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파적 연준 발언에 달러 강세·금 가격 하락

【시장 동향 요약】 매파(通貨緊縮 선호)적 연방준비제도(Fed) 관계자들의 연속 발언과 미국 경기 지표 호조가 겹치며 10월 31일(현지 시각) 달러화가 2.75개월래 최고치를 경신했다. 반면 안전자산인 금·은 가격은 상승분을 반납하고 약세로 돌아섰다.

2025년 11월 1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달러 인덱스(DXY)는 전장 대비 0.27% 상승해 2.75개월 만에 최고치를 새로 썼다. 전일 파월 의장의 “12월 금리 인하는 기정사실이 아니다”라는 발언에 이어, 31일 제프 슈미드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 베스 해먹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가 잇달아 추가 인하에 반대 의사를 표명하면서 달러 매수세는 더욱 강화됐다.

같은 날 발표된 미 10월 MNI 시카고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3.8로 전월 대비 3.2포인트 상승, 시장 예상치(42.3)를 상회한 점도 달러 강세를 뒷받침했다. PMI는 50을 기준으로 경기 확장·수축을 가늠하는 지표다. 달러 인덱스 차트

주목

1. 연준 위원 3인의 매파 발언

“노동시장은 균형을 이뤘고, 경제 모멘텀은 이어지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다.” — 제프 슈미드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

슈미드 총재는 10월 3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25bp(0.25%포인트) 인하에 반대표를 던졌다고 밝혔다.

로리 로건 총재도 “이번 주 금리 인하 필요성을 못 봤고, 12월에도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꺾이거나 고용시장이 급랭하지 않는 한 인하에 난색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베스 해먹 총재는 “인플레이션을 2% 목표로 되돌리려면 제약적 수준의 금리를 일정 기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 시장 기대와 금리 선물 가격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트레이더들은 12월 9~10일 FOMC에서 63%의 확률로 25bp 인하를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2026년 말까지 누적 82bp 인하(정책금리 3.06% 도달)를 가격에 반영하고 있어, 연준·시장 간 시각차가 존재한다.

PMI 등 경기 지표가 예상보다 견조한 반면, 미 연방정부 셧다운이 장기화될 경우 성장률 훼손과 추가 완화 압력이 불거질 수 있다는 점은 달러 강세의 완충 요인이다.

주목

3. 유로·엔화 및 ECB·BOJ 동향

유로/달러(EUR/USD)는 달러 강세 속 0.33% 하락하며 2.75개월 저점을 기록했다. 다만 유로존 10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월 대비 2.4% 증가해 예상(2.3%)보다 높았고, 독일 9월 소매판매도 전년 대비 2.8% 늘어나 유럽중앙은행(ECB)의 추가 인하 가능성을 낮췄다.

엔/달러(USD/JPY)는 -0.03% 소폭 하락해 8.5개월 저점 부근에서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일본 9월 산업생산이 전월 대비 2.2% 늘어 7개월 만의 최대폭을 기록했고, 10월 도쿄 CPI 역시 2.8% 상승해 일본은행(BOJ)에 매파적 압력을 가했다. 다만 9월 소매판매가 0.3% 증가에 그치며 엔화 상승 폭은 제한됐다. 엔/달러 환율


4. 금·은 가격 하락 요인

뉴욕상업거래소(COMEX) 12월물 금(GC)은 온스당 19.40달러(-0.48%) 내린 3일 만의 하락 마감, 은(SI)은 0.94% 떨어졌다. 장 초반에는 세계금협회(WGC)가 “3분기 중앙은행 순매입 220t, 전분기 대비 28% 증가”라고 발표한 이래 매수세가 있었으나, 달러 급등장중 주가 랠리가 안전자산 수요를 약화했다.

Carryover support(전일 흐름에 따른 추가 상승력)은 달러·금리 변수 앞에 힘을 잃었다. 미·중 무역긴장 완화, 중국 제조업 PMI(49.0) 부진 등도 금속 수요 약화에 일조했다.


5. 투자자 참고: 지표·용어 해설

MNI 시카고 PMI는 금융정보사 MNI가 발표하는 중서부 제조업 경기 체감지표로,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 미만이면 위축을 가리킨다.

Carryover support는 전일 상승 동력이 다음 날까지 이어지는 현상이다. 그러나 달러·금리가 반대로 움직이면 해당 지지력이 무력화될 수 있다.

BP(bp, basis point)는 1bp=0.01%로, 금리 변동 폭을 세밀하게 나타내는 단위다.


6. 전망 및 리스크 요인

단기적으로는 달러 초강세 지속 여부가 금·외환시장의 핵심 변수로 지목된다. 연준이 시장 기대보다 완화적이지 않다는 점이 확인될 경우 달러는 추가 상승, 금·은은 압력 확대가 예상된다. 반대로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나 고용·물가 급락이 현실화되면 시장은 재차 완화 쪽으로 베팅할 가능성이 높다.

안전자산 수요, 중앙은행 매입, 지정학적 위험 같은 구조적 수요는 귀금속 가격을 하방에서 지지하고 있다. 특히 중동·우크라이나 위험 등 지정학 변수가 재부각 되면 금 값 반등 모멘텀이 재점화될 수 있다.


※ 본 기사에 언급된 시장 전망은 각 경제 주체·데이터에 기반한 분석일 뿐 투자 손실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는다. 원문은 Barchart·Nasdaq.com 제공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성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