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화 선물 가격이 금요일 정오 무렵 약세를 보이며 69~92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시각 원유 선물은 배럴당 8센트의 변동을 보이며 $59.35를 가리켰고, 미국 달러 인덱스는 $0.270 하락한 99.315로 집계됐다다.
2025년 11월 9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온라인 경매 플랫폼 The Seam의 목요일(11월 6일) 경매에서는 총 2,261베일이 거래됐고, 평균 가격은 파운드당 63.81센트였다. 국제 현물 지표인 Cotlook A Index는 11월 6일 기준 76.55센트로 변동이 없었다고 전했다다.
ICE(인터컨티넨탈익스체인지)가 인증한 면화 재고는 11월 6일 기준 13,749베일로 보합을 유지했다. 한편, AWP(Adjusted World Price, 조정 세계가격)는 정부 셧다운의 영향으로 여전히 업데이트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다.
이날 놓치지 말아야 할 포인트: 원유부터 커피까지, 바차트의 프리미엄 원자재 분석 뉴스레터를 무료로 구독하라. [ /my/barchart-newsletters/commodity-bulletin ]
선물 월물별 동향
Dec 25 Cotton [https://www.barchart.com/futures/quotes/ct*1/overview]은(는) 63.63로, 91포인트 하락했다다.
Mar 26 Cotton [https://www.barchart.com/futures/quotes/ct*2/overview]은(는) 65.08로, 69포인트 하락했다다.
May 26 Cotton [https://www.barchart.com/futures/quotes/CTZ24/overview]은(는) 66.24로, 74포인트 하락했다다.
저자 및 공시
본 기사 작성일 기준, Austin Schroeder [https://www.barchart.com/news/authors/48/austin-schroeder]는 본문에 언급된 어떠한 증권에도 직·간접 보유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본 기사의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바차트의 공시 정책을 참고하라 [https://www.barchart.com/terms#disclosure].
More news from Barchart
• How Much Lower Will Cotton Prices Go?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5986655/how-much-lower-will-cotton-prices-go]
• Grain Bulls Are Back in Business as China Resumes Soybean, Wheat Purchases. What Comes Next?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5870807/grain-bulls-are-back-in-business-as-china-resumes-soybean-wheat-purchases-what-comes-next]
• China Wants to Buy U.S. Wheat. How to Play Wheat Futures Now.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5866042/china-wants-to-buy-u-s-wheat-how-to-play-wheat-futures-now]
• Upcoming U.S.-China Talks Create 1 Bullish Soybean Trade Here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5730556/upcoming-u-s-china-talks-create-1-bullish-soybean-trade-here]
본 기사에 담긴 견해와 의견은 전적으로 필자 개인의 것이며, 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용어 설명과 맥락
The Seam: 면화 및 섬유를 대상로 하는 온라인 경매·거래 플랫폼으로, 실물 면화의 거래 물량과 평균 가격이 시장 체감가격을 보여주는 선행·보조지표로 활용된다다.
Cotlook A Index: 국제 면화 현물 가격을 반영하는 대표 지표로, 여러 원산지의 프리미엄 면화 견적을 가중 평균해 산출한다. 11월 6일 기준 76.55센트로 ‘보합’을 기록했다는 점은, 단기 현물 가격 변동이 제한적이었음을 시사한다다.
ICE 인증 재고(ICE Certified Stocks): 인터컨티넨탈익스체인지(ICE)가 선물 인도 요건을 충족한다고 인증한 인도 가능 면화 재고를 의미한다. 13,749베일로 ‘보합’이라는 점은, 단기 공급 여건이 급변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다.
AWP(Adjusted World Price): 통상 미국 농무부(USDA)가 주기적으로 고시하는 조정 세계가격으로, 미국 면화의 대외 경쟁력과 보조금 계산 등에 참고된다. 정부 셧다운으로 업데이트가 중단될 경우, 일부 현물·수출 관련 가격 참조가 지연될 수 있다다.
기자 해설: 면화 선물 약세의 함의
이번 보도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면화 선물은 금요일 정오 기준 69~92포인트 약세를 보였다. 같은 날 달러 인덱스가 99.315로 하락하고, 원유 선물이 59.35달러를 가리킨 점은 원자재 전반의 투자 심리를 가늠하는 보조지표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달러 약세는 달러 표시 원자재에 우호적으로 작용하는 경향이 있으나, 면화는 수요(방직·리테일), 재고(ICE 인증 재고), 현물 지표(Cotlook A), 정부 정책(AWP) 등 복합 요인에 의해 좌우된다. 이날 Cotlook A Index 보합과 ICE 인증 재고 보합이 동시에 관측되었음에도 선물 가격이 하락한 것은, 선물 시장의 단기 포지셔닝 혹은 매크로 변동성이 가격에 더 크게 반영됐을 가능성을 시사한다다.
또한 AWP 업데이트 중단은 시장 참여자들이 참고하는 가격 앵커의 불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 이는 현물·수출 결정과 헤지 전략 수립에 일시적 공백을 만들 수 있으며, 월물별로 다른 민감도를 보일 수 있다. 실제로 보도에 따르면 Dec 25, Mar 26, May 26 각 월물이 91, 69, 74포인트 하락해, 단기물과 중기물 전반에서 약세가 동시 발생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다.
결론적으로, 현물 지표 보합·인증 재고 안정이라는 공급·현물 축은 비교적 차분한 반면, 선물 가격의 하락은 투자자 심리와 포지션 재조정 요인이 강했음을 시사한다. 향후 관전 포인트는 AWP 재개 업데이트 시점, Cotlook A Index의 추세 전환 여부, ICE 인증 재고의 변화 그리고 달러 인덱스·에너지 가격의 상관 변동성이다. 단, 본 해설은 기사에 포함된 수치·사실을 토대로 한 일반적 시장 메커니즘 설명으로, 개별 투자 판단의 근거로 삼기보다는 시장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