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선물 시세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12월물 아라비카 커피(KCZ25)는 월요일 +6.95(+1.70%) 상승 마감했고, 1월물 ICE 로부스타 커피(RMF26)는 -25(-0.54%) 하락 마감했다.
2025년 11월 11일, 나스닥닷컴에 게재된 바차트(Barchart) 보도에 따르면, 이날 커피 가격은 방향성이 엇갈렸으나, 글로벌 공급 타이트화 조짐이 가격 하방을 제한하는 모습이었다. 국제커피기구(ICO)는 현 마케팅 연도(10월~다음 해 9월) 세계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0.3% 감소한 1억3,865만8천 포대라고 밝혔다.
핵심: ICO에 따르면 2024/25(Oct–Sep) 세계 커피 수출은 전년 대비 -0.3% 감소한 138.658백만 포대로 집계됐다.
또한 브라질 레알화 강세가 아라비카 가격을 지지했다. 레알화는 달러 대비 5주래 최고치로 상승해, 브라질 생산자들의 달러 기준 수익 매력이 낮아지면서 수출 유인 약화를 초래했고, 이는 현물·선물 시장의 매도 압력을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반면 로부스타는 베트남에서의 태풍 칼마에기 상륙 후 초기 피해 평가에서 주요 커피 산지의 유의미한 손상이 없었다는 소식이 부담으로 작용했다. 베트남은 세계 최대의 로부스타 생산국으로, 생산 차질 우려 완화는 로부스타 가격의 약세 요인이 됐다.
ICE 인증 재고 감소는 가격에 우호적으로 작용했다. 미국의 브라질산 수입품에 대한 50% 관세가 영향을 미치며, ICE 커피 재고가 빠르게 줄었다. ICE 모니터 아라비카 재고는 41만6,703포대로 1년 9개월래 최저를 기록했고, ICE 로부스타 재고는 5,873계약으로 3.75개월래 최저를 나타냈다. 미국의 약 생두(볶지 않은 커피) 수입량의 3분의 1이 브라질산인 가운데, 50% 관세로 인해 미국 바이어들이 브라질 커피 신규 계약을 취소하는 사례가 발생해 미국 내 공급이 더 빠듯해졌다는 분석이다.
사실관계: ICE 아라비카 재고 416,703포대(1.75년래 최저), ICE 로부스타 재고 5,873계약(3.75개월래 최저). 관세: 미국의 브라질산 수입품에 50% 부과.
브라질 강우 확대는 가뭄 우려를 완화하며 가격에는 부정적이었다. 기상사 소마르 메테오롤로지아는 브라질 최대 아라비카 산지인 미나스제라이스주가 11월 7일로 끝난 주에 강우 72.1mm를 기록, 역사적 평균의 160%에 달했다고 전했다.
다만 중기적으로는 기후 변수가 상방 리스크로 남아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은 9월 16일 남반구 10~12월 라니냐 발생 확률을 71%로 상향했다. 라니냐는 브라질의 과도한 건조를 유발해 2026/27 작기 커피 생산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브라질은 세계 최대 아라비카 생산국이다.
베트남 공급 확대는 가격에 하방 요인이다. 베트남 통계총국은 지난주 목요일 기준 2025년 1~10월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13.4% 증가한 131만 톤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2025/26 시즌 생산은 전년 대비 +6% 증가한 176만 톤(2,940만 포대)으로 4년 만의 최고치가 예상된다. 베트남커피카카오협회(Vicofa)는 10월 24일, 우호적 기상이 계속되면 2025/26년 커피 생산이 전 작기 대비 10%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베트남은 세계 최대 로부스타 생산국이다.
한편 브라질 작황 전망 하향은 가격을 지지했다. 브라질 농업공급공사(Conab)는 9월 4일 브라질 2025년 아라비카 생산 전망치를 3,700만 포대에서 3,520만 포대로 -4.9% 하향 조정했다. 같은 날 브라질 2025년 전체 커피 생산 전망도 5,570만 포대에서 5,520만 포대로 -0.9% 낮췄다.
장기 수급에서는 미국 농무부(USDA) 해외농업국(FAS)의 6월 25일 전망이 눈에 띈다. FAS는 2025/26 세계 커피 생산이 전년 대비 +2.5% 증가한 사상 최대 1억7,868만 포대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세부적으로 아라비카는 -1.7% 감소한 9,702만2천 포대, 로부스타는 +7.9% 증가한 8,165만8천 포대가 전망됐다. 브라질 2025/26 생산은 +0.5% 증가한 6,500만 포대, 베트남 2025/26 생산은 +6.9% 증가한 3,100만 포대(4년 만의 최고)를 예상했다. 또한 2025/26 기말 재고는 2,181만9천 포대로, 2024/25의 2,175만2천 포대 대비 +4.9%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편집자 주 및 공시: 기사 게재일 기준,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본문에 언급된 어떠한 증권에도 직·간접 이해관계가 없다고 밝혔다. 본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다. 관련 디스클로저 정책은 바차트의 공시를 참조할 수 있다.
바차트의 추가 기사로는 ‘Coffee Is Percolating. How Much Higher Will Prices Go from Here?’, ‘Soft Commodities in Q3- What are the Prospects for Q4 and Beyond?’, ‘1 Way to Trade Cold Coffee Prices Now as Global Supply Fears Percolate’, ‘As Starbucks Cuts Jobs and Closes Stores, Should You Buy, Sell, or Hold SBUX Stock?’ 등이 있다.
본 기사에 담긴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 본인의 것으로, 반드시 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해설: 시장에 중요한 의미
1) 재고와 관세의 상호작용: ICE 인증 재고의 급감은 단기적으로 선물 가격을 지지하는 전형적 요인이다. 여기에 브라질산에 대한 50% 관세가 더해지며, 미국 내 조달 차질로 이어지고 있다. 바이어의 신규 계약 취소는 공급 경색을 심화시키고, 이는 특히 근월물 프리미엄 확대와 같은 기간구조 변동을 유발할 수 있다.
2) 환율의 가격결정 영향: 브라질 레알 강세는 현지 생산자의 달러 환산 수취가격을 낮춰 수출 유인을 약화시킨다. 이는 아라비카에 특히 민감하게 반영되어, 매도 호가 축소 혹은 인도 지연 등의 형태로 현물 유통량을 제한하는 효과를 낳는다.
3) 기상 변수의 시차 효과: 소마르가 전한 충분한 강우는 단기 하방 압력을, NOAA의 라니냐 확률 상향(71%)은 중기 상방 리스크를 내포한다. 즉, 단기 완화·중기 경계라는 상반된 신호가 공존한다.
4) 베트남 공급 사이클: 베트남의 수출 증가(+13.4%)와 생산 증가 전망은 로부스타 약세를 설명한다. 다만 실제 수확·선적 타이밍, 물류 여건, 현지 내수 소비 변화 등이 실현 공급을 좌우할 수 있어, 가격 반영까지 시차가 존재한다.
5) 구조적 수급: USDA FAS의 2025/26 생산·재고 증가 전망은 중장기적으로 공급 여유를 시사한다. 그러나 품종별 편차(아라비카 -1.7%, 로부스타 +7.9%)가 커 스프레드 전략과 혼합(blend) 비중 조정 등 산업 내 대응이 이어질 수 있다.
용어 가이드
– 아라비카(Arabica)와 로부스타(Robusta): 전 세계 유통을 주도하는 두 품종이다. 산미·향미가 강조되는 아라비카는 주로 브라질 등에서, 쓴맛·카페인 함량이 높은 로부스타는 베트남 등에서 대량 생산된다.
– 포대(bag)·계약(lot): 국제 커피 시장에서 거래·통계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단위 표현이다. 기사 수치는 각 기관의 공시 기준에 따른 집계다.
– ICE 인증 재고: 선물거래소가 품질·보관을 확인한 재고로, 단기 수급의 신호로 널리 활용된다.
– 라니냐(La Niña): 적도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 저하 현상으로, 지역별로 가뭄·폭우 등 극단적 기상을 유발할 수 있다. 커피 벨트에서는 생산 차질 리스크로 연결될 수 있다.
– 마케팅 연도(Oct–Sep): 커피 산업에서 통상 사용하는 연간 집계 기간으로, 생산·수출 통계를 이 주기로 비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