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두(콩) 선물이 월요일 장 초반부터 급등세를 보였다. 프런트 먼스(근월물) 전 구간에서 22~24센트 상승했고, CmdtyView의 미국 전국 현물(프런트 먼스) 대두가 22 1/2센트 오른 $9.73 3/4로 집계됐다. 파생상품 내 스프레드 동조화 속에서 대두박 10월 근월물은 톤당 +$7.70로 견조했고, 대두유 선물도 +39포인트 상승했다.
2025년 11월 3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날 대두 시장의 랠리는 미 농무부(USDA)의 일일 수출 판매 공지와 CFTC 포지션 변화가 겹치며 심리가 개선된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근월물 전반의 동반 상승은 숏 포지션 커버링과 현물 기반 수급 시그널이 동시에 작동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USDA는 일일 보고 시스템을 통해 대두 165,000톤(MT)의 민간 수출 판매가 목적지 미공개(unknown destinations)로 체결됐다고 오전에 발표했다. 이는 단기적으로 미국산 대두 수요가 유입되고 있다는 신호로, 프런트 커브 전반의 강세를 자극했다.
핵심 포인트 — 민간 수출 판매: 165,000 MT(목적지: 미공개, 일일 보고 시스템)
수출 검사(Export Inspections) 통계에 따르면, 9월 19일로 끝난 주간에 대두 485,216톤(=17.83백만 부셀)이 선적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5% 감소지만, 직전 주보다는 소폭 증가했다. 중국행 171,091톤, 멕시코행 74,532톤이 확인됐다. 마케팅 연도 시작 후 3주가 채 되지 않은 시점의 누적은 123만2,000톤(=45.27백만 부셀)이며, 전주 대비 6.1% 감소로 집계됐다원자료 표기 기준. 집계 문구상 전주 대비·전년 대비 비교가 혼재돼 있으나, 해당 수치는 USDA의 주간 선적 검사 통계에 근거한다.
CFTC의 주간 커미트먼트 오브 트레이더스(CoT) 보고서에 따르면, 9월 23일(화요일 기준)까지 매니지드 머니는 순매도 포지션을 8,186계약 축소해 순매도 122,415계약을 기록했다. 커머셜은 이례적인 순매수 포지션을 7,967계약 축소해 순매수 36,844계약으로 낮췄으며, 주로 매도(숏) 추가에 기인했다. 이는 선물·현물 헤지 활동과 펀드 포지션 리밸런싱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브라질의 대두 파종 속도는 시장조사기관 AgRural 추정치 기준 0.9%로 집계돼, 전년 동기 1.9%에 비해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강우 패턴과 투입재 확보 상황이 파종 템포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남미 작황 리스크 프리미엄이 서서히 반영되는 양상이다.
주요 호가(현지 시각 기준)
2024년 11월물 대두는 $10.34 3/4로 +22 3/4센트다.
근월물 현물가는 $9.73 3/4로 +22 1/2센트다.
2025년 1월물 대두는 $10.52 1/2로 +23센트다.
2025년 5월물 대두는 $10.78 1/2로 +20 3/4센트다.
신작 현물(New Crop Cash)은 $9.73 3/4로 +22 1/2센트다.
공시 및 고지
게재 시점 기준으로, Austin Schroeder는 이 기사에서 언급된 어떤 종목에도(직·간접적으로)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본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Barchart Disclosure Policy를 참조할 수 있다.
용어 설명과 맥락
프런트 먼스(front month)란 거래량이 가장 많고 만기가 가장 가까운 선물 월물을 의미한다. 통상 가격 신호의 최전선으로 간주되며, 현물 및 다른 원월물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친다.
현물가(Cash)는 선물과 달리 실물 인도에 기반한 즉시 거래 가격이다. 여기서 CmdtyView 전국 현물은 미국 전역 현물 견적을 집계한 지표다.
포인트(points)는 대두유 등 특정 상품 선물에서 최소 호가 단위를 의미한다. 상품마다 포인트의 화폐가치가 다르므로, 포인트 상승이 곧바로 동일한 달러 가치 상승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CFTC 커미트먼트 오브 트레이더스(CoT)는 주간 기준으로 참여자별 포지션을 공개한다. 매니지드 머니는 헤지펀드 등 투기적 자금, 커머셜은 실물 헷지 목적의 상업 참가자를 뜻한다. 매니지드 머니의 순매도 축소는 숏커버링 또는 롱 신규 진입을 포함한 포지션 축소를 시사한다.
USDA 일일 수출 보고는 일정 규모 이상의 민간 수출 계약을 매 영업일 공지하는 제도다. Export Inspections(수출 검사)는 실제 선적 물량을 주간으로 추적해, 계약이 아닌 물동 관점의 흐름을 보여준다. 표기된 MT(tonne)는 미터톤, mbu는 million bushels백만 부셀을 뜻한다.
전문가적 해석과 전망
당일 랠리는 USDA 일일 수출 판매라는 명확한 펀더멘털 촉매와, CFTC 기준 매니지드 머니의 순매도 축소라는 포지션 측 요인이 맞물린 결과로 보인다. 특히 근월물 전반의 22~24센트 폭등은 숏커버링의 기계적 수요가 유동성과 결합할 때 나타나는 전형적 패턴이다. 여기에 브라질 파종 속도의 둔화(0.9%, 전년 1.9%)가 남미 작황 리스크 프리미엄을 자극하며, 대두박·대두유의 동반 강세는 크러싱 마진 기대를 개선해 곡물 복합체의 심리적 지지로 작용했다.
다만 수출 검사 통계에서 주간 지표의 표현(전년 대비 4.5% 감소 vs. 전주 대비 소폭 증가, 누적은 전주 대비 6.1% 감소 표기)이 혼재돼 있어, 단기 해석에는 주의가 요구된다. 중국과 멕시코로의 선적이 확인된 점은 수요 측면의 하방 완충재로 볼 수 있지만, 누적 흐름이 안정적으로 가속하지 못할 경우 상승 탄력의 소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향후 USDA 주간 수출 판매·검사, 브라질 강우 및 파종 진척, CFTC 포지션 변화의 삼각 확인이 중요하다.
가격대별로는 근월물의 강세가 원월물로 전달되는 커브 전파가 관찰된다. 이는 현물·근월 수급 타이트닝 신호가 기대 인플레이션과 결합할 때 나타나며, 이후 지지/저항대 재정립 과정에서 변동성 확대로 이어질 소지가 있다. 펀드가 순매도를 더 축소할 경우 숏 커버링 랠리가 추가로 전개될 수 있으나, 수출 흐름의 실물 확인이 뒤따르지 않으면 강세 지속성은 제한될 수 있다.
투자자 유의
본 기사는 정보 제공을 위한 시장 동향 정리이며, 개별 투자 판단의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에게 있다. 선물·옵션은 레버리지로 인한 손익 변동성이 크므로, 계약 사양, 마진, 롤오버, 기초 현물의 계절성·기상 리스크 등을 충분히 이해한 후 접근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