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E 재고 급감에 아라비카 커피 선물가 반등…로부스타는 베트남 강우 영향 하락

커피 선물시장이 극심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12월물 아라비카 커피(KCZ25)는 10월 31일(현지시간) ICE(Intercontinental Exchange) 뉴욕선물시장에서 전일 대비 0.05센트(0.01%) 상승한 채 마감한 반면, 1월물 로부스타 커피(RMF26)는 런던선물시장에서 101달러(2.18%) 급락하며 혼조세를 나타냈다.

2025년 10월 3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아라비카 가격 반등의 핵심 배경은 ICE 공인 재고가 19.5개월 만에 최저치(43만 1,728포대)로 감소했다는 점이다. 반면 로부스타 가격은 베트남 중앙고원·지아라이·닥락 등 주요 산지에 쏟아진 집중호우로 작황 개선 기대가 커지며 약세 압력을 받았다. 여기에 달러 인덱스(DXY)가 2.75개월 최고치로 치솟으면서 커피를 포함한 달러 표시 원자재 가격 전반에 부담이 가중됐다.

앞서 10월 28일 주간에는 브라질 중·남부 커피벨트에 비가 예보되면서 두 품목 모두 2주 만에 저점을 기록했다. 기상서비스 소마르 메테오롤로지아는 브라질 최대 아라비카 산지 미나스제라이스 주가 10월 24일로 끝난 한 주 동안 강수량이 0.3㎜에 불과해 평년의 1%라고 발표했으나, 이어진 ‘단비’ 예보가 건조 우려를 일부 완화했다.

주목

“미국이 곧 브라질산 커피에 부과한 50% 관세를 철폐할 수 있다”는 관측도 가격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은 10월 27일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이 예상보다 좋았다”며 “수일 내 미·브라질 무역 문제의 ‘결정적 해결책’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베트남발 공급 압력 확대

베트남 통계청(GSO)은 10월 13일 2025년 1~9월 커피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10.9% 증가한 123만t라고 발표했다. 이어 2025/26 작황이 4년 만에 최고치인 176만t(2,940만 포대)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베트남커피카카오협회(VICOFA)는 “우호적 기후가 유지될 경우 2025/26 생산량이 전년 대비 10% 증가할 것”이라고 밝혀 로부스타 시장에 하방 압력을 더했다.

반대로 아라비카 시장에서는 미·브 교역 분쟁 여파로 ICE 재고가 빠르게 고갈되고 있다. 50% 관세 탓에 미국 바이어들이 브라질산 신규 계약을 취소하면서 재고 적체가 아닌 공급 공백이 발생했다. 미국이 소비하는 볶지 않은 원두의 약 3분의 1이 브라질산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향후 재고 부족은 가격을 더욱 떠받칠 수 있다.

라니냐·가뭄 리스크

10월 24일에는 브라질 커피 벨트의 지속적 가뭄이 우려되며 최근월물 기준 8.5개월래 최고가를 찍었다. 블룸버그 브라질 기상분석에 따르면 미나스제라이스 주의 지난달 강수량은 평년의 70%에 머물렀다. 미국 국립해양대기국(NOAA)은 9월 16일 ‘10~12월 남반구 라니냐 확률을 71%’로 상향 조정했는데, 라니냐는 브라질에 건조한 기후를 유발해 2026/27 수확기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수급 전망 및 기관별 통계

국제커피기구(ICO)는 10월 6일 2024/25 커피연도(10~8월) 세계 수출이 1,2792만 포대로 0.2% 증가했다고 밝혔다. 브라질 국가공급회사(CONAB)는 9월 4일 2025년 브라질 아라비카 생산 전망을 4.9% 하향 조정해 3,520만 포대, 총 커피 생산은 0.9% 줄어든 5,520만 포대로 제시했다. 농무부 산하 해외농업국(USDA FAS)은 6월 25일 2025/26 전 세계 생산이 2.5% 늘어난 1억 7,868만 포대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세부적으로 아라비카는 1.7% 감소, 로부스타는 7.9% 증가할 것으로 봤다. 같은 기간 기말 재고는 4.9% 늘어난 2,281만 포대에 이를 전망이다.

주목

저자·면책 고지

Barchart 소속 애널리스트 리치 애스플런드는 기사 작성 시점 기준으로 해당 종목에 직·간접 투자 포지션이 없었다고 밝혔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권유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고 명시했다.


용어풀이 및 추가 설명

  • 아라비카·로부스타 : 전 세계 커피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두 품종. 아라비카는 고지에서 재배돼 산미가 강하고 가격이 높으며, 로부스타는 저지대에서 재배돼 카페인이 많고 쓴맛이 강하다.
  • ICE 재고 : 뉴욕·런던 ICE 선물거래소가 인증한 현물 원두 재고. 선물계약 인수·인도 기준이 되는 실물이라는 점에서 가격지표 역할을 한다.
  • 달러 인덱스(DXY) : 달러를 주요 6개 통화 바스켓과 비교한 지수. 달러 강세는 달러 표시 원자재를 상대적으로 비싸게 만들어 수요를 위축시키는 경향이 있다.
  • 라니냐 현상 : 적도 태평양 동부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낮아지는 기후 패턴. 남미 동부에 건조·가뭄을 유발해 브라질 농산물 생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