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재무부, 11월 분기 리펀딩에서 1,250억달러 국채 발행…경매 일정·환매입 계획 동시 공개

미국 재무부(U.S. Department of the Treasury)가 11월 분기 리펀딩(refunding)에서 총 $1,250억 규모의 국채를 발행해 $982억 규모의 민간 보유 만기 도래 Treasury notes(국채 중기물)를 상환하고, 약 $268억의 신규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다. 이번 조달 계획은 브라이언 스미스(Brian Smith) 재무부 연방금융 담당 부차관보 명의의 성명에서 공식화됐다다.

2025년 11월 5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재무부는 만기일이 2025년 11월 15일인 민간 보유 국채 상환을 위해 신규 발행을 실시하며, 발행 종목과 규모는 다음과 같다다. 첫째, $580억 규모의 3년물(만기일: 2028년 11월 15일). 둘째, $420억 규모의 10년물(만기일: 2035년 11월 15일). 셋째, $250억 규모의 30년물(만기일: 2055년 11월 15일)이다다.

경매 일정과 결제도 구체화됐다다. 재무부는 모든 경매를 수익률 기준(yield basis)으로 진행하며, 3년물11월 10일(월), 10년물11월 12일(수), 30년물11월 13일(목)에 각각 실시한다고 밝혔다다. 모든 경매는 동부시간(ET) 오후 1시에 시작되며, 결제(settlement)는 2025년 11월 17일(월)에 이뤄진다다.

주목

명목 쿠폰·FRN 발행 정책의 연속성과 향후 변화 탐색

재무부는 현 시점의 차입 수요 전망에 근거해, 명목 쿠폰 채권(nominal coupon)변동금리부채권(FRN)의 경매 규모를 향후 수 분기 동안 유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다. 동시에 재무부는 향후 발행 규모의 조정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으면서도, 아래와 같이 신중한 접근을 예고했다다.

‘향후 증액을 예비적으로(preliminarily) 검토’하고 있으며, 구조적 수요의 추세를 평가하고 다양한 발행 프로파일이 초래할 수 있는 비용 및 위험을 면밀히 점검하겠다고 재무부는 밝혔다.

이는 수요·공급 균형과 만기 구조 관리를 동시에 달성하려는 신중한 신호로 해석된다다. 발행 규모의 즉각적인 확대 대신, 수요의 구조적 추세비용·리스크의 정합성을 점검한 후 조정하겠다는 방침이다다.


TIPS 발행 계획: 재개·증액·유지 병행

주목

인플레이션 연동 국채(TIPS)의 경우, 재무부는 11월 10년물 재개(Reopening) 경매 규모를 $190억으로 유지한다고 밝혔다다. 또한 12월 5년물 재개 경매는 $10억 증액$240억으로 확대하며, 1월 10년물 신규 발행(New Issue) 경매는 $210억으로 유지한다다. 이는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를 반영하면서도, 만기와 종목 간 균형을 유지하려는 조정으로 볼 수 있다다.


단기국채(Bills) 발행 트랙: 11월 유지 → 12월 소폭 축소 → 2026년 1월 중 확대

재무부는 벤치마크 단기국채(benchmark bills)의 발행 규모를 11월 말까지 유지한 뒤, 12월에는 단기 만기물의 경매 규모를 소폭 축소하고, 2026년 1월 중순에는 재정지출(예상되는 재정 유출)에 맞춰 경매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다. 이 같은 조절은 현금 흐름의 계절성유동성 수요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다.


분기 내 환매입(재매입) 계획: 유동성 지원과 만기 대역별 균형

재무부는 이번 리펀딩 분기에 대한 잠정 환매입 일정도 공개했다다. 명목 쿠폰 구간 중 10~20년20~30년 대역에서 각각 4회의 환매입을 진행하며, 회당 최대 $20억을 상한으로 설정했다다. 기타 명목 쿠폰 구간에서는 유동성 지원 목적의 환매입을 1회 실시하며, 규모 상한은 $40억이다다.

TIPS의 경우, 1~10년 구간에서 2회(회당 최대 $7억5,000만), 10~30년 구간에서 1회(최대 $5억)의 환매입을 계획하고 있다다.

재무부는 현금 관리 환매입(cash management buybacks)을 9월에 중단했으나, 2025년 12월부터 재개할 것으로 전망했다다. 향후 분기 동안에는 유동성 지원 목적의 오프 더 런(off-the-run) 증권을 최대 $380억까지 매입하고, 현금 관리 목적으로는 1개월~2년 구간에서 최대 $250억까지 매입할 계획이다다. 이는 유통 중인 과거 발행물의 유동성 보강재무부 현금 포지션의 안정적 운영을 동시에 겨냥한 것으로 볼 수 있다다.


비상 경매 시스템 점검: 소액 시험 경매 예고

재무부는 향후 3개월 내 컨틴전시(비상) 경매 시스템(contingency auction system)을 활용한 소액 시험 경매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다. 세부 내용은 후속 공지를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다.


다음 분기 리펀딩 발표 일정

다음 분기 리펀딩 공지는 2026년 2월 4일(수)로 예정돼 있다다. 투자자와 딜러, 유동성 공급자들은 해당 일정에 맞춰 포지션과 입찰 전략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다.


전문가적 해설: 투자자 관전 포인트

첫째, 발행 규모 유지 기조는 단기적으로 공급 충격을 완화하는 신호다. 다만 재무부가 ‘향후 증액을 예비 검토’한다고 밝힌 만큼, 구조적 수요 추세재정 경로에 따라 중기적으로 공급 확대 가능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다.

둘째, TIPS 재개·증액·유지의 병행은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와 유동성 고려를 균형 있게 반영한다다. 12월 5년물 재개분의 $10억 증액단기~중기 물가 불확실성을 반영한 수요 대응으로 해석 가능하다다.

셋째, 단기국채 발행의 월별 조절(11월 유지 → 12월 축소 → 1월 확대)은 재무부 현금 포지션의 계절적 스무딩을 목표로 한다다. 이는 MMF와 단기금융시장 참가자들에게 일정 수준의 예측 가능성을 제공한다다.

넷째, 오프 더 런 증권 환매입현금관리 환매입의 재개유동성 프리미엄 완화수급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다. 특히 장기 구간(10~20년, 20~30년)에서의 정례적 환매입은 곡선 후단 유동성을 보강하는 장치로 기능할 전망이다다.


용어 해설: 이해를 돕기 위한 핵심 개념

리펀딩(Refunding): 만기가 도래하는 기존 국채의 상환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 신규 국채를 발행하는 과정이다다. 기존 부채를 새로운 조건의 부채로 전환하는 성격을 띤다다.

명목 쿠폰(Nominal Coupon): 물가연동 조정이 없는 일반 국채를 의미한다다. 반대로 TIPS는 소비자물가지수에 연동돼 원금이 조정된다다.

FRN(변동금리부채권): 기준금리에 연동돼 이자율이 주기적으로 조정되는 국채다다. 고정금리채 대비 금리변동 리스크가 상이하다다.

수익률 기준 경매(Yield-Basis Auction): 응찰자가 가격이 아닌 수익률로 입찰하는 방식이다다. 낙찰 수익률이 결정되면 그에 상응하는 발행가가 산출된다다.

재개(Reopening) vs 신규 발행(New Issue): 기존 종목의 동일 만기·쿠폰으로 물량을 추가하는 것이 재개이며, 완전히 새로운 종목을 개설하는 것이 신규 발행이다다.

오프 더 런(Off-the-Run): 최신 벤치마크가 아닌 과거 발행분을 의미한다다.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스프레드가 벌어질 수 있다다.

환매입(Buyback): 정부가 유통 중인 자국 채권을 시장에서 매입하는 정책 도구다다. 유동성 지원, 수급 안정화, 만기 구조 관리 등에 활용된다다.

버킷(Bucket): 만기 구간별로 채권을 묶어 관리·운용하는 분류 체계다다. 예: 1~10년, 10~20년, 20~30년 등이다다.


기사 말미 공지

본 기사는 AI의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으며, 에디터의 검토를 거쳤다다. 관련 약관(T&C)에 관한 추가 정보는 매체 안내를 참조하면 된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