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ON이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EBITDA 5억2400만 달러(전년 대비 +19.7%)와 매출 11억1500만 달러(전년 대비 +7.5%)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이러한 성과가 탄력적인 통신 및 인프라 수요와 함께, 직접 디지털 매출의 고성장에 힘입은 결과라고 설명했다. 특히 직접 디지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3.1% 급증했다고 강조했다.
2025년 11월 10일 06:00:14(UTC), RTTNews 보도에 따르면, VEON은 3분기 핵심 수익성 지표인 EBITDA가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갔고, 매출 역시 한 자릿수 중후반의 견조한 증가율을 유지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이번 실적을 뒷받침한 요인으로, 통신 본업의 안정적 트래픽과 인프라 활용도, 그리고 플랫폼형 디지털 서비스의 확장 등 구조적 요인을 거론했다.
VEON은 이어 2025년 전망을 업데이트했다. 회사는 로컬 통화 기준 EBITDA 성장률을 16%~18%로 상향 제시했으며, 로컬 통화 기준 매출 성장률 전망은 13%~15%로 유지했다. 또한 현재 환율이 지속된다는 가정 하에, 2025년 총매출 성장률은 7%~8%, EBITDA 성장률은 10%~11%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환율 효과를 배제한 로컬 통화 기준 성장과, 보고통화(달러) 환산 시의 성장률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자본정책 측면에서, VEON 이사회는 최대 1억 달러 규모의 ADS(미국예탁증서) 및/또는 미상환 회사채 매입 프로그램을 승인했다. 회사는 필요 시, 미국 증권거래법 10b5-1 계획에 따라 공개시장에서 매입을 집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10b5-1 계획은 사전에 규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매매가 집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 경영진의 내부정보 보유 여부와 무관하게 일정한 규칙에 의해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설계된 제도다.
주요 개념 설명※
– EBITDA: 이자·세금·감가상각·무형자산상각 차감 전 이익으로, 영업활동에서 창출되는 현금흐름의 대리 지표로 널리 활용된다. 동일 업종 간 비교나, 자본구조·세제 환경이 상이한 기업 간 수익성 비교에 유용하다.
– 로컬 통화 기준 성장: 각 사업 지역의 현지 통화로 성장률을 산출한 값으로, 환율 변동의 영향을 제거한다. 반면, 현재 환율 가정 하의 전망은 달러 등 보고통화로 환산된 수치를 의미해, 환율 변동 시 실제 보고 성장률이 달라질 수 있다.
– ADS(미국예탁증서): 해외 기업 주식을 미국 투자자가 거래할 수 있도록 예탁기관이 발행한 증서다. ADS 매입은 일반적으로 유통 주식 수 감소를 통해 주당가치 희석을 완화하고, 시장에 주주환원 의지를 신호하는 효과가 있다.
– 10b5-1 계획: 내부정보 보유 가능성이 있는 임원·법인이 사전 수립된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매매를 집행하도록 함으로써, 시점 선택에 관한 자의성과 오해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제도다.
실적 상세와 함의
VEON의 3분기 매출 11억1500만 달러는 전년 대비 7.5% 증가했다. 이는 통신 본업의 가입자 기반 및 데이터 사용량 확대가 유지되는 가운데, 디지털 부문이 63.1%로 고성장하며 믹스 개선을 견인했음을 시사한다. 같은 기간 EBITDA 5억2400만 달러와 +19.7%의 증가는 수익성 중심의 상업정책과 네트워크·인프라 효율화가 병행됐다는 점을 뒷받침한다.
전망 측면에서, 회사는 로컬 통화 기준으로 EBITDA 16%~18% 성장, 매출 13%~15% 성장을 제시했고, 현재 환율 가정 하에서는 총매출 7%~8%, EBITDA 10%~11% 성장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는 현지 사업의 펀더멘털은 두 자릿수 성장을 지속하되, 달러 환산 시 환율 역풍 또는 덜 우호적인 환율 환경이 일부 상쇄할 수 있음을 내포한다.
주주환원과 관련해, 최대 1억 달러 규모의 ADS·회사채 매입 승인은 자본 배분 유연성을 보여준다. 공개시장에서의 단계적 집행과 10b5-1 기반 규칙 준수는 유동성을 고려하면서도 시장 영향 최소화 및 거버넌스 투명성을 확보하려는 접근으로 해석된다. 다만 실제 집행 규모·타이밍은 시장 여건과 내부 자금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투자자 관전 포인트
– 디지털 수익 다각화: 직접 디지털 매출의 63.1% 급증은 통신 외연을 넘어 콘텐츠·금융·플랫폼형 서비스 등에서의 통합 수익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는 ARPU 개선과 이탈률(Churn) 관리에 기여할 수 있어, 중기적으로 수익 기반의 질적 개선으로 연결될 소지가 크다.
– 환율 민감도: 회사가 로컬 통화 기준과 현재 환율 가정 하의 전망을 병기한 것은, 거시 변동성이 보고실적에 미치는 영향을 투자자가 명확히 인지하도록 하려는 조치다. 현지 사업 성장은 견조하나, 보고통화 환산 시 명목 성장률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 자본정책 일관성: 1억 달러 규모의 매입 프로그램은 주주가치 제고 의지를 반영한다. 부채·현금흐름 균형, 투자·성장 및 환원 간 우선순위 설정이 향후 분기별로 점검 포인트가 된다.
원문 출처 및 고지
기타 실적 소식과 일정은 rttnews.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보도는 전했다.
‘본 기사에 나타난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의 것이며, Nasdaq, Inc.의 공식 입장과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