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상품거래소(CBOT) 옥수수 선물 가격이 주말을 앞두고 약세를 보이며 거래를 마쳤다. 9월물 기준으로 하루 4 ½센트, 주간으로는 6 ¼센트 하락했으며, 12월물 역시 하루 4 ½센트 떨어져 주간 기준 2 ½센트 내렸다.
2025년 10월 4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장중에는 저점에서 매수세가 유입되며 낙폭을 일부 만회했지만 종가는 결국 전일 대비 2~5센트 낮은 수준으로 형성됐다. 시장 참여자들은 미국 농무부(USDA)가 지난 9월 말 발표한 ‘역대급’ 수확량 전망 이후에도 수확기 수율(hectoliter yield)과 실수요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투기적 자금(스펙 펀드) 동향을 보여주는 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의 Commitment of Traders(COT) 보고서1에 따르면, 8월 13일 기준 옥수수 선물·옵션 순매도 포지션은 일주일 새 6,462건 증가한 249,007건이었다. 반면, 상업 헤지(곡물기업·가공업체)의 순포지션은 9,633건 순매수로 돌아서며 같은 기간 21,090건이나 개선됐다.
여기서 ‘스펙 펀드’는 가격 변동을 노리고 단기 매매에 나서는 비(非) 상업 투자자를 뜻하고, ‘커머셜’은 실제 곡물 수급을 관리하기 위해 선물을 이용하는 곡물기업·사료업체·에탄올 업체 등을 가리킨다. 통상 스펙 펀드와 커머셜 포지션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순매도 규모 확대는 단기 하락 베팅이 늘어났음을, 커머셜 순매수 전환은 현물 수급이 팽팽해졌음을 시사한다.
✅ 수확량 전망·현장 조사
USDA가 9월 30일 발표한 2025/26년도 옥수수 평균 수율 전망은 에이커당 181.5부셸로 ‘사상 최고치’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이에 대해 트레이더들은 “수치가 지나치게 낙관적일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으며, 지난주부터 화상·현장·디지털 방식으로 진행 중인 업계 곡물 투어(crop tour) 결과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프로 팜(Pro Farmer) 투어와 그로 인텔리전스(Gro Intelligence)의 위성 분석은 ▲고온·건조가 지속된 서부 코넌벨트 지역의 결실률 ▲동부 지역의 늦은 파종 영향 등을 평가해 공식 통계 대비 하향 조정 가능성을 시사해 왔다. 시장은 10월 USDA WASDE(세계농산물수급전망) 보고서에서 수율 수정 여부를 재확인할 예정이다.
📦 수출 수요·물류 흐름
주간 미 농무부 해외농업국(FAS) 수출 판매(Export Sales) 보고서에 따르면 2023/24 마케팅 연도 옥수수 총 판매량은 9월 말 기준 5,581만7,000톤(MMT)으로 집계됐다. 이는 USDA 연간 수출 전망치의 98%로, 최근 5년 평균(103%)을 소폭 하회했다. 실물 인도 기준 누적 선적량은 5,074만4,000톤으로 비중(89%) 역시 통상 96% 수준을 밑돌았다.
다만 미국 인구조사국(Census)이 집계한 실제 수출 실적은 FAS 자료보다 앞선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내륙 수로·항만 물류 지연이 FAS 주간 데이터 반영 시점과 차이를 보였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 주요 월물별 종가
• 2024년 9월물(ZC*1) 종가는 $3.70 ½로 전일 대비 4 ½센트 하락했다.
• 2024년 12월물(ZC*2) 종가는 $3.92 ½로 동일하게 4 ½센트 내렸다.
• 2025년 3월물(ZCz24) 종가는 $4.11로 하루 4 ¾센트 하락했다.
현물 시장에서는 구곡(구형 수확분) 평균 현금 호가가 $3.58 ⅝로 5센트, 신곡(신규 수확분) 현금 호가가 $3.54 ¾로 3 ¾센트 각각 내렸다.
On the date of publication, Alan Brugler did not have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positions in any of the securities mentioned in this article. All information and data in this article is solely for informational purposes.
※ 용어 해설
• Commitment of Traders(COT):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매주 금요일 발표하는 포지션 보고서로, 시장 참가자를 스펙 펀드·커머셜·리포터블(non-reportable)로 구분해 선물·옵션 순포지션을 공개한다.
• MMT: Million Metric Tons(백만 톤)의 약자로 대두·옥수수 등 곡물 수출 통계에서 사용된다.
• 마케팅 연도(MY): 미국 농산물 수급 통계에서 수확 직후 9월 1일로 시작해 다음해 8월 31일에 끝나는 1년 주기를 의미한다.
시장 관계자들은 “옥수수 현재 가격대가 이미 공급 과잉 위험을 상당 부분 반영하고 있다“면서도, “라니냐 전환 가능성, 미시시피강 수위, 브라질 파종 속도 등 변수가 많아 단기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2024/25 시즌 중·남미 생산 전망은 파종 시기별로 최종 재배 면적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기술적 관점에서도 9월물 기준 $3.65 선은 지난 10년 평균 생산원가가 위치한 가격대로, 하방 지지선 역할을 해왔다. 반면 $3.85~$3.90 영역은 최근 50일·100일 이동평균이 겹치는 저항 구간으로 평가된다. 주요 펀드 포지션이 여전히 순매도에 머무르고 있어, 단기 숏 커버링(매도 청산) 여부가 추세 변곡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