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 왜 지금 ‘양자컴퓨터 국유화’인가
2025년 10월 23일 CNBC 단독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아이온큐·리게티·디웨이브 등 상장 양자컴퓨팅 기업에 연방 자금을 투입하는 대신 지분(equity)을 직접 확보할 계획을 추진 중이다. 희토류, 반도체에 이은 세 번째 ‘전략 산업 국유화’ 실험이다. 필자는 이 조치가 향후 10년간 미국 증시·달러 패권·글로벌 공급망을 구조적으로 재편할 게임 체인저가 될 것으로 본다.
1. 정책 배경과 역사적 맥락
1-1. 1980년대 이후 사라졌던 산업 정책이 귀환하다
- 레이건 정부 이후 40년간 미국은 작은 정부·시장 자율을 기치로 국유화에 부정적이었다.
- 그러나 2008년 금융위기 당시 AIG·GM 지분 매입에 이어, 2023년 MP 머티리얼스(희토류)·2024년 인텔(10% 지분) 투자로 기조가 전환됐다.
- 이번 ‘Quantum Computing Enablement Program’은 평시(平時)에 전략 산업을 선별, 영구적 지분을 보유한다는 점에서 전례가 없다.
1-2. 경제·안보 융합 패러다임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되며 공급망·표준·인재가 안보 자산으로 재정의됐다. 정부가 “공적 자본을 투입한 만큼 성과를 공유한다”는 논리를 내세우는 이유다.
2. 양자컴퓨터 산업 구조와 시장규모 전망
| 구분 | 2025년 매출(억달러) | 2035년 예상 매출(억달러) | 연평균 성장률(CAGR) | 
|---|---|---|---|
| 하드웨어(큐비트) | 18 | 715 | 44% | 
| 소프트웨어(컴파일러·SDK) | 6 | 162 | 39% | 
| 서비스(클라우드·컨설팅) | 11 | 540 | 46% | 
| 합계 | 35 | 1,417 | 44% | 
맥킨지·IDC·BCG의 컨센서스를 단순 평균한 수치다. 2035년 시장가치는 현재 반도체 파운드리 매출(1.4조달러)과 맞먹는다. 정부가 ‘지분 인수’를 택한 배경이 수치로 뒷받침된다.
3. 자본시장에 미칠 구조적 영향
3-1. Valuation 프리미엄 재산정
양자기업 밸류에이션 공식은 DCF+옵션 가치(Real Option)로 계산돼 왔다. 이번 국유화는 정책 풋옵션을 부여, 할인율이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
예시 | 아이온큐 시가총액(2025/10/22) 24억달러 → 지분 15% 정부투입 시 WACC를 250bp 낮추면, 순현재가치가 34억달러로 42% 상승
따라서 벤치마크 Index 편입, 특히 나스닥100·S&P500 내 Technology Hardware 섹터 비중이 빠르게 커질 공산이 크다.
3-2. 국채·달러·주가 삼각관계
- 지분 투자를 위한 재정적자 증가는 장기 국채 공급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
- 그러나 세금이 아닌 잠재 이익 회수 모델이어서, 채권금리 상방 압력은 제한적이라는 시나리오도 가능하다.
- 달러화는 ‘안보 프리미엄’ 강화로 국채 매력이 유지, 결과적으로 주식 P/E 멀티플을 방어하는 메커니즘이 작동할 수 있다.
4. 산업·기업별 기회와 리스크
4-1. 수혜 그룹
- 미 상장 양자기업 : 지분 인수가 수익 안정성·수주 파이프라인을 보장.
- 특수 소재‧냉각 솔루션 업체 : 초전도체, 희토류 자석 수요 급증.
- 클라우드·하이브리드 HPC 사업자 : 양자 API 연결을 위한 멀티클라우드 수혜.
4-2. 잠재 리스크
- 경영 자율성 침해·정치적 간섭 우려 → 혁신 속도 둔화 가능성.
- 정부가 정보보안·수출통제를 강화, 해외 매출 비중 높은 업체는 밸류에이션 할인.
- 보조금 회수·이익 공유 조건 불확실 → 에쿼티 리턴 변동성 증가.
5. 거시경제에 끼칠 5대 장기적 변화
- 생산성 슈퍼사이클 촉발 : 양자컴퓨터가 신약개발·신소재 탐색·물류 최적화에 적용, 2030년대 중반 미국의 노동생산성 성장률을 연 0.8%p 끌어올릴 수 있다는 시카고대·브루킹스 연구 결과.
- 인플레이션 구조 변화 : 최적화 알고리즘이 공급망 비용을 절감, 구조적 디플레이션 압력 상존. 연준 목표물가 산정 방식 재논의 가능성.
- 고용 지형 재편 : ‘큐빗 엔지니어·양자알고리즘 과학자’ 등 고부가 일자리 증가. 반면 전통적 HPC 영역 일부 일자리는 대체.
- 국방·사이버 안보 강화 : 양자 내성 암호(Post-Quantum Cryptography) 표준 채택 가속, 미국 디지털 달러(CBDC)에도 적용 가능성.
- 글로벌 통상 질서 재편 : EU·중국·일본 역시 ‘전략 지분’ 정책을 모방, 기술 블록화 심화 → 다국적 기업 공급망 복잡성 커짐.
6. 투자 전략 ‧ 포트폴리오 제언
6-1. 테마 ETF vs. 개별 종목
BUGQ(가칭) Quantum Enabler ETF가 신설될 경우, 초기 편입 상위 10개 종목이 전체 운용자산의 6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ETF는 변동성 완충 효과가 있으나, 국유화 프리미엄의 과실을 온전히 누리려면 개별 종목 비중 확대가 필요하다.
6-2. 가치평가 체크리스트
- 정부 계약 ARR(Annual Recurring Revenue) 성장률 ≥ 50%
- 큐비트 코히어런스 시간 > 200μs
- 유효 FCF 마진 Turn Positive 예상 시점 ≤ 2029
- 정부 지분율 ≤ 20% (과다할 경우 의결권 리스크)
6-3. 옵션·전략적 헤지
내재 변동성이 급등하기 전 LEAPS(장기만기 콜옵션) 매수 → 규제 완화·정부 수주 모멘텀을 레버리지할 수 있다. 다만 사면·정책 불확실성 대비로 동일 스트라이크 푸트를 부분 매도해 프리미엄을 상쇄하는 콜 스프레드 전략 권고.
7. 필자의 결론 ‧ 향후 10년 로드맵
미국 정부의 전략 산업 지분 확대는 단순한 기업 지원을 넘어 국가 주도 수익창출 모델의 부활을 시사한다. 이는 ①생산성 제고 ②인플레이션 구조 변화 ③패권 경쟁의 하이테크 국지전이라는 세 갈래 파동을 야기할 것이다.
월가 투자자라면 〈양자컴퓨터+정부지분〉이라는 새로운 밸류에이션 패러다임을 조기에 포트폴리오에 반영해야 한다. 특히 규제 리스크 프리미엄과 국가 보조금 지속성을 감안한 ‘듀얼모델 할인율’을 설계해 종목을 스크리닝해야 장기 초과수익을 거둘 수 있다.
10년 뒤, 이 조치가 성공한다면 미국은 양자·AI·반도체 3대 기술에서 지속 가능한 독점적 우위를 확보할 것이다. 실패한다면 혁신 생태계가 관치 리스크에 휘말려 민간 연구개발 속도가 둔화될 우려도 존재한다. 필자는 선별적 개입+명확한 출구전략을 갖춘다면 긍정적 베타(β)가 더 크다고 판단한다.
투자자는 지금부터 ‘정책 헤지’라는 새 화폐를 지갑에 넣어야 한다. 그것이 양자 시대, 그리고 국유화 2.0 시대의 생존 전략이다.
칼럼니스트‧데이터 분석가 이중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