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OpenAI) 최고재무책임자(CFO) 세라 프라이어(Sarah Friar)가 정부의 ‘백스톱(backstop)’을 구하지 않는다고 거듭 밝히며,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 테크 라이브(Tech Live) 행사 무대에서 한 발언의 취지를 명확히 정정했다. 그는 늦은 수요일(현지 시간) 링크드인(LinkedIn) 게시글을 통해 “백스톱이라는 단어를 사용해 요지가 흐려졌다”고 설명하며, 민간과 정부의 역할 분담을 강조했다다.
2025년 11월 6일, CNBC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프라이어는 오픈AI가 차세대 반도체와 데이터센터 확충을 위한 인프라 투자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연방 정부의 직접 보증이나 보호막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못박았다. 이는 앞선 공개석상에서 ‘은행, 사모펀드, 그리고 연방의 보증 또는 백스톱’으로 표현했던 자금 조달 구상을 둘러싼 해석을 바로잡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다.

WSJ 테크 라이브 행사에서 프라이어는 오픈AI가 은행과 사모펀드(Private Equity), 그리고 연방 차원의 ‘백스톱’ 또는 ‘보증(guarantee)’을 포함한 생태계를 구축해 최첨단 칩 투자를 위한 자금 조달을 모색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그는 이후 링크드인에서 표현을 수정하며, 정부의 역할을 ‘직접 보증’이 아닌 산업 역량 구축을 위한 파트너십으로 규정하는 데 방점을 찍었다다.
“‘백스톱’이라는 단어를 사용해 요지가 흐려졌다.” — 세라 프라이어
“내 답변의 전체 영상에서 보이듯, 나는 미국의 기술력은 민간과 정부가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며 실질적 산업 역량을 구축하는 데서 나온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했다.”
프라이어의 해명은 오픈AI가 최근 몇 달 동안 데이터센터 증설을 위해 체결한 1조4천억 달러($1.4 trillion) 이상의 인프라 계약을 둘러싼 시장의 의문과 맞닿아 있다. 회사가 밝힌 바와 같은 급증하는 수요를 충족하려면 대규모 컴퓨팅 인프라가 필요하다는 설명이지만, 막대한 선제적 지출 약정을 어떻게 감당할 수 있느냐는 재무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질문이 제기되어 왔다다.

프라이어는 9월 CNBC 인터뷰에서 오픈AI가 올해 약 130억 달러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같은 달 말 주말에 공개된 팟캐스트에서 샘 올트먼(Sam Altman) CEO는 투자자 브래드 거스트너(Brad Gerstner)와 대화 중, 회사가 그 숫자보다 “훨씬 많은 매출”을 올리고 있다고 말했다다.
거스트너가 매출 대비 1조 달러를 넘는 지출 약정을 어떻게 감당할 수 있는지 캐묻자, 올트먼은 다소 날 선 반응을 보였다. 그는 “브래드, 지분을 팔고 싶다면 내가 사줄 사람을 찾아주겠다”며, “그만”이라고 말했다고 전해졌다다.
프라이어는 링크드인 글에서 미국 정부가 회사의 인프라 확충 과정에서 핵심 파트너가 될 것임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미국 정부는 놀라울 정도로 선제적이었고, AI가 국가적 전략 자산임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썼다다.
용어 해설: ‘백스톱(backstop)’은 무엇인가
백스톱은 금융·자본시장 용어로, 특정 거래나 자금 조달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을 때 최후의 보루로서 손실을 흡수하거나 자금을 공급하는 보증·약정을 뜻한다. 보통 정부나 대형 금융기관이 맡을 수 있으며, 존재만으로도 자금 조달 비용을 낮추고 거래 성사 가능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프라이어의 이번 정정은 오픈AI가 ‘정부의 직접 보증’을 구한다는 인상을 경계하며, 민관 협력에 기반한 산업 생태계 구축을 강조한 것으로 읽힌다다.
투자·재무 관점에서의 함의
시장에서는 오픈AI의 ‘컴퓨트(Compute) 확장 = 매출 확대’라는 논리가 핵심 사업 드라이버로 자리 잡았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CNBC 방송 Closing Bell 섹션의 영상 타이틀이 암시하듯, “더 많은 컴퓨트, 더 많은 매출”이라는 프라이어의 메시지는 오라클(Oracle), 엔비디아(Nvidia) 등 핵심 파트너와의 대규모 계약에 대한 우려에 맞선 수익화 로드맵으로 요약된다. 다만 1조 달러 이상의 장기 약정과 연간 130억 달러 수준의 매출 사이 괴리가 존재하는 만큼, 업계에서는 프로젝트 파이낸스, 장기 용량 계약, 민간 자본의 계층화(tranching) 등 다양한 구조적 해법이 병행될 것으로 본다다.
이번 정정은 또한 정책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도 의미가 있다. ‘정부 백스톱’이라는 표현은 자칫 정부가 특정 민간 기업의 재무 리스크를 직접 떠맡는 뉘앙스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프라이어가 강조한 바와 같이, 정부는 규제·표준·인력·인프라 환경 조성 등에서 역할을 하고, 민간은 기술·자본 집행을 담당하는 역할 분담의 프레임으로 재정렬하는 것이 시장 신뢰에 유리하다다.

미디어 맥락과 공개 커뮤니케이션
세라 프라이어는 2025년 8월 20일 CNBC ‘스콰크 박스(Squawk Box)’에 출연한 바 있으며, 이후 WSJ 테크 라이브 무대와 링크드인 게시글을 통해 메시지를 보완했다. 공개석상 발언 → 시장 반응 → 후속 해명으로 이어진 일련의 커뮤니케이션은 초대형 AI 인프라 투자가 불러오는 이해관계자들의 질문에 적시에 구체적으로 대응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이는 정확한 언어 선택과 투명한 정보 제공이 기업의 평판과 자본시장 접근성에 직결된다는 점을 다시 한번 상기시킨다다.
‘국가적 전략 자산’ 프레임의 의미
프라이어가 인용한 “AI는 국가적 전략 자산”이라는 규정은, 기술 주권, 공급망 안정성, 장기 경쟁력을 포괄하는 정책적 화두와 맞닿아 있다. 이 표현은 예산·규제·인력·인프라 전반에서 정부가 적극적 파트너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되, 특정 기업에 대한 직접 보증을 뜻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프라이어는 분명히 했다. 결과적으로 오픈AI의 메시지는 민간 자본의 주도적 역할을 전제하며, 정부는 제도적 인프라를 통해 산업 역량의 가속을 돕는다는 구도에 가깝다다.
핵심 포인트 정리업계 해석
– 오픈AI는 정부 ‘백스톱’ 요구가 아니다라고 재강조했다. WSJ 행사 발언은 민관 역할 분담 취지였다는 설명이다.
– 최근 $1.4 trillion 이상 인프라 계약으로 데이터센터·컴퓨트 확장을 가속 중이며, 자금조달 구조는 민간 금융 생태계 중심으로 짜일 전망이다.
– 9월 프라이어는 연간 약 $13 billion 매출 전망을 밝혔고, 샘 올트먼은 이에 대해 “그보다 훨씬 많다”고 언급했다.
– 투자자 질의에 올트먼은 “브래드, 지분을 팔고 싶다면 사줄 사람을 찾겠다. 그만”이라고 반응했다.
– 프라이어는 “미국 정부는 매우 선제적이며 AI를 국가 전략 자산으로 이해한다”고 재차 강조했다다.
전망
프라이어의 정정은 표현의 정확성을 통해 정책·시장과의 신뢰 관리를 강화하려는 행보로 평가된다. 초대형 인프라 약정과 매출 간 괴리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컴퓨트 수요의 실현과 지속적 수익화가 병행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은행·사모펀드·기관투자자가 참여한 자금 파이프라인과, 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서로 맞물리는 민관 협력 모델의 정교함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