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가 미국 피자 체인 파파존스(Papa John’s)를 비공개화하기 위해 제시했던 주당 64달러 인수 제안을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거래에 정통한 두 명의 소식통에 따르면, 월가가 목요일(현지시간)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는 까다로운 실적을 지켜보는 가운데 아폴로가 발걸음을 뺐다.
2025년 11월 4일,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아폴로는 이번 제안을 약 일주일 전 회수했다. 소식통들은 소비자 지출 위축과 퀵서브 레스토랑(QSR) 업종의 둔화 조짐이 결정을 뒤흔든 배경이라고 전했다. 협상은 비공개로 진행되고 있어 이들은 익명을 요구했다.
아폴로와 파파존스 측은 본 건에 대한 논평 요청에 즉각 응답하지 않았다.
로이터가 앞서 전한 바에 따르면, 올해 초 아폴로와 어스 캐피털 매니지먼트(Irth Capital Management)는 주당 60달러를 소폭 상회하는 공동 제안을 냈으며, 이후 10월 초 아폴로가 단독 입찰을 제출했다.
파파존스는 목요일에 2025 회계연도 3분기 실적을 발표할 계획이다. 시장조사업체 Zacks가 집계한 바에 따르면, 지난 30일 동안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주당순이익(EPS) 추정치는 1.77% 하향 조정됐다.
Zacks는 파파존스의 3분기 실적이 주당 0.40달러(전년 대비 -7%)의 순이익과 매출 5억2,588만 달러(전년 동기 대비 +3.8%)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
6월 29일 종료된 2분기에서 파파존스의 매출은 전년 대비 4% 증가한 5억2,920만 달러를 기록했으나, 이익은 약 23% 감소한 970만 달러로 집계됐다.
브로커리지 BTIG의 피터 살레(Peter Saleh)와 벤 파렌테(Ben Parente)는 8월 초 회사가 발표한 턴어라운드(재도약) 계획에 회의적 입장을 보였다. 당시 발간된 리서치 노트에서 두 애널리스트는 다음과 같이 밝혔다.
"우리는 회사의 재도약 계획에 회의적이며, 여전히 기본적인 운영 격차, 높은 점포 폐점률, 끝나지 않는 국제사업 재편, 그리고 실망스러운 실적 결과에 당혹스럽다."
1984년에 설립된 파파존스는 조지아주 애틀랜타와 켄터키주 루이빌에 공동 본사를 두고 있으며, 약 50개 국가 및 지역에서 가까운 6,000개의 레스토랑을 운영하고 있다.
핵심 포인트 정리
– 아폴로 글로벌: 파파존스 비공개화 추진을 위한 주당 64달러 제안 철회.
– 시점: 약 일주일 전 입찰 회수, 목요일 예정 3분기 실적을 앞둔 상황.
– 배경: 소비 둔화와 QSR 업종 약세 우려.
– 과거 제안: 아폴로-어스의 주당 60달러대 초반 공동 제안 후, 10월 초 아폴로 단독 입찰.
– 실적 전망(Zacks): EPS $0.40(-7% YoY), 매출 $525.88M(+3.8% YoY).
– 직전 분기: 매출 $529.2M(+4% YoY), 이익 $9.7M(약 -23% YoY).
용어와 맥락 설명
비공개화(테이크 프라이빗)란, 상장회사의 주식을 특정 투자자(주로 사모펀드)가 매수해 상장 폐지하고, 이후 비상장 상태에서 구조조정·투자·경영개선 등을 추진하는 거래를 뜻한다. 통상 프리미엄을 얹은 주가로 인수 제안을 내지만, 금리 수준과 업종 사이클, 소비 심리에 따라 거래 성사 가능성이 크게 달라진다.
퀵서브 레스토랑(QSR)1은 제한된 메뉴를 빠른 조리·제공 방식으로 판매하는 체인을 가리킨다. 경기가 둔화되면 소비자들이 가격 민감도를 높이고 구매를 줄이거나 프로모션 의존도가 커질 수 있어, 마진 압박이 커지기 쉽다.
주1: 대표적으로 피자·버거·치킨 등 패스트푸드 체인이 포함된다.
Zacks의 컨센서스는 여러 애널리스트 추정치를 취합해 보여주는 지표다. 최근 30일 사이 EPS 추정이 -1.77% 하향됐다는 점은, 영업환경의 보수화 또는 비용 측면의 부담을 시장이 반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Zacks는 매출 증가(+3.8% YoY)를 동시에 예상하고 있어, 수요 자체는 유지되나 수익성이 압박받는 구도가 추정치에 내포돼 있다.
해설: 이번 철회의 의미와 관전 포인트
주당 64달러라는 가격 신호는, 아폴로가 과거 대비 보다 보수적인 리스크 평가로 선회했음을 시사한다. 입찰 철회는 반드시 딜 무산의 종결을 뜻하지는 않지만, 거래 구조 재설계 또는 밸류에이션 재협상 가능성을 시장에 암시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실적 공개 직전이라면, 잠재 인수자는 정보 비대칭을 줄이고자 결과를 확인한 뒤 진로를 재정비하는 경향이 있다.
파파존스의 직전 분기 데이터는 매출 성장과 이익 감소의 엇갈림을 보여준다. 이는 원가·인건비 또는 판촉 비용이 레버리지를 잠식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3분기에서 Zacks가 전망한 EPS -7%와 매출 +3.8%의 조합은, 마진 정상화가 핵심 변수임을 재확인한다. 업계 리스트럭처링과 점포 네트워크 최적화는 통상 시간이 필요한 과제다.
한편, BTIG의 혹평은 운영 격차와 점포 폐점률, 국제부문 재편 등 구조적 숙제를 지목했다. 이는 잠재 인수자 입장에서 실사(due diligence) 과정에서 리스크 프리미엄을 상향 요구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실적 발표는 이러한 우려의 팩트 체크 기회가 된다.
회사 개요
설립: 1984년
공동 본사: 조지아주 애틀랜타, 켄터키주 루이빌
사업 규모: 약 50개 국가·지역에 가까운 6,000개 레스토랑 운영
본 기사는 로이터 통신 보도를 토대로 작성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