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선물 가격이 금요일 급등 마감했다. 12월 만기 ICE 아라비카 커피(KCZ25)는 +11.05센트(+2.79%) 상승했고, 1월 만기 ICE 로부스타 커피(RMF26)는 +118달러(+2.60%) 올랐다.
2025년 11월 8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커피 가격은 ICE 인증 재고 감소가 심화되면서 급등했다. 미국의 브라질산 수입 커피에 대한 50% 관세가 ICE 커피 재고의 급격한 소진을 초래한 것으로 분석된다. ICE 모니터링 아라비카 재고는 금요일 기준 417,478포대로 1.75년 만의 최저를 기록했으며, ICE 로부스타 재고는 5,926랏으로 3.5개월 만의 최저로 내려앉았다. 미국의 원두 수입의 약 3분의 1이 브라질산인 가운데, 50% 관세로 인해 미국 바이어들이 브라질 커피 신규 계약을 취소하면서 국내 공급이 더 타이트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원유에서 커피까지, 바차트의 상품 분석 레터에 무료 구독을 권한다는 안내가 있었다.
전 세계 악천후 리스크도 커피 가격을 떠받쳤다. 브라질 기상업체 소마르 메테오롤로지아(Somar Meteorologia)는 10월 31일로 끝난 주에 브라질 최대 아라비카 산지인 미나스제라이스가 33.4mm의 강우만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역사적 평균의 75% 수준이며, 직전 주에는 정상 강우의 1%에 불과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태풍 칼마에기(Kalmaegi)가 목요일 베트남 남부에 상륙했고, 베트남 기상당국은 중부 고원지대(국내 최대 로부스타 산지) 전역의 집중호우가 급류·산사태를 유발해 로부스타 작물에 피해를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라니냐 가능성 상향도 시장의 불안을 자극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은 9월 16일 남반구 10~12월 사이 라니냐 발생 가능성을 71%로 상향했는데, 이는 브라질의 과도한 건조를 초래해 2026/27년산 커피 작황에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우려로 연결됐다. 브라질은 전 세계 최대 아라비카 생산국이다.
증가하는 베트남 공급은 가격에 하방 압력을 주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베트남 통계청은 목요일 발표에서 2025년 1~10월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13.4% 증가한 131만 톤(1.31 MMT)이라고 밝혔다. 또한 2025/26년 커피 생산은 전년 대비 +6% 늘어난 176만 톤(1.76 MMT)으로, 포대 기준 2,940만 포대의 4년래 최고가 전망됐다. 여기에 베트남 커피·카카오협회(Vicofa)는 10월 24일, 기상이 양호할 경우 2025/26년 베트남 커피 생산이 전년 대비 10% 증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베트남은 세계 최대의 로부스타 생산국이다.
관세 리스크의 반전 가능성도 시장 심리를 흔들었다. 지난주 월요일 브라질 대통령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동이 “놀랍도록 좋았다”고 말하고,
미·브라질 통상 문제에 대해 “며칠 내 결정적 해결이 가능하다”
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미국의 브라질산 커피 50% 관세가 조만간 해제될 수 있다는 관측이 확산하며, 아라비카 선물 가격의 상단을 누르는 변수로 작용했다.
국제 커피 수출 동향도 확인됐다. 국제커피기구(ICO)는 10월 6일 발표에서 현재 마케팅 연도(10월~8월) 전 세계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0.2% 증가한 1억 2,792만 포대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수출과 공급이 대체로 원활함을 시사하는 수치다.
브라질 생산 전망 하향도 주목됐다. 브라질 농업공급공사(Conab)는 9월 4일 브라질 2025년산 아라비카 생산 추정을 -4.9% 낮춘 3,520만 포대로 조정했다(5월 전망치 3,700만 포대). 동시에 브라질 2025년 커피 총생산 전망치를 -0.9% 하향한 5,520만 포대로 발표했다(5월 5,570만 포대).
글로벌 수급 중장기 전망에서는 미국 농무부 해외농업국(USDA FAS)이 6월 25일 2025/26년 세계 커피 생산이 전년 대비 +2.5% 증가한 1억 7,868만 포대로 사상 최고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품종별로는 아라비카가 -1.7% 감소한 9,702만 2,000포대이고, 로부스타가 +7.9% 증가한 8,165만 8,000포대로 전망했다. 국가별로는 브라질 2025/26 생산이 +0.5% 늘어난 6,500만 포대, 베트남은 +6.9% 증가한 3,100만 포대(4년래 최고)로 예상했다. 2025/26년 기말 재고는 +4.9% 증가한 2,281만 9,000포대(2024/25년 2,175만 2,000포대)로 전망됐다.
공시 및 면책에 따르면,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본 기사에 언급된 어떤 증권에도 직·간접적으로 보유 포지션이 없었다. 본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다. 관련 바차트 공시 정책은 바차트의 안내에 따랐다.
본 문서에 담긴 견해와 의견은 필자 고유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견해를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용어·지표 해설
– ICE 인증 재고: ICE 거래소가 품질과 규격을 확인해 선물 인도에 사용할 수 있다고 인증한 재고를 뜻한다. 재고 감소는 단기 공급 타이트를, 증가는 완화를 시사하는 경향이 있다.
– 아라비카 vs 로부스타: 아라비카는 향미가 섬세하고 주로 브라질·콜롬비아에서 생산되며, 로부스타는 카페인 함량이 높고 베트남·인도네시아 등에서 대량 생산된다. 일반적으로 아라비카가 가격 우위다.
– 랏(lot): 선물시장 표준 계약 단위를 뜻한다. ICE 로부스타의 재고 표기는 랏 기준으로 공시되며, 가격·공급 타이트니스의 지표로 활용된다.
– 포대(bag): 국제 커피 통계의 표준 단위로 보통 60kg을 의미한다.
– 라니냐: 적도 태평양 동부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낮아지는 현상으로, 남미·동남아 기상에 변동성을 키워 농산물 작황에 큰 영향을 준다.
– Conab·USDA FAS·ICO: 각각 브라질의 공식 작황 예측기관, 미국 농무부 해외농업국, 국제 커피 무역기구로서 생산·수출·재고에 대한 주요 레퍼런스 데이터를 제공한다.
기자 해설: 현재 가격을 움직이는 핵심 축과 시나리오
이번 급등은 정책(관세)과 재고, 기상이 결합한 전형적 공급 쇼크의 초입 국면으로 해석된다. 단기적으로는 미국의 브라질산 50% 관세가 미국 내 재고 재배치와 계약 취소를 촉발해 현물 타이트를 강화하고 있다. NOAA의 라니냐 71% 가능성은 브라질의 건조 리스크를 매개로 2026/27년산까지 중기 공급 우려를 확장한다. 반면 베트남의 수출 증가와 생산 확대는 로부스타 쪽에서 완충 역할을 할 수 있어, 품종 간 스프레드 변동성이 커질 여지가 있다. 관세 해제 가능성은 아라비카에 즉각적인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해제 시점·방식이 불확실한 만큼 정책 헤드라인 리스크는 지속될 전망이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ICE 인증 재고 추이와 브라질 강우·베트남 중부 고원 강우 모니터링이 핵심 체크포인트다. 다만 본 해설은 공시된 수치와 공식 발언의 맥락적 해석에 국한되며, 새로운 사실을 추가하지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