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두 – 시장 상황 일별 브리핑
10월 마지막 주 미국 증시는 ‘빅테크 어닝 시즌’과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라는 복합 변수 속에서 롤러코스터 장세를 연출했다. S&P500 지수는 주간 기준 –1.2%를 기록해 4주 연속 약세 흐름을 이어갔고, 나스닥100 지수 역시 –1.9%로 하락 마감했다. 변동성지수(VIX)는 21선을 재차 상회하며 위험회피 심리가 강화됐다.
1. 핵심 이슈 Top 5
- AI·클라우드 3대장(아마존·마이크로소프트·알파벳)의 CapEx 급증
 • 2026 회계연도 CapEx 컨센서스가 불과 한 분기 만에 18% 상향(1조3,400억 → 1조5,800억 달러)
 • AWS 20% 성장 속 영업이익률 34% → 32% 하향, 애저·구글 클라우드도 마진 압박
- 메타·엔비디아·테슬라발 ‘AI 거품 논쟁’ 재점화
 AI 슈퍼인텔리전스 투자 선언 이후 메타 주가 –12%, 옵션 IV(내재 변동성) 35% → 46%
- 연준(FED)·ECB 동시 긴축 속 미국 10년물 국채 4.10% 재돌파
- 연방정부 셧다운 5주 차 진입
 CBO 추정 : GDP 손실 8주 누적 140억 달러, 민간 계약업체 매출 손실 120억 달러
- 애플·아마존·넷플릭스 ‘가격 저항선’ 돌파 여부
 아이폰17 수요·프라임데이 트래픽·주식분할 효과가 단기 촉매
2. 데이터 다이제스트
| 항목 | 10/30 종가 | 주간 변동 | 지난 4주 누적 | 
|---|---|---|---|
| S&P 500 | 4,120.32 | -1.2% | -5.8% | 
| 나스닥100 | 14,218.13 | -1.9% | -7.1% | 
| 10년물 국채금리 | 4.11% | ▲ 12bp | ▲ 47bp | 
| 달러 DXY | 99.36 | +0.5% | +1.8% | 
| WTI 유가 | $60.29 | -0.3% | -4.2% | 
3. 인용 & 시장의 목소리
“AI 투자는 2026년까지 현금흐름을 훼손할 것이지만, 투자하지 않는 대안은 존재하지 않는다.” – 뱅크오브아메리카 테크 애널리스트
“누구든 데이터센터 전력·냉각 문제를 먼저 해결하는 쪽이 승자가 될 것이다.” – 매트 가먼 AWS CEO
4. 섹터별 심층 분석
4-1. 테크/클라우드
• 단기 리스크 : 급증하는 CapEx → 순현금 흐름 감소 → PER 재평가 압력
• 단기 기회 : AI 서버 수요가 실적 하방을 방어, 분기 실적 Beat 시 숏커버 유발
4-2. 소비/리테일
• 프라임데이 실적 강세에도 불구, 재고·배송비 부담이 4분기 마진을 짓누를 전망
• 아이폰17 프로 라인 판매 비중이 65% → 69%로 상승하며 ASP 역대 최고치 예상
4-3. 산업/에너지
• WTI 60달러 재차 이탈, 셰일 오일업체 CapEx 축소 시그널
• 방산주는 핵실험 재개 지시 호재로 레이시온·BWXT 주가 강세
5. 단기 매크로 시나리오
| 시나리오 | 확률(주관) | 주요 변수 | 지수 목표 밴드 | 
|---|---|---|---|
| 베이스 : 변동성 국면 지속 | 55% | 금리 4.0~4.2%, AI 설비투자 논란, 셧다운 교착 | S&P 4,050~4,180 | 
| 상승 : 어닝 모멘텀 회복 | 25% | 빅테크 CapEx 세부 일정 완화, 연속예산 통과 | S&P 4,200~4,350 | 
| 하락 : 정책 · 유동성 쇼크 | 20% | 10년물 4.3% 돌파, 셧다운 6주 이상, 중동 리스크 확대 | S&P 3,850~4,000 | 
6. 트레이딩 팁
- 빅테크 숏 + 반도체 롱 : CapEx 부담이 큰 플랫폼주는 숏, GPU · HBM 수혜주(엔비디아·SK하이닉스) 롱
- 장단기 금리차 축소 베팅 : 2 → 10년 금리차가 -18bp까지 좁혀져 있어, 간접 숏 TLT + 롱 SHY 스프레드 매력이 부각된다.
- 실적 발표 +24h 옵션 매매 : MSFT·META IV 40% → 50% 상승 구간에서 콜 스프레드 매도
7. 종합 전망과 결론
결론적으로 당분간 “CapEx 발 우려 VS. AI 장기 성장”이라는 두 줄기 서사가 공존할 가능성이 크다. 11월 첫째 주에는 FOMC 의사록, 10월 고용보고서, ISM 제조업 지수가 줄줄이 발표된다. 데이터 서프라이즈가 없다면 시장은 금리 4.1% ±10bp 범위에서 방향성 탐색에 그칠 전망이다. 기술적으론 S&P500 4,040선이 1차 지지, 4,220선이 1차 저항이다.
투자자는 ① 빅테크 CapEx 세부 일정, ② 셧다운 협상 타임라인, ③ 장단기 금리차(2s10s) 방향을 모니터링하며 포트폴리오 엣지(Edge)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묻지마 공포보다는 ‘변동성 속 기회’를 냉정하게 포착하는 것이 단기 생존 전략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 2025 최진식.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