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 캐피털, 노바백스 매각 검토 압박…변화 없으면 ‘위임장 대결’ 경고

샤 캐피털(Shah Capital)노바백스(Novavax) 이사회에 대해 전략적 변화를 즉각 추진하라고 압박하며, 매각 가능성까지 포함한 검토를 요구했다. 펀드는 향후 4개월 내 진전이 없을 경우 위임장 대결(proxy fight)을 예고했다. 샤 캐피털은 노바백스의 두 번째로 큰 주주다.

2025년 11월 12일, 로이터(Reuters) 보도에 따르면, 샤 캐피털은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두 번째 서한을 이사회에 보냈고, 해당 서한은 이날 로이터에 단독으로 공유됐다. 펀드는 서한에서 노바백스의 부진한 COVID-19 단백질 기반 백신 판매에 대해 “점점 더 실망하고 있다(increasingly disenchanted)”고 밝혔다.

샤 캐피털의 창립자인 히만슈 샤(Himanshu Shah)는 인터뷰에서 “

주목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보지 못하고, 회사가 향후 4개월 내 후속 조치를 이행하지 않는다면, 위임장 대결로 갈 가능성이 분명히 있다고 본다

”고 말했다. 펀드는 그럼에도 노바백스의 과학에는 신뢰를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지분율을 10월의 7.2%에서 약 8.3%추가 확대했다고 밝혔다.

반면, 펀드는 노바백스 백신의 실망스러운 판매미미한 시장점유율에 대해 “여전히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at a complete loss)”고 토로했다. 노바백스는 로이터의 논평 요청에 즉시 응답하지 않았다.


‘잠재력 대 실행’의 괴리 지적

이는 활동가 주주의 또 다른 압박으로, 샤 캐피털은 지난해 사노피(Sanofi)와의 라이선스 계약 체결 이후 이사회 이사 3명에 대한 교체 캠페인을 철회한 바 있다. 이번 서한은 “

주목

노바백스와 그 파트너심각한 역량 부족을 보이는지, 혹은 의도적으로 실적을 낮추고 있는지를 의심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라고 직설적으로 비판했다.

서한에 따르면, 2025-26시즌(8월 시작) 동안 10월 31일 기준 노바백스 백신 판매는 약 12만 도스에 그친 반면, 두 경쟁사는 같은 기간 1,450만 도스를 판매했다. 이에 따라 노바백스의 시장점유율은 약 0.8%로 추산됐다. 펀드는 “

강력한 기초 과학명백한 시장 수요에도 불구하고, 잠재력과 실행 사이의 괴리는 놀라울 정도로 크다

”고 재차 강조했다.

노바백스는 이달 초 흑자 전환 목표1년 미루어 2028년으로 제시했다. 이에 대해 샤는 노바백스가 높은 고정비 구조(high cost base)를 갖고 있으며, 내년에는 영업 차원에서 흑자를 달성해야 하고, 더 포괄적인 임상시험을 수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가치평가와 매각 옵션

샤는 노바백스의 기업가치50억~100억 달러 범위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반면, LSEG데이터에 따르면 노바백스의 현재 시가총액은 약 12.1억 달러 수준이다. 이러한 가치 괴리전략적 대안의 모색, 특히 매각 검토 논의를 촉발하는 배경으로 제시된다.

샤 캐피털은 이사회에 즉시 매각 검토위원회를 구성하고, 자격을 갖춘 투자은행을 선임할 것을 요구했다. 샤는 잠재적 인수자사노피, 머크(Merck), GSK,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과거에 거론했으나, 이들과 직접 접촉하진 않았다고 밝혔다.


핵심 용어 해설

위임장 대결(proxy fight): 주주가 위임장을 확보해 이사회 구성이나 전략 결정에 영향을 미치려는 행동주의 전술이다. 기존 경영진과의 표 대결을 통해 이사 교체·전략 전환을 추진할 수 있다.

활동가 투자자(activist investor): 기업의 가치 제고를 위해 배당, 분사, 매각, 지배구조 개선 등 구조적 변화를 공개적으로 요구하는 투자자다. 샤 캐피털의 이번 요구는 이러한 전형적 행동주의의 일환이다.

라이선스 계약: 기술·제품에 대한 사용권을 타사에 제공하고, 로열티·마일스톤 등을 받는 계약이다. 노바백스-사노피 계약은 작년 이사회 교체 캠페인 철회의 계기가 됐다.

영업이익(operational profitability): 일회성 요인을 제외한 본업에서의 이익을 의미한다. 샤는 내년 영업 흑자를 요구하며, 비용 구조 개선임상 근거 강화를 주문했다.


전망과 함의

샤 캐피털의 4개월 시한은 노바백스 이사회에 명확한 이정표 제시를 압박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행보는 전략적 검토 착수 공지, 특별위원회 설치, 외부 자문사 선임, 비용 절감 로드맵 공개 등 후속 조치로 이어진다. 시장에서는 실행력 강화상업화 전략의 재정렬이 단기간 신뢰 회복의 관건으로 평가된다.

특히 백신 판매 지표(2025-26 시즌 기준 12만 도스 vs. 경쟁사 1,450만 도스)와 0.8% 수준의 점유율은, 과학적 근거상업화 성과 사이의 간극을 부각시킨다. 이에 따라 상대 가치(Valuation) 재평가와 거버넌스 개편 요구가 동반될 가능성이 크다. 매각 검토는 이 괴리를 좁히는 강력한 수단이지만, 규제 심사, 기술이전 조건, 사업 중복 조정 등 절차적 변수도 존재한다.

요약하면, 샤 캐피털지분 확대(8.3%)공개 서한을 통해 노바백스전략·지배구조 변화를 본격 요구했고, 성과가 없을 경우 위임장 대결까지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노바백스의 입장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나, 2028년 흑자 목표, 비용 구조, 임상 전략 등 핵심 쟁점에 대한 구체적 대응이 향후 수개월 간 투자자 평가의 중심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