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설명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25년 10월 30일 대한민국 부산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김해국제공항에서 양자 회담을 마친 뒤 이동하며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이 포착됐다고 로이터가 전했다(Evelyn Hockstein 촬영).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재임 기간 동안 중국이 대만 문제와 관련해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을 것이라는 시진핑 주석의 보장을 받았다고 밝혔다다.
2025년 11월 2일, CNBC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에서 이틀 전 이뤄진 미중 정상 간 접촉에서 대만 문제는 직접 거론되지 않았지만, 자신이 집권하는 동안 중국이 대만에 대해 행동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을 표명했다다.
트럼프 대통령은 목요일(현지시간) 대한민국에서 진행된 시 주석과의 논의가 주로 미·중 통상 갈등에 집중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중국이 재임 기간 대만과 관련해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확언했다.
“그(시진핑)는 공개적으로, 그리고 그의 참모들도 회의에서 공개적으로 말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재임하는 동안 우리는 어떤 일도 하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그 결과가 무엇일지 알고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렇게 말하며, 해당 발언은 일요일 방영 예정인 미 CBS ‘60 Minutes’ 인터뷰 일부에서 공개됐다고 덧붙였다.
미국 정부와 의회는 오랜 기간 중국의 군사적 압박 혹은 무력 사용 가능성에 우려를 표시해 왔다. 대만은 자치적으로 통치되는 민주주의 섬으로, 베이징은 대만을 중국 영토의 일부라고 주장해 왔다.
1979년 제정된 ‘대만관계법’은 미·대만 관계의 기본 틀을 제공한다. 이 법은 중국의 침공 시 미국의 자동 군사개입을 의무화하지는 않지만, 미국의 정책이 대만이 자위 능력을 갖추도록 필요한 자원을 보장하고, 베이징의 일방적 현상 변경을 억제하는 데 있음을 명시한다.
중국이 공격할 경우 미군을 투입해 대만을 방어하겠느냐는 질문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직접적인 답변을 피했다. 미국은 공화·민주 양당 정부를 막론하고 대만 문제에서 ‘전략적 모호성’ 정책을 유지해 왔다. 이는 유사시 미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할지 명확히 밝히지 않음으로써, 중국의 일방적 행동을 억지하고 대만의 성급한 독립 선언을 억제하려는 접근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을 언급하며 “그 일이 벌어지면 그때 알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는 그 답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류펑위(Liu Pengyu) 주미 중국대사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 혹은 중국 당국으로부터 대만 문제에 대한 어떠한 보장을 받았는지에 관한 질의에 직접적으로 답하지 않았다. 대신 성명을 통해 중국은 “그 어떤 개인이나 세력도 어떤 방식으로든 대만을 중국에서 분리하는 것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성명은 이어 “대만 문제는 중국 내정이며, 이는 중국의 핵심이익 중의 핵심이다. 대만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는 전적으로 중국 국민의 문제이며, 이를 결정할 수 있는 주체도 오직 중국 국민뿐이다”라고 덧붙였다.
백악관은 시 주석 또는 중국 당국자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공화당 정권 임기 동안 대만에 대한 군사 행동이 배제되었다는 메시지를 언제, 어떤 경로로 전달했는지에 대해 추가 설명을 제공하지 않았다.
‘60 Minutes’ 인터뷰는 금요일 플로리다주 마러라고(마라라고) 리조트에서 녹화됐다. 이번 출연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여름 CBS 뉴스와의 소송을 합의로 마무리한 이후 첫 출연이다. 해당 소송은 이 시사 프로그램의 카멀라 해리스 관련 인터뷰를 둘러싼 분쟁과 연관돼 있었다. 인터뷰의 나머지 내용은 일요일 늦게 추가로 방영될 예정이다.
핵심 용어 해설
전략적 모호성: 미국이 대만 유사시 군사 개입 여부를 명확히 밝히지 않는 정책을 뜻한다. 이 접근은 억지 효과를 유지하는 동시에, 관련 당사자들의 오판을 줄이려는 목적을 가진다. 기사 본문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직답을 피한 태도가 이 정책 기조와 맞닿아 있음을 보여준다.
대만관계법(1979): 미국이 대만과 비공식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방어 역량 지원을 정책으로 삼도록 규정한다. 상호방위 조약은 아니며, 자동 군사개입 의무는 없다. 다만 대만의 자위 역량 보장과 현상 변경의 억제라는 정책 목표를 명시한다.
APEC: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로, 역내 경제협력 강화를 위한 다자 협의체다. 본문에서 언급된 부산 회의는 양자 회담이 정상회의 일정의 주변(사이드라인)에서 이뤄졌음을 시사한다.
맥락과 의미
이번 보도에서 확인되는 핵심은 트럼프 대통령의 재임 기간에 한정된 중국의 ‘무행동’ 보장에 대한 주장과, 미국이 전략적 모호성 기조를 유지하며 직접 개입 여부를 애써 흐리는 태도다. 중국 측은 ‘대만은 내정’이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며, 분리 불허 원칙을 강조했다. 백악관이 추가 세부사항을 제공하지 않은 점은, 이러한 보장이 비공식적·비공개적 채널에서 전달됐을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공식 문서화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마러라고에서의 ‘60 Minutes’ 인터뷰는 트럼프 대통령의 첫 복귀성 장기 인터뷰라는 형식적 의미도 지닌다.
정리하면, 본문은 세 가지 축으로 구성된다. 첫째, 트럼프의 ‘무행동 보장’ 주장. 둘째, 미국 법·정책의 구조(대만관계법, 전략적 모호성). 셋째, 중국의 내정·핵심이익 논리 재확인. 이 세 축은 미·중 경쟁이라는 큰 틀 안에서 현상 유지의 언어와 억지의 언어가 서로 교차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