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인덱스(DXY)가 0.19% 상승하며 3주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2.5주 만에 최고 수준으로 뛰자 달러 강세를 지지했다. 전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의 금리 인하는 ‘기정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힌 점도 달러를 추가적으로 뒷받침했다.
2025년 10월 30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미·중 무역 긴장이 완화되면서 경제 성장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관세 휴전 연장, 수출 통제 완화, 기타 무역 장벽 축소에 합의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자료: Barchart
그러나 미 연방정부 셧다운이 이어지는 점은 달러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셧다운이 장기화될수록 미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커지고, 연준이 결국 추가적인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파생상품 시장은 12월 9~10일 FOMC에서 25bp 인하 확률을 72%로, 2026년 말까지 총 82bp 인하를 예상한다.
유로화·엔화 동향
유로/달러(EUR/USD)는 2주 만의 최저치까지 밀렸다가 일부 회복해 전일 대비 0.15% 하락했다. 유럽중앙은행(ECB)이 금리를 동결했지만, 3분기 유로존 GDP와 독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예상치를 웃돌아 통화정책에 매파적(긴축적) 영향을 줬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EU·미국 간 무역협상, 중동 휴전, 미·중 관계 개선으로 성장 하방 위험이 완화됐다”고 평가했다.
3분기 유로존 GDP는 전 분기 대비 0.2%,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해 시장 예상(각각 0.1%, 1.2%)을 상회했다. 10월 경제심리지수는 96.8로 2년 반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고, 독일 10월 CPI(EU 조화 기준)는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2.3% 상승하며 전망치를 웃돌았다.
반면 엔/달러(USD/JPY)는 0.94% 급등하며 8.5개월 만의 엔화 최저치를 경신했다. 일본은행(BOJ)은 정책금리를 0.50%로 유지했고, 우에다 가즈오 총재는 “국내 임금 데이터를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동결 배경을 설명했다. BOJ는 2025년 일본 GDP 전망을 0.7%로 상향하고, 2025년 핵심 CPI 전망은 2.7%로 유지했다.
귀금속 시장
12월물 COMEX 금은 0.50%(20.10달러) 상승했고, 은은 1.24%(0.592달러) 올랐다.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3분기 글로벌 중앙은행 금 매입은 220t으로 전분기 대비 28% 증가했으며, 올해 9월 말까지 누적 매입량은 634t에 달한다.
유로존 성장 지표 호조와 미·중 무역 완화는 산업용 금속 수요 및 은 가격을 지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반면 달러 강세와 글로벌 채권 금리 상승, 안전자산 선호 완화는 귀금속 가격 상승폭을 제한했다. 특히 S&P500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안전자산 수요가 일부 약화돼 상장지수펀드(ETF)에서는 금·은 보유량이 최근 고점 대비 감소했다.
주요 용어 해설
DXY(달러 인덱스)는 6개 주요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지수다. T-note는 미국 10년 만기 국채를 뜻하며, 여기서 발생하는 수익률(금리)은 글로벌 금융시장의 벤치마크 중 하나다. FOMC는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 기구로, 연간 8차례 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bp(basis point)는 금리 단위를 나타내며 1bp는 0.01%p다. 예컨대 25bp 인하는 기준금리를 0.25%p 내리는 것을 뜻한다.
이 기사는 원문 작성자인 리치 아슬런드가 언급된 금융 상품에 직·간접 보유 지분이 없음을 명시한다. 모든 정보는 투자 자문 목적이 아니라는 점도 함께 밝혀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