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의 해저 케이블 대전: 1백만 마일의 ‘보이지 않는 인프라’가 미국 주식·경제를 바꾼다 — 2025~2030 투자·안보·규제 시나리오

핵심 요약

  • 전 세계 국제 데이터·음성 트래픽의 95%+가 해저 케이블을 통해 흐른다. 총 연장 약 1백만 마일의 네트워크는 AI·클라우드 시대의 ‘보이지 않는 핵심 인프라’다.
  • 웹스케일(빅테크) 기업이 해저 케이블 투자 주도권을 장악했다. 메타·아마존·구글 등이 단독 소유 혹은 컨소시엄 아래 초대형 노선을 깔며 용량과 경로를 재편 중이다.
  • 2025~2027년 신규 프로젝트 투자액은 약 130억 달러(TeleGeography). CNBC·업계 소스에 따르면 메타의 Project Waterworth(5개 대륙, 약 3.1만 마일), 아마존의 Fastnet(미 메릴랜드–아일랜드, 320Tbps+) 등 대형 노선이 대표적이다.
  • 레드해 절단과 발트해·대만 인근 의도적 손상 의심 증가, NATO ‘Baltic Sentry’ 운영, FCC의 대중(中)·대러(露) 경계 등 ‘해저 케이블의 지정학’이 부상했다.
  • 미국 투자·정책 관점에서 2025~2030년은 ‘자본집약적 확장’과 ‘보안-규제 정교화’의 동시 진행기다. 마진·현금흐름을 좌우할 트렌치(capex tranche)·보험·운영지표를 살펴야 한다.

리드: AI가 ‘연결성’을 다시 쓴다 — 왜 지금 해저 케이블인가

인공지능(AI) 투자 사이클은 ‘컴퓨트–데이터–연결성’의 3요소로 구성된다. 최근 2년간 시장은 GPU·NPU 등 가속기(컴퓨트)와 데이터(모델·토큰·스토리지) 측면에 과열된 조명을 쏟았다. 그러나 데이터센터 간 초저지연·초대역 연결 없이는 AI 클러스터가 ‘값비싼 창고’로 전락한다. CNBC 보도에서 메타 네트워크 부사장 Alex Aime가 지적했듯 “데이터센터를 연결하는 해저 백본이 없으면 AI는 작동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수치는 분명하다. 글로벌 데이터·음성 트래픽의 95% 이상이 해저 케이블을 경유한다. 총 연장 약 1백만 마일의 ‘보이지 않는 파이프라인’은 정부통신·금융거래·협업툴·스트리밍 등 디지털 경제 전반을 떠받친다. 위성은 보완재로서 의미가 있으나 지연(latency)·비용·처리량 한계로 핵심 백본을 대체하기 어렵다. AI 모델 학습·추론의 분산 구조(멀티리전–멀티존)로 트래픽의 다중 왕복이 급증하면서, 해저 광섬유의 용량(Capacity), 경로 다양성(Route diversity), 복원력(Resilience)은 AI 경쟁력 자체로 직결된다.

주목

1) 수요 충격: AI·클라우드의 ‘연결성 필요’가 투자 사이클을 재가속한다

UBS는 2026년 글로벌 AI 설비투자가 5,7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상향 전망했다(이전 5,000억 달러). 같은 맥락에서 TeleGeography는 2025~2027년 신규 해저 케이블 프로젝트 투자액이 약 130억 달러로 추정된다고 밝힌다(2022~2024년 대비 거의 2배). 대륙 간 DCI(Data Center Interconnect) 트래픽 증대, 에지/코어 데이터센터의 지리적 다변화, 하이퍼스케일러의 자체 소유 지분 확대가 합쳐지며 ‘연결성’은 AI·클라우드의 병목을 풀 핵심 자본재로 재인식되고 있다.

실증 사례가 이를 뒷받침한다. 메타Project Waterworth를 공개했다. 총 길이 약 3.1만 마일, 5개 대륙 연결이라는 규모에서 보듯 ‘AI-애니웨어’ 전략의 바탕은 결국 초대형 연계망이다. 아마존(AWS)Fastnet으로 미국 메릴랜드–아일랜드 코크를 직접 묶었다. 설계 용량은 320Tbps+, 아마존 설명대로라면 “동시에 HD 영화 1,250만 편 스트리밍”이 가능한 파이프다. 구글Sol 케이블로 미국–버뮤다–아조레스–스페인을 잇는다.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동종 인프라에 전략적 투자를 지속한다.

공급 측 표식도 분명하다. 업계 1위 제조·설치사 중 하나인 Alcatel Submarine Networks(ASN)는 “약 10년 전부터 메타·구글·아마존 등 웹스케일 플레이어가 등장해 현재 전체 시장의 약 50%를 차지”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해저 케이블 시장의 수요 권력이 통신사에서 빅테크로 이동했음을 가리킨다. 자본 집약적 프로젝트 파이낸싱, 소유·운영 모델 다변화, 일감 파이프라인 측면에서 장주기 투자 사이클의 초입이라는 진단이 설득력을 얻는다.


2) 지정학과 리스크: 케이블 절단, 레드해 사건, 발틱 센트리…‘보안’이 곧 비용이다

수요의 호조만큼 역설적으로 리스크 비용도 커지고 있다. 2025년 9월 홍해에서 발생한 해저 케이블 절단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서비스에 지연·성능 저하를 유발했다. 이전에도 남태평양 통가에서 화산 분화 잔해로 유일한 해저 케이블이 단절돼 국가가 외부 세계와 사실상 단절되는 사건이 있었다. 업계는 다수를 우발적 원인(어업·투묘 사고 등)으로 분류하지만, 발트해·대만 주변에서 의도적 손상으로 의심되는 사건 빈도가 늘고 있다는 경보가 나온다(Recorded Future·CNBC 보도).

주목

서방군사동맹도 움직였다. NATO는 2025년 1월 발트해 연쇄 절단 사건 후 ‘Baltic Sentry’ 작전을 개시했다. 드론·항공기·수중/수상함정이 해당 해역의 해저 인프라를 상시 감시·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했고, 1월 말 이후 발트해 절단 보고가 사라졌다는 기록이 남았다. 이는 감시·억지의 효과를 방증한다. 미국도 FCC가 대중(中)·대러(露) 위협을 거론하며 적성국과 직접 연결하는 케이블의 구축을 어렵게 하거나 사실상 금지하는 방향으로 심사를 강화했다. 중국 연계 유지보수업체 사용 여부에 대한 미 하원의 질의서에 대해 메타·아마존은 ‘협력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요지는 분명하다. 해저 케이블=전략자산이라는 인식이 확산했다. 결과적으로 자본비용(WACC)과 OPEX(감시·보험·복구비용)는 상승 압력을 받는다. 보험·재보험 시장에서는 특정 해역(홍해·발트해·대만해협 등)에 대한 프리미엄 인상공제액 확대가 불가피하다. 정책·안보 프레임이 경제적 비용 곡선을 끌어올리는 구조다.


3) 미국 경제·주식시장에의 함의: 2025~2030 ‘연결성 재무장’의 경제학

3-1. GDP·거시

  • 디지털 수출: 미국은 클라우드·SaaS·콘텐츠·핀테크 등 디지털 서비스 수출 강국이다. 해저 케이블 확충은 지연·품질·신뢰성 측면에서 수출경쟁력을 강화한다. AI 기반 생산성(코파일럿·검색·리테일 미디어)의 해외 확산도 케이블 품질에 의존한다.
  • 투자 승수: 130억 달러(2025~2027)의 글로벌 케이블 capex는 미국 조선·광섬유·반도체 광모듈·해양시공·보안 소프트웨어 등 연관 산업에 파급을 일으킨다. 케이블 부설선 공급 부족이 병목으로 지목되는 만큼 선대(船隊) 증설과 정비 산업이 중장기 성장축을 얻는다.

3-2. 섹터·밸류

  • 하이퍼스케일러: 케이블 소유·공동소유는 장기 감가상각 자산으로, CAPEX 부담을 높이지만 트래픽/마진 방어·서비스 품질 우위를 제공한다. AI 매출 성장률(엔터프라이즈 AI, 리테일 미디어, CTV 등)이 연결성 병목 해소에 달린 부분이 커진다.
  • 장비·부품·설치: 광섬유(프리폼)·증폭기/리피터·해저 분기장치(BU)·광모듈(코히어런트)·전력 피딩 시스템(PFE) 수요가 동조 확대. ASN 같은 시스템 통합사, 해저 포설 전문사, 유지보수(케이블선) 생태계의 탄력적 회복이 예상된다.
  • 보안·보험: 위협 정보·수중 감시·트래픽 이상감지(머신러닝)·NATO 연계 경보체계에 기회. 해상·사이버 결합형 정책 상품의 리프라이싱이 지속될 전망이다.

4) 2025~2030 시나리오 매트릭스

시나리오 가정 해저 케이블 CAPEX 미국 주식·경제 함의
상방(가속) AI CAPEX 2026~2028년 고지 유지(UBS 경로), 지정학 리스크 완화, NATO 감시 상시화 연 60~70억 달러(27년 이후도 고점 체류) 하이퍼스케일러 FCF 방어, 광모듈/시공사 멀티플 리레이팅, 디지털 수출 가속
기준 AI CAPEX 성장 둔화·정상화, 리스크 관리 표준화(FCC·NATO), 보험료 점진 상승 연 40~50억 달러(27년 피크 후 완만 하향) 수익/현금흐름의 질 중시, 장치·선박 병목 완화, 은행·보험의 리스크 프라이싱 안정
하방(충격) 지정학 긴장 재격화(홍해/발트해/대만 동시 이벤트), 대형 절단·복구 지연 프로젝트 지연·비용 초과, 보험·재보험 마진 압박 하이퍼스케일러 CAPEX 재조정, 일부 서비스 가용성·지연 악화, 관련주 변동성 확대

5) 규제·정책: ‘안보화’의 경제학 — FCC·NATO·의회

FCC는 대중·대러 리스크를 공개적으로 언급하며 해저 케이블 허가·감시의 촘촘함을 높였다. 의회 서한은 글로벌 클라우드 4대사(메타·아마존·구글·MS)에 중국 연계 유지보수업체 사용 여부를 질의했고, 일부 기업은 불사용을 명시했다. NATO의 발트해 상시 감시, 미국 해군·해안경비대의 해저 인프라 보호 역할 증가는 민관 합동 ‘해양 가시성’ 체계를 제도화한다. 이 모든 조치는 자본·운영비 상승을 가져오지만, 대규모 서비스 중단 리스크에 비하면 ‘보험료’에 가깝다.

정책 제언: (1) 미국–동맹 간 다중 경로 신규노선 공동투자(인도-중동-유럽 회랑 보강 포함), (2) 복구 선대(케이블선) 확충·신속투입 협약, (3) 표준화된 보안프레임(장비·소프트웨어 SBOM, 공급망 검증), (4) 민관 정보공유(NATO·CISA·FCC 연계)로 경보체계를 상시화해야 한다.


6) 기업 전략: CFO·CIO 체크리스트

  • CAPEX 트렌치 설계: 케이블 RFS(Ready for Service) 일정·용량단가·IRU(Indefeasible Right of Use) 가격을 반영해 3~5년 트렌치를 짠다. 프로젝트 분산(컨소시엄/단독)로 리스크를 헷지한다.
  • 경로 다양성·재해복구: 물리적 이원화(대양·해역 분산), 재생 리피터·증폭기 교체 주기, 자동 우회(자동화된 TE route) 정책을 정교화한다.
  • 보안·보험: 수중 감시·트래픽 이상감지·AI 기반 시그널 분석을 접목한다. 고위험 해역 보험 공제액·프리미엄을 재협상하고, 자체 리스크 풀을 검토한다.
  • 계약·규제: FCC·해양 규제, 케이블 보호구역, 어업·항만 이해관계자와 조정 절차를 선제 반영한다.

7) 투자 관점: ‘연결성 인플라’의 리레이팅 — 무엇을 볼 것인가

개별 종목 명시 추천 없이 섹터 뷰로 정리한다.

  • 시스템 통합/설치: 수주잔고·포설선 가동률·프로젝트 마진. 병목(선단 부족·허가 지연) 완화 신호가 멀티플 상향 요인이다.
  • 광학·부품: 코히어런트 모듈·리피터·증폭기·PFE. 하이퍼스케일러 DCI 수요 회복과 함께 매출 민감도가 크다.
  • 보안·관제: 해양 감시·트래픽 이상징후 탐지·사이버-물리 융합 솔루션. NATO·FCC 프레임 정착 시 구조적 성장.
  • 보험·재보험: 빈도/강도 리프라이싱. 리스크 모델 정교화·테크 파트너십(센싱·데이터)을 갖춘 플레이어가 유리하다.

8) 데이터·지표 워치리스트(Quarterly)

  1. TeleGeography 신규 케이블 목록·용량·RFS 일정
  2. 하이퍼스케일러 CAPEX: 연결성(해저/지상) 항목의 비중 추적
  3. IRU 가격·용량단가($/Gbps/월), 노선별 스프레드
  4. 사고·절단 통계: 해역별 발생·복구 MTTR
  5. 보험료·공제액: 해역별 레이트 변화, 보험/재보험 손해율
  6. 정책 이벤트: FCC 허가·NATO 작전, 미·EU/일 동맹 공동선언

9) 반론과 한계: 위성 대체론·과잉투자 우려·자본비용

  • 위성 대체론: LEO(저궤도) 위성은 백홀·백업·리치 확장에 유효하나, 장거리 대용량·초저지연에서는 해저 광섬유가 우위다. 위성은 보완재로 보아야 한다.
  • 과잉투자: 2000년대 닷컴 버블 때 케이블 과잉의 기억이 있으나, 이번 사이클은 대형 클라우드의 직접 수요자산 소유가 견인한다. 수익성 초점은 IRU·콘도 케이블 모델의 장기 사용률에 달린다.
  • 자본비용 상승: 보안·보험·규제 비용이 상승한다. 그러나 대규모 장애의 경제적 비용을 감안하면 ‘위험 대비 비용’으로 정당화된다.

결론: 2025~2030 ‘연결성 재무장’ — 해저 케이블은 AI 경제의 안전판이다

AI·클라우드의 성패는 결국 연결성에서 판가름난다. 해저 케이블은 디지털 무역로이고, 데이터는 차세대 원유다. 2025~2030년 미국 주식·경제의 장기 변수로서 해저 케이블은 (1) AI CAPEX를 변환해 매출·현금흐름으로 잇는 필수 인프라, (2) 지정학·규제가 결합된 전략자산, (3) 하이퍼스케일러·장비·설치·보안·보험에 걸친 멀티 섹터 플레이라는 세 가지 얼굴을 지닌다. 투자자는 용량·경로·복원력의 3대 축을 지표로 삼아 연결성 인플라의 리레이팅을 추적해야 한다. 정책 당국은 민관 협력 아래 해저 케이블의 감시·보호·복구 프레임을 상시화해 ‘AI 경제의 안전판’을 공고히 해야 한다. 데이터의 시대에, 바다 아래 깔린 유리섬유가 곧 성장의 신경망이기 때문이다.


출처·근거(본문 반영): CNBC·TeleGeography·Recorded Future·NATO·FCC 공개 발언 및 보도. 구체 사례: Meta Project Waterworth(5대륙·약 3.1만 마일), AWS Fastnet(미 메릴랜드–아일랜드, 320Tbps+), Google Sol, Microsoft Azure 레드해 절단 영향(2025.9), NATO ‘Baltic Sentry’ 작전(발트해), FCC의 대중·대러 심사 강화, 미 하원 질의서 및 기업 답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