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리언 호그) 선물, 단기물 하락·원월물 혼조 마감…펀드 순매수 확대와 현물지표 견조

미국 CME리언 호그(Lean Hog) 선물은 금요일(현지시간) 장에서 근월물(nearby) 하락과 일부 원월물(back months) 상승이 뒤섞인 채 혼조 마감했다. 근월물은 대체로 50~85센트 하락했으며, 4월물은 주간 기준 4.925달러 하락했다. 미 농무부(USDA)에 따르면 금요일 오후 전국 평균 현물 기준가(base hog negotiated price)$90.08로 전일 대비 64센트 상승했다. CME 리언 호그 현물지수(Lean Hog Index)2월 19일 기준 전일 대비 24센트 오른 $91.22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2025년 11월 8일, Barchart 보도에 따르면 커미트먼트 오브 트레이더스(Commitment of Traders, COT) 자료는 2월 18일 기준 투기적 펀드의 리언 호그 선물·옵션 순매수 포지션이 11,522계약 증가총 114,148계약에 도달했음을 보여줬다. 이는 크리스마스 이후 최대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펀드의 순매수 확대는 가격에 대한 상승 기대 또는 위험선호 회복을 시사하지만, 근월물 약세와의 괴리는 단기 수급과 원가 구조, 스프레드 거래가 팽팽함을 반영한다.

USDA의 금요일자 주간 수출판매 보고서에 따르면 2월 13일로 끝난 주미국 돼지고기 수출판매는 총 25,628톤(MT)으로 전주의 저점에서 반등했다. 멕시코5,700톤으로 최대 구매국이었고, 일본4,100톤을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선적(shipment) 물량은 29,954톤으로 4주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선적 최대 도착지멕시코(12,200톤)였으며, 한국일본으로 각각 4,000톤이 향했다.

주목

현물 지표도 강세를 보였다. USDA 금요일 오후 FOB 플랜트 포크 커트아웃 값cwt당 $97.07로 전일 대비 $3.04 상승했다. 모든 주요 부위(primals)가 상승했으며, 특히 삼겹(belly) 부위가 $7.89 급등하며 전체 지수를 이끌었다. 한편, 연방 감시 도축(Federally inspected) 주간 돼지 도축 두수253.6만두로 추정됐다. 이는 전주 대비 7,000두 증가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40,946두 감소했다.

선물 종가 요약2025년 4월물 리언 호그 선물(Apr 25 Hogs, 참조: https://www.barchart.com/futures/quotes/he*1/overview)은 $87.6750.850달러 하락 마감했다. 2025년 5월물(May 25 Hogs, 참조: https://www.barchart.com/futures/quotes/he*2/overview)은 $91.9500.500달러 하락했다. 2025년 6월물(Jun 25 Hogs, 참조: https://www.barchart.com/futures/quotes/HE*3/overview)은 $100.6250.325달러 상승 마감했다.


시장 해설과 의미

이번 주 리언 호그 시장의 핵심 특징근월물 약세·원월물 견조라는 커브의 혼조다. 현물 기준가와 CME 리언 호그 지수가 동시에 상승하는 가운데 근월물이 약세를 보인 점은, 단기 공급(도축 두수) 증가와 현물 강세의 줄다리기를 시사한다. 주간 도축은 전주 대비 소폭 증가했으나 전년 대비 감소해 공급 압력은 완화 추세로 읽힌다. 반면 포크 커트아웃의 뚜렷한 반등, 특히 삼겹 부위 급등은 계절적 수요 회복과 재고 재축적 움직임을 반영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원월물 프리미엄은 유지되며 여름 수요 시즌을 앞둔 기대가 가격에 부분적으로 선반영되고 있다.

주목

투기적 펀드의 순매수 확대(+11,522계약, 총 114,148계약)는 가격의 상승 베팅 강화를 드러낸다. 다만, 펀드 포지션이 크리스마스 이후 최대라는 점은 상방 포지션의 과밀 위험도 동반한다. 통상 COT 상 순매수가 극대화될수록 단기 조정 변동성이 커질 수 있어, 현물 지표(현물 기준가·커트아웃·도축 두수)추가 개선 여부가 가격의 지속적 랠리를 정당화하는 데 중요하다. 금주 수출판매는 반등했지만 선적 물량이 4주 저점을 기록해, 실제 외수(오프테이크) 흐름이 매끈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특히 멕시코·일본·한국의 수요는 여전히 시장의 방파제 역할을 하고 있으나, 선적의 모멘텀이 당분간 주가·선물의 상단을 제한할 수 있다.

커브 구조 관점에서 근월물 하락·원월물 상승시간가치와 캐리(cost of carry), 그리고 현물과 도체 가격 지표의 시간차를 반영한다. 커트아웃 급반등이 이어질 경우 근월물도 현물 강세로 수렴할 여지가 있으나, 도축 두수가 단기적으로 늘면 스프레드 약세가 반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기 트레이더는 현물 기준가·커트아웃·도축3대 지표와 함께, CME 호그 인덱스지연 반영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용어 풀이와 실무 참고

리언 호그(Lean Hog): 미국 CME에서 거래되는 돼지고기 선물로, 살코기 위주의 돼지고기 가격을 반영한다. 축산물 가격 헤지 및 투자의 대표적 파생상품이다.

근월물·원월물: 만기가 가까운 계약을 근월물, 만기가 먼 계약을 원월물이라 한다. 수급·계절성·캐리 비용에 따라 양자의 가격 움직임이 다를 수 있다.

USDA 현물 기준가(Base Hog Negotiated Price): 도축장과 생산자 간 협상으로 형성된 현물 돼지 거래의 전국 평균가격을 뜻한다.

CME 리언 호그 인덱스: 주로 현물 시장 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출되는 현물 지표로, 선물 가격의 공정가치 평가에 참조된다. 통상 몇 일의 시차를 두고 반영된다.

COT(Commitment of Traders): 미국 CFTC가 발표하는 포지션 보고서로, 상업·비상업(투기)·소형 참가자 그룹의 순포지션 변화를 파악해 심리·수급을 읽는 데 활용한다.

포크 커트아웃(Pork Cutout): 도축된 돼지 도체를 부위별로 평가해 산출한 가중 평균 도체 절단가로, FOB 플랜트 기준 cwt(100파운드)당 가격으로 발표된다. 부위별 수요·공급 변동이 지수에 직접 반영된다.

프라이멀(Primal): 삼겹(belly), 등심(loin), 햄(ham) 등 주요 부위를 말한다. 프라이멀 가격이 상승하면 커트아웃 지수도 동행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연방 감시 도축(Federally inspected slaughter): 연방 기준에 따라 검역·검사를 거친 도축 두수로, 공급 흐름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다.


향후 체크포인트

1) 커트아웃 지수가 추가 상승해 $100/cwt 회복을 시도하는지, 2) USDA 현물 기준가CME 호그 인덱스의 상승세가 근월물로 얼마나 빠르게 전이되는지, 3) 도축 두수가 전년 대비 감소폭을 확대해 공급 타이트닝을 강화하는지, 4) 수출(멕시코·일본·한국 중심)의 선적 회복이 확인되는지에 따라 가격 경로가 재조정될 수 있다.


“해당 기사의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작성일 기준 Austin Schroeder는 본문에 언급된 어떤 종목에도 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 본 콘텐츠는 Barchart의 공시 정책을 따른다.”

Barchart의 추가 뉴스로서 관련 업데이트가 이어지고 있으며, 기사 내 의견과 견해는 작성자 개인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입장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