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화 선물이 목요일 장 마감 기준으로 근월물에서 62~75포인트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다다. 같은 날 원유 선물은 배럴당 7센트 내린 $59.53에 마감했고, 미국 달러 인덱스는 $0.499 하락한 99.560을 기록했다다. 상품 시장 전반에서 에너지와 환율 지표가 모두 약세를 보였으나, 면화 가격은 동반 하락세로 귀결됐다다.
2025년 11월 7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면화 선물 가격 움직임은 에너지 가격의 미세한 조정과 달러 약세에도 불구하고 공급·수급 및 현물 지표의 영향을 더 크게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다. 특히 현물 기준지수와 인증 재고, 온라인 경매 결과 등이 단기 방향성에 영향을 미친 가운데, 거래 심리는 보수적으로 흘렀다다.
현물 지표 측면에서, The Seam이 수요일에 진행한 온라인 경매에서는 총 2,463베일이 거래되었으며, 파운드(lb)당 평균 62.98센트에 체결됐다다. 국제 현물 기준인 코틀룩 A 지수(Cotlook A Index)는 11월 5일 기준 전일 대비 55포인트 하락해 파운드당 76.55센트를 나타냈다다. 또, ICE 인증 면화 재고는 11월 4일 기준 13,749베일로 변동 없이 유지됐다다. 한편, 미 연방정부 셧다운 영향으로 AWP(조정 세계가격, Adjusted World Price)는 계속해 업데이트가 중단되고 있다고 전했다다.
Don’t Miss a Day: 원유부터 커피까지, 바차트의 고급 상품 분석을 무료로 받아볼 수 있다다. [신청 경로: 바차트 커머디티 뉴스레터]
개별 만기별 선물 종가는 다음과 같다다. Dec 25 Cotton(연결)은 64.48에 마감해 75포인트 하락했으며, Mar 26 Cotton(연결)은 65.74로 66포인트 하락했다다. May 26 Cotton(연결)은 66.95로 62포인트 하락 마감했다다. 면화 선물의 호가 단위는 통상 포인트로 표기되며, ※100포인트는 1센트에 해당한다다.
해당 기사 작성일 기준, Austin Schroeder는 기사에서 언급된 어떠한 종목에도 직·간접 보유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다. 본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자세한 사항은 Barchart Disclosure Policy를 참조하도록 안내했다다.
More news from Barchart
– 중국의 대두·밀 매수 재개로 곡물 강세장 복귀…다음 시나리오는
– 중국이 미 밀 매수를 원한다…현재 밀 선물 운용 전략
– 미중 회담이 만든 단 하나의 강세 대두 트레이드
– 옥수수·대두 랠리 이후 겨울밀·대두박에 전이된 탄력
본 문서에 담긴 견해와 의견은 필자의 것이며, Nasdaq, Inc.의 공식 입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혔다다.
해설과 맥락: 무엇이 면화 선물을 움직였나
이날 면화 선물은 근월물을 중심으로 일제히 하락했다다. 주목할 점은 원유 선물과 달러 인덱스가 동시 약세였다는 사실이다다. 일반적으로 달러 약세는 달러 표시 상품 가격에 우호적으로 작용하는 경향이 있으나, 면화는 현물 수급 지표와 거래량·체결가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구조적 특성이 있다다. 특히 Cotlook A 지수의 55포인트 하락과 ICE 인증 재고의 13,749베일 변동 없음은, 수요 탄력보다는 공급 가시성에 무게가 실린 흐름으로 해석될 수 있다다.
또한 The Seam 온라인 경매에서 2,463베일이 파운드당 62.98센트에 거래된 점은, 현물 체결가가 선물 가격의 단기 기준점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참고치로 기능한다다. 경매 거래량 자체는 폭발적이지 않으나, 가격 레벨은 선물의 저항·지지 인식과 밀접하게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다.
용어 설명: 처음 접하는 투자자들을 위해
포인트(points): 면화 선물 호가 단위로, 100포인트 = 1센트다*. 예컨대 75포인트 하락은 0.75센트 하락을 의미한다다. *호가 단위는 거래소 규정에 따르며, 면화 선물은 파운드당 센트로 표기된다다.
베일(bale): 면화 유통 단위로, 통상 약 480파운드를 1베일로 간주한다다. 재고·공급 규모 파악에 활용되는 표준화 수치다다.
Cotlook A 지수: 글로벌 현물 면화 가격을 대표하는 평균 지표로, 단기 현물 수급의 체감 가격을 반영한다다. 선물 시장 참여자들은 이 지수의 방향성과 베이시스(선물-현물 스프레드)를 함께 점검한다다.
ICE 인증 재고: ICE 선물 거래소에서 인증 절차를 거친 인도 가능 재고를 의미한다다. 인증 재고 증감은 실제 인도 가능 물량의 지표로, 만기 인도 리스크와 스프레드 가격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다.
AWP(Adjusted World Price, 조정 세계가격): 미국 농무부(USDA)가 고시하는 면화 참고 가격으로, 일부 프로그램 및 정산에 활용된다다. 현재 미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업데이트가 중단되어 시장 참가자들의 레퍼런스 결여가 단기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거론된다다.
달러 인덱스: 주요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다. 일반적으로 달러 약세는 달러 표시 상품에 우호적이나, 상품별로는 현물 지표와 수급 뉴스가 더 즉각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다.
전문적 관찰 포인트
첫째, 현물-선물 연계가 강화되는 구간에서는 The Seam 경매가, Cotlook A 지수, ICE 인증 재고의 조합이 방향성을 좌우하는 경우가 잦다다. 이날 하락은 세 지표가 강세 신호를 제공하지 못한 점과 맥을 같이한다다.
둘째, 에너지 가격(특히 원유)이 면화의 투입 비용·물류비와 심리에 미치는 영향은 간접적이다다. $59.53으로 소폭 내린 유가가 당일 면화에 즉각적인 지지를 제공하지 못한 점은, 수급·현물 변수가 더 우세했음을 시사한다다.
셋째, 달러 약세(99.560, -$0.499)에도 가격이 하락한 사례는, 단일 거시 변수가 아닌 섹터 내부 지표가 주도한 장세일 가능성을 보여준다다. 이는 향후에도 현물 기준지수와 인증 재고를 병행 모니터링해야 함을 의미한다다.
실무 팁: 체크리스트
– 지수·재고: Cotlook A 지수 방향성, ICE 인증 재고 증감 체크다.
– 현물 체결: The Seam 경매 체결가와 물량의 변화 감지다.
– 거시 변수: 달러 인덱스와 에너지 가격의 동조·역조 관계 관찰다.
– 정책 변수: AWP 고시 재개 시점 확인(셧다운 종료 여부)다.
요약 관점으로, 면화 선물은 근월물 중심으로 62~75포인트 하락했다다. 동일 거래일에 원유와 달러 인덱스는 모두 약세였으나, Cotlook A 지수 하락, ICE 인증 재고 정체, The Seam 경매 가격 수준 등이 단기 약세를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다. AWP 미갱신은 참고 지표 공백을 초래해 시장의 확신을 낮추는 부정적 요인으로 남아 있다다. 만기별로는 Dec 25, Mar 26, May 26이 각각 64.48(-75pt), 65.74(-66pt), 66.95(-62pt)에 마감했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