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철강 설비 가동률 개선에 맞춰 주요 금속 가격 일제 상승

금속 시장 전반에서 가격이 동반 상승했다. 화요일(현지시간) 거래에서 귀금속과 산업용 기초금속 모두 전일 대비 오름세를 보였으며, 특히 팔라듐이 선두를 이끌었다다.

2025년 11월 11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팔라듐 가격은 온스당 $1,4472.11% 상승해 상승폭이 가장 컸다. 플래티넘은 1.53% 올라 온스당 $1,598을 기록했으며, 은은 1.13% 상승한 온스당 $51.08에 거래를 마쳤다. 금 가격도 0.63% 올라 온스당 $4,142에 도달했다.

기초금속도 강세를 보였다. 아연은 파운드(lb)당 0.80% 상승한 $1.40, 알루미늄은 0.75% 올라 $1.30, 구리는 0.74% 오른 $4.90을 각각 기록했다. 납은 0.56% 올라 $0.93, 니켈은 0.32% 상승해 $6.85를 기록했다. 전 종목이 전일 대비 상승한 것이 특징이다.

주목

벌크 원자재 동향에서도 견고함이 관찰됐다. 철광석 시장에서 대련거래소 2026년 1월물(가장 활발히 거래) 선물은 전일 대비 0.3% 상승해 톤당 약 764위안(미화 환산 약 $107)을 기록했다. 같은 거래소의 제강용 원료탄(코킹 석탄) 선물은 보다 큰 폭인 전일 대비 2.6% 상승해 톤당 약 1,180위안으로 올랐다다.

알루미늄 프리미엄 측면에서는 미국 미드웨스트 프리미엄이 월요일 기준으로 전일 대비 0.8% 하락해 파운드당 약 $0.88로 내려왔다. 이는 전주 대비로는 0.9% 하락이지만, 전월 대비 13.2% 상승, 전년 대비 302.3% 급등한 수준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프리미엄은 현물 금속 가격에 더해 물류·보관·지역 수급을 반영하는 지역 가격 가산분을 의미한다.


철강 가격과 지표에서는 미국 대형 철강사 누코어(Nucor)가 주간 Consumer Spot Price를 발표해, 11월 10일 주 열연코일(HRC) 기준가격을 쇼트톤(short ton)당 $895로 제시했다. 이는 전주 대비 $5 인상으로 3주 연속 주간 상승을 기록했다.

미국 철강 업계의 설비 가동률도 개선됐다. 11월 8일로 끝난 주 가동률은 76.7%로, 직전 주의 76.0%전년 동기 72.6% 대비 상승했다. 조강 생산량은 주간 기준 1.758백만 넷톤(net tons)으로 전주 대비 1.0% 증가했고, 전년 대비 9.1% 늘었다. 연초 이후 누계 생산은 약 7,720만 미터릭톤(metric tons)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했다.

주목

핵심 포인트: 미국 철강 설비 가동률 76.7%, 누코어 HRC $895/쇼트톤, 귀금속·기초금속 전 종목 상승.


인도 철강 현물은 혼조를 보였다. 월요일 기준으로 현물 열연코일(HRC) 가격은 수요 부진이 이어지며 하락했으나, 철근(Rebar) 가격은 견조한 오퍼가 뒷받침되며 소폭 상승했다. 시장 참여자들은 공급이 충분한 가운데 전반적 수요 환경이 여전히 미진하다고 전했다.

해상 공급에서는 호주와 브라질의 철광석 선적11월 3~9일 기간 동안 9.0% 감소했다. 20개 항만과 17개 광산업체에서 전 세계 목적지로 출하된 물량은 총 2,440만 미터릭톤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발전용(열) 석탄 가격은 월요일 하락했다. 12월물 API2(유럽)는 전일 대비 0.6% 내려 톤당 약 $99, API4(남아프리카)0.6% 하락해 약 $89, 뉴캐슬(호주) 지표는 0.8% 하락한 약 $114를 기록했다. 다만, 일간 약세에도 불구하고 이들 지표는 주간·월간 기준으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용어 설명과 맥락

열연코일(HRC): 슬래브를 고온에서 압연해 만든 코일 형태의 판재로, 자동차·가전·건설 등 다양한 산업의 중간재로 쓰인다. HRC 기준가격은 북미 철강 스프레드와 제조업 마진에 큰 영향을 준다.

쇼트톤(short ton) vs 미터릭톤(metric ton): 쇼트톤은 미국 단위로 약 907kg, 미터릭톤은 1,000kg이다. 기사에서 조강 생산 ‘1.758백만 넷톤’은 쇼트톤 기준이며, 연초 이후 누계 ‘약 7,720만 미터릭톤’은 미터법 기준으로 표기됐다.

미드웨스트 알루미늄 프리미엄: 미국 중서부 지역에서 현물 알루미늄을 배송받을 때, 글로벌 벤치마크 가격(LME 등)에 추가되는 지역 가산금을 말한다. 물류, 보험, 세금, 수급 상황을 반영하며 실수요자의 체감 원가를 가늠하는 지표다.

API2·API4·뉴캐슬: 국제 열탄 선물의 대표 지표로, API2는 유럽(암스테르담·로테르담·앤트워프) 도착 기준, API4는 남아프리카 리처즈베이 출하 기준, 뉴캐슬은 호주 뉴캐슬 항 출하 기준을 뜻한다. 발전 연료비, 전력 도매가격과의 연계성이 높다.

대련거래소 철광석/원료탄 선물: 중국 내 제강 수요와 원료 수급을 반영하는 주요 파생상품이다. 가격의 일중 변동이 철강주 및 해운·광산업체 주가 심리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다.


시장 해석 포인트

가격 방향성: 이번 세션에서 귀금속과 기초금속이 동반 상승했고, 벌크 원자재(철광석·원료탄)도 동시에 강세를 보였다. 기사 내 제공된 수치들은 광범위한 리스크자산 내 원자재 섹터의 저변 강화를 시사하는 동시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다만 본문은 상승 배경·정책 변수·환율 영향 등에 대해 별도의 설명을 제공하지 않았다.

철강 지표: 가동률의 주간 개선(76.0% → 76.7%)과 누코어의 HRC 기준가 3주 연속 인상은 북미 철강 가격의 저점 확인 가능성을 시사하는 수치적 정합성을 보인다. 또한 전년 대비 조강 생산 9.1% 증가YTD 3.1% 증가는 공급 측이 점진적으로 회복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역별 상이한 흐름: 인도 현물시장은 HRC 약세·철근 강세의 품목별 비대칭이 확인됐다. 공급이 충분한 가운데 수요가 둔한 환경이라는 시장 전언은, 동일 재화 내에서도 최종수요 구조 차이에 따라 가격 방향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기사 고지

이 기사는 AI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으며, 에디터의 검수를 거쳤다. 자세한 내용은 인베스팅닷컴의 약관(T&C)을 참조하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