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탕 선물 가격이 브라질 헤알 강세에 힘입어 반등
뉴욕 ICE 원당(뉴욕 원당 #11)과 런던 ICE 백설탕(#5) 선물이 상승 마감했다. 3월물 뉴욕 세계 원당 #11(SBH26)은 전일 대비 +0.08센트(+0.57%) 오른 채 거래를 마쳤으며, 12월물 런던 ICE 백설탕 #5(SWZ25)는 +0.20달러(+0.05%) 상승 마감했다. 장 초반 약세를 보였던 가격은 환율 요인이 촉매가 되며 낙폭을 만회했다다.
2025년 11월 6일(UTC),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브라질 통화인 헤알화(USD/BRL)가 달러 대비 4주래 최고치로 강세를 보이자, 설탕 선물 시장에서 공매도 환매(숏 커버링)가 촉발돼 가격이 반등했다. 환율 강세는 브라질 설탕 생산자들의 수출 유인을 약화시켜 단기적으로 현물·선물 가격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다.
최근 한 달간의 하락장은 뉴욕 설탕 선물을 근월물 기준 5년 최저 수준으로, 런던 설탕은 약 4.75년 최저 수준(직전 목요일)으로 끌어내렸다. 주된 배경에는 브라질의 높은 생산과 글로벌 설탕 공급 과잉 전망이 자리한다. 데이터그로(Datagro)는 10월 21일 브라질 센터-사우스(Center-South) 지역의 2026/27 설탕 생산이 전년 대비 +3.9% 증가한 사상 최대 4,400만 톤(MMT)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관련해 BMI 그룹은 10월 13일 2025/26 글로벌 설탕 잉여를 1,050만 톤으로, 코브리그 애널리틱스(Covrig Analytics)는 10월 7일 410만 톤으로 각각 전망했다다.
브라질의 생산 상향은 가격에 하방 압력을 지속 제공하고 있다. 브라질 작황예측기관 코나브(Conab)는 화요일 2025/26 설탕 생산 전망치를 4,450만 톤에서 4,500만 톤으로 상향했다. 직전 목요일 브라질 설탕산업협회 유니카(Unica)는 10월 상반월 센터-사우스 지역 설탕 생산이 전년 대비 +1.3% 증가한 248만4천 톤이라고 발표했다. 같은 기간 사탕수수 분쇄에서 설탕 배분 비중은 48.24%로 전년 동기 47.33%에서 상승했다. 누적 기준으로는 2025/26 센터-사우스 생산이 10월 중순까지 3,601만6천 톤으로 +0.9% 증가했다다.
인도(세계 2위 생산국) 공급 개선 신호도 가격을 억누르고 있다. 인도설탕제조협회(ISMA)는 화요일 2025/26 설탕 생산 전망을 3,000만 톤에서 3,100만 톤으로 상향(전년 대비 +18.8%)했다. 동시에 인도 내 에탄올용 전환 설탕 전망은 5백만 톤(7월 추정)에서 340만 톤으로 하향해, 수출 여력이 커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다.
인도의 강한 몬순은 대풍 작황 가능성을 높였다. 9월 30일 인도 기상청(IMD)은 누적 몬순 강수량이 937.2mm로 정상 대비 +8%였으며, 이는 최근 5년 중 가장 강한 몬순이라고 밝혔다. 6월 2일 인도 협동조합설탕연합(NFCSF)은 재배 면적 확대를 근거로 2025/26 설탕 생산이 전년 대비 +19% 늘어난 3,490만 톤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는 ISMA 집계상 2024/25 생산이 -17.5% 감소한 5년 최저 2,610만 톤을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도 반영된 수치다다.
추가 약세 요인으로, 글로벌 트레이더 수크덴(Sucden)은 인도가 2025/26 시즌 에탄올용으로 400만 톤만 전환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는 잉여를 줄이기에 충분치 않아, 인도 설탕공장들의 수출이 기존 예상 200만 톤을 넘어 최대 400만 톤까지 확대될 여지를 의미한다다.
태국의 증산 전망 또한 가격에 부담이다. 10월 1일 태국설탕제조업협회(TSMC)는 2025/26 설탕 생산이 전년 대비 +5% 증가한 1,050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5월 2일 태국 사탕수수·설탕위원회(OCSB)는 2024/25 생산이 전년 대비 +14% 증가한 1,000만 톤이라고 밝혔다. 태국은 세계 3위 생산국이자 2위 수출국이다다.
수급 전망의 엇갈림도 눈에 띈다. 8월 29일 국제설탕기구(ISO)는 6년 연속 글로벌 적자를 예고하며 2025/26 시즌 -23만1천 톤의 적자를 전망했다. 이는 2024/25 시즌 -488만 톤 적자보다는 축소된 규모다. ISO는 2025/26 세계 생산이 전년 대비 +3.3% 증가한 1억8,060만 톤, 소비가 +0.3% 늘어난 1억8,08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다.
반면 5월 22일 미 농무부(USDA) 반기 보고서는 2025/26 세계 생산이 전년 대비 +4.7% 늘어난 사상 최대 1억8,931만8천 톤, 인간 소비가 +1.4% 증가한 1억7,792만1천 톤으로 각각 추정했다. 기말 재고는 +7.5% 늘어난 4,118만8천 톤으로 전망됐다. USDA 해외농업서비스(FAS)는 브라질 2025/26 생산을 +2.3% 증가한 4,470만 톤, 인도는 +25% 증가한 3,530만 톤(우호적 몬순과 재배면적 증가 영향), 태국은 +2% 증가한 1,030만 톤으로 각각 전망했다다.
핵심 포인트: “헤알 강세 → 브라질 수출 둔화 → 공매도 환매”라는 단기 메커니즘이 가격을 밀어 올렸지만, 브라질·인도·태국의 증산과 수출 확대 가능성은 여전히 중기적 하방 압력으로 남아 있다다.
시장 해설·전문적 통찰편집
– 환율 민감도: 설탕은 브라질발 공급 비중이 높아, USD/BRL 변동은 생산자의 헤지·판매 의사결정에 직접 영향을 준다. 헤알 강세는 달러 기준 현지 생산자의 실질 수취가격을 높여 즉각적인 수출 압력을 둔화시키며, 그 공백을 선물 시장의 숏 커버링이 메운다는 점에서 단기 랠리가 빈번하다다.
– 혼조된 펀더멘털: ISO의 소폭 적자와 USDA의 사상 최대 생산·재고 확대 전망은 서로 다른 기준과 샘플링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 투자자 입장에선 재고·생산 증가율과 수출 정책 리스크(특히 인도)를 동시 점검해야 하며, 가격 바닥 탐색은 정책 신호·환율과 연동될 가능성이 크다다.
– 에탄올 변수: 인도의 에탄올 전환 축소는 설탕 수출 여지를 키워 글로벌 잉여를 자극할 수 있다. 브라질 역시 사탕수수 배분(설탕 vs 에탄올)을 유가·환율·국내 수요에 맞춰 탄력적으로 조정한다. 결과적으로 유가와 헤알, 그리고 인도 정책이 설탕의 3대 외생 변수로 작동한다다.
용어 해설
– 뉴욕 원당 #11(Sugar #11): 원당(raw sugar) 국제 벤치마크 선물. 런던 백설탕 #5(White Sugar #5): 정제 설탕 선물 벤치마크다.
– 공매도 환매(Short Covering): 기존 매도 포지션을 되사는 행위로, 단기간 가격을 끌어올릴 수 있다.
– 센터-사우스(Center-South): 브라질 사탕수수 주산지로, 세계 설탕 공급의 핵심 축이다.
– MMT: 백만 톤(Million Metric Tons)의 약자다.
서비스 안내: “원자재 일간 브리핑”과 같은 바차트의 무료 뉴스레터가 제공된다.
추가 기사 (Barchart)
– “설탕은 달지 않다: 추가 하락 여지는?”
원문 보기
– “설탕 랠리는 가능한가?”
원문 보기
– “가격 하락 지속: 달콤함은 없다”
원문 보기
– “추가 하락 레벨 도달 전 매도 대기 전략”
원문 보기
면책 및 고지
본 기사 작성일 현재,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본문에 언급된 어떠한 증권에도 직·간접 보유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본 기사에 포함된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자문이 아니다. 자세한 내용은 Barchart Disclosure Policy를 참고한다다.
또한, 이 글에 담긴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입장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