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 선물 시장이 목요일(현지시간) 중국의 매입 소식을 재료로 한 ‘사실 공개 후 매도(sell the fact)’ 흐름을 보이며 하락 마감했다. 시카고 선물거래소(CBT/CBOT)의 연질 적색 겨울밀(SRW) 선물은 대부분의 주월물이 18~20센트 하락했다. 캔자스시티(KCBT)의 경질 적색 겨울밀(HRW) 선물도 근월물 중심으로 16~18센트 떨어졌다. 미니애폴리스(MPLS·MGEX)의 춘파밀(봄밀) 선물은 혼조였는데, 근월물인 12월물은 3/4센트 상승한 반면, 다른 월물은 2센트 하락했다.
2025년 11월 7일, 나스닥닷컴(Nasdaq.com)에 게재된 바차트(Barchart) 기고에 따르면, 전일 야간에 중국이 미(美)산 밀 12만 톤(MT)을 매입한 것으로 보고됐다. 이 가운데 6만 톤은 연질밀, 6만 톤은 춘파밀로 추정됐다. 또 한국에서는 두 건의 별도 입찰을 통해 선적지 선택(옵셔널 오리진) 조건으로 6만 톤을 매입했으며, 한 제분업체 수입상은 미국산 밀 5만 톤 입찰을 공고하고 마감기한을 금요일로 제시했다.
“원유에서 커피까지, 바차트의 프리미엄 상품 분석을 무료로 받아보라.”
바차트는 자사 커머디티 뉴스레터 구독을 통해 시장 브리핑을 제공하고 있다고 안내했다.
USDA(미 농무부)의 주간 수출판매보고서는 정부 셧다운이 기록적으로 장기화되면서 6주 연속 발표되지 못했다. 트레이더들은 10월 30일자 주간 기준으로 밀 25만~65만 톤의 수출 판매가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했다.
주요 선물 종가(현지시간 목요일)
– Dec 25 CBOT Wheat(ZW*1): $5.35 1/2, -19 1/4센트 마감
– Mar 26 CBOT Wheat(ZW*2): $5.49 3/4, -18 1/4센트 마감
– Dec 25 KCBT Wheat (KE*1): $5.22 1/4, -17 3/4센트 마감
– Mar 26 KCBT Wheat (KE*2): $5.37, -16 1/2센트 마감
– Dec 25 MGEX Wheat (MW*1): $5.57, +3/4센트 마감
– Mar 26 MGEX Wheat (MW*1): $5.72 1/4, -2센트 마감
용어와 시장 구조 해설
– CBT/CBOT(시카고 선물거래소): 세계 최대 농산물 선물 거래소 중 하나로, 연질 적색 겨울밀(SRW)이 대표 상품이다. KCBT(캔자스시티)는 경질 적색 겨울밀(HRW)이 주로 거래되며, MGEX/MPLS(미니애폴리스)는 춘파밀(봄밀) 선물을 상장한다. 이 세 시장은 단백질 함량·재배 시기·용도(제빵/제과/누들 등)에 따라 서로 다른 밀 등급을 가격으로 반영한다.
– 연질(SRW)·경질(HRW)·춘파밀: SRW는 상대적으로 단백질이 낮아 제과용 수요가 크고, HRW는 단백질이 높아 제빵·제면용으로 선호된다. 춘파밀은 봄에 파종해 여름에 수확하며, 단백질이 높아 고급 제빵용으로 쓰인다. 이러한 품종 차이가 스프레드(시장 간 가격차)와 헤지 전략의 핵심이 된다.
– ‘사실에 매도(sell the fact)’: 호재성 루머(기대)가 선반영된 뒤, 실제 발표가 나오면 차익실현이 나오며 되레 가격이 하락하는 전형적 패턴을 말한다. 중국의 실수요 매입 소식에도 약세 베팅(베어)이 우세해진 것은, 이미 전일 혹은 그 이전에 매입 기대감이 가격에 반영됐다는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이번 하락의 함의와 시장 해석
첫째, 중국의 12만 톤 매입과 한국의 입찰이라는 수요 재료에도 가격이 하락했다는 점은, 단기 펀더멘털보다 포지셔닝이 가격을 주도했음을 시사한다. 특히 근월물 약세는 당면 수급보다 보유 물량의 차익 실현 혹은 테크니컬 매도가 강했다는 신호로 읽힌다. 반대로 미니애폴리스 춘파밀 12월물이 소폭 상승한 점은, 등급 간 스프레드에서 고단백·봄밀 프리미엄이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USDA 수출판매 통계 공백은 가격발견의 불확실성을 키운다. 6주 연속 데이터 부재는 트레이더로 하여금 사설 데이터와 시장 추정치에 더 의존하게 만들고, 이는 헤드라인 민감도를 높여 변동성 확대로 연결되기 쉽다. 기사에 언급된 10월 30일 주간 25만~65만 톤 추정 범위 역시 편차가 크며, 이 범위 내에서 기대-실제 간 간극이 가격 급등락을 유발할 수 있다.
셋째, 옵셔널 오리진(선적지 선택) 조건의 한국 6만 톤 매입은 구매자가 가격·물류 여건에 따라 공급 원산지를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음을 뜻한다. 이는 미국·호주·캐나다·EU 등 주요 산지 간 상대 가격 경쟁을 자극해, 특정 등급 밀의 스프레드에 미세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여기에 한국 제분업체의 미국산 5만 톤 입찰은 미국산 HRW·SRW의 프라이스 디스커버리에 직접적 단초를 제공한다.
넷째, 표기된 가격 단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문의 센트(cents)는 보셸당 가격의 증감을 의미하며, 19 1/4센트는 0.1925달러의 변화를 뜻한다. 또한 MT(메트릭 톤)은 1,000kg 단위이며, 농산물 국제 거래에서 통용되는 표준이다. $5.35 1/2와 같이 분수 표기가 등장하기도 하는데, 이는 틱사이즈와 결부된 전통적 호가 관행의 잔재다.
다섯째, 거래 전략적 시사점으로는 다음이 눈에 띈다. 데이터 공백 국면에서는 헤드라인·입찰 결과·실수요 공시가 가격의 단기 지배 변수가 되기 쉽다. 이에 따라 스프레드 트레이딩(예: SRW 대 HRW, 겨울밀 대 봄밀)과 달력 스프레드(근월-원월) 관리가 중요하다. 또한,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변동성 확대를 감안한 증거금·손절·헤지 재설정이 요구된다. 다만, 본문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자문이 아니다.
게재 시점 기준, Austin Schroeder는 본문에서 언급된 어떤 유가증권에도 직접·간접 보유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본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한다. 자세한 사항은 Barchart Disclosure Policy를 참고할 수 있다.
기사에 제시된 견해와 의견은 필자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고 명시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