기대를 일부 지지하고 있다.
투자자 포지셔닝도 변동성의 뇌관이다. 런던 코코아에서 펀드 순매도(순숏)가 과도하게 누적됐다는 신호가 나타났다.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의 주간 COT 보고서에 따르면, 11월 4일 기준 한 주 동안 펀드들의 순매도는 +3,746계약 늘어난 19,194계약으로, 4년 넘는 기간 중 가장 높은 숏 포지션을 기록했다. 반면, 뉴욕 코코아의 포지션 데이터는 미국 정부가 현재 폐쇄되어 있어 제공되지 않고 있다.
지난주 화요일, 코코아 가격은 6주 만의 고점까지 반등했는데, 이는 숏커버링이 촉발됐기 때문이다. 10월 30일 블룸버그 상품지수(BCOM) 관리자가 코코아를 약 20년 만에 처음으로 내년 1월부터 지수에 편입한다고 밝힌 것이 계기였다. 2024년 말 기준 BCOM 추종 자산은 약 1,090억 달러에 달한다. 코코아의 지수 내 1.7% 비중은 해당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자금의 유의미한 유입을 시사한다. 피크 트레이딩 리서치 LLC는 이에 대해 “향후 80일 동안 펀드들이 코코아 선물을 약 19억 달러어치 매수해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인용
기초 체력을 보여주는 지표도 혼재되어 있다. ICE 모니터링 미국 항만 재고는 수요일 기준 1,783,757포대로 7.5개월래 최저를 기록, 가격에는 지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나이지리아(세계 5위 코코아 생산국)의 생산 전망은 약세를 일부 상쇄한다. 나이지리아 코코아협회는 2025/26 연도 생산량이 전년 대비 -11% 감소한 305,000톤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2024/25 연도 전망치 344,000톤에서 줄어드는 수치다. 한편, 9월 코코아 수출은 전년과 동일한 14,511톤으로 보고됐다.
국제 코코아기구(ICCO)는 5월 30일, 2023/24 글로벌 코코아 수급에 대해 -494,000톤의 적자(부족)로 상향 수정했는데, 이는 60년 넘는 기간 중 최대 규모다. 같은 기간 전세계 생산량은 -13.1% 감소한 438만 톤으로 줄었고, 재고/분쇄 비율은 27.0%로 46년 만의 저점을 기록했다. 다만 2024/25 연도에는 142,000톤 흑자가 예상되어, 4년 만의 첫 흑자 전환이 기대된다. 이와 함께 2024/25 전세계 생산은 전년 대비 +7.8% 증가한 484만 톤으로 추정됐다.
용어 해설 및 체크포인트
• 근월물(Nearest-futures): 만기가 가장 가까운 선물계약을 말한다. 유동성이 높아 지표가격으로 자주 쓰인다.
• 분쇄(Grindings): 코코아 원두를 분쇄해 코코아 매스·버터·파우더 등으로 가공하는 물량으로, 실수요 지표로 해석된다.
• 재고/분쇄 비율(Stocks-to-grindings): 가용 재고가 수요(분쇄)에 비해 어느 정도인지를 보여주는 타이트니스 지표다.
• COT 보고서: 기관·펀드·개인 등 참가자별 선물·옵션 포지션을 집계한 주간 보고서로, 투자심리와 잠재적 숏커버링 리스크를 판단하는 데 쓰인다.
• BCOM 지수 편입: 대형 패시브 자금의 기계적 매수를 유발할 수 있어 가격 변동성을 높일 수 있다.
• ICE 재고: 거래소가 모니터링하는 공인 창고 재고로, 단기 공급 상황을 보여준다.
전문가 시각: 관세·수확·수요의 3중 변수
가격의 단기 하락은 크게 세 줄기의 요인으로 설명된다. 첫째, 관세 인하 기대는 수입원가를 낮춰 즉각적인 가격 압력으로 작용한다. 둘째, 서아프리카 작황 호조와 팟 카운트 증가(5년 평균 대비 +7%)는 향후 공급 확대 가능성을 키운다. 셋째, 실수요 둔화(핼러윈 판매 부진, 아시아·유럽 분쇄 감소, 북미 초콜릿 캔디 판매량 -21% 이상)는 가격의 상단을 제한한다. 다만, 과도한 순매도(런던 4년래 최댓값)는 변곡점에서 숏커버링 급등을 촉발할 여지가 있다. 여기에 BCOM 편입(1월 예정, 1.7% 비중)으로 패시브 자금 유입이 현실화하면, 하락 가속보다 빠른 반등 스파이크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중기적으로는 ICCO가 제시한 2024/25 흑자 전환과 생산 +7.8% 추정이 방향성을 좌우한다. 만약 코트디부아르 수출 둔화(-9%)가 수확·품질 이슈로 장기화되거나, 나이지리아 생산 -11% 전망이 현실화해 주변국으로 확산될 경우, 공급 타이트는 재차 부각될 수 있다. 반대로, 분쇄 감소가 북반구 겨울 성수기(크리스마스 등)에도 개선되지 않는다면, 약세 랠리는 길어질 수 있다. 결국 투자자에게 핵심은 패시브 유입(지수 편입)과 실수요 회복(분쇄, 소매판매)의 시간차다. 단기 트레이딩 관점에서는 과매도 국면의 숏커버링과 지수편입 수급에 주목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서아프리카 강우·병충해·물류와 아시아·유럽 분쇄 반등 여부가 관건이다.
“향후 며칠 내 관세에 대해 상당한 발표가 있을 것이다.” — 미 재무장관 베슨트
공시 및 고지
본 기사 작성 시점 기준,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본문에서 언급된 어떤 증권에도 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자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관련한 상세 정책은 Barchart Disclosure Policy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본문에 나타난 견해와 의견은 필자 개인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관련 기사
• Q3의 소프트 커머디티: 4분기와 그 이후의 전망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5505084/soft-commodities-in-q3-what-are-the-prospects-for-q4-and-beyond
• 코코아, 최근 고점으로 회귀하나?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4460619/is-cocoa-heading-back-to-the-recent-high
• 소프트 커머디티 2분기: 3분기 및 그 이후 향방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3353533/q2-in-soft-commodities-where-are-they-heading-in-q3-and-beyond
• 코코아 가격은 어디로 가는가?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2493753/where-are-cocoa-prices-head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