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YORK ― 수전 콜린스(Susan Collins)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인플레이션 위험을 이유로 공격적 금리 인하를 경계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금리 경로 전망과 관련해 “완만한 속도의 완화가 적절하다”는 기존 연준 전망치와 궤를 같이한다고 강조했다.
2025년 9월 30일,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콜린스 총재는 뉴욕에서 진행된 로이터 통신 단독 인터뷰에서 “물가 안정 측면의 위험을 반드시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한다”며 “노동시장에서의 약화 신호도 무시할 수 없지만 두 요소를 모두 저울질해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콜린스 총재는 “만약 금리를 너무 빨리, 그리고 ‘중립금리까지 쉬지 않고 인하하겠다’고 선언한다면 인플레이션 위험이 커질 수 있다”며 “이는 우리 의무 이행과도 맞지 않는다”고 단언했다. 중립금리(neutral rate)※ 는 경기 과열도, 경기 둔화도 유발하지 않는 이론적 금리 수준을 뜻한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이달 초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해 4.00%~4.25% 범위로 조정했다. 동시에 올해 말까지 완만한 추가 인하를 통해 3.50%~3.75% 수준까지 낮출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당시 연준은 고용시장 위험을 완화하면서 물가를 계속 끌어내리려는 ‘균형적 목표’를 강조했다.
그러나 위원들 사이에서는 정책 경로를 둘러싼 시각차가 존재한다. 콜린스 총재는 이번 9월 인하를 지지했지만 “추가 인하 여부는 데이터에 달려 있다”고 밝혔다. 반면, 클리블랜드 연은의 베스 해믹(Beth Hammack) 총재는 물가 불안이 크다며 ‘금리 동결’에 가까운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편 스티븐 미란(Stephen Miran) 신임 이사(前 트럼프 행정부 경제보좌역)는 9월 회의에서 0.50%p 인하를 주장하며 반대표를 던졌다. 미셸 보우먼(Michelle Bowman) 이사 역시 고용시장 위험을 이유로 “보다 과감한 완화”에 열려 있다고 언급해 ‘비둘기파’ 스탠스를 분명히 했다.
콜린스 총재는 인터뷰에서 “여러 물가 구성 항목이 완화되는 가운데도 트럼프 행정부 시절 관세가 일부 핵심 가격을 끌어올렸다”며 “향후 물가 압력으로 이어질지는 불확실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수년간 높은 물가를 경험한 뒤에는 기대 인플레이션이 상방으로 고착될 위험이 있다”며 이를 반드시 막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금융 여건이 전반적으로 긴장을 완화하고 있어 급작스러운 인하 필요성이 크지 않다고 분석했다. “일부 지표는 금융 여건이 오히려 경기 성장에 순풍(tailwind)을 제공하고 있음을 시사한다”며 “신중히 데이터를 살피고 결정할 여유가 있다”고 설명했다.
“경제활동 데이터가 말해주는 바를 충분히 숙고할 수 있는 환경”― 콜린스 총재
용어 설명
중립금리(neutral rate)는 통화정책이 경기 확장도, 수축도 유발하지 않는 균형 금리를 뜻한다. 현실에서는 정확히 측정하기 어렵지만 정책 방향을 가늠하는 나침반으로 쓰인다.
테일윈드(tailwind)는 배나 비행기의 뒤에서 부는 바람처럼, 경제성장에 추진력을 더해 주는 환경적 요인을 의미한다. 자본시장에서는 주가 상승, 신용스프레드 축소 등 유동성 확대 신호로 체감된다.
전문가 시각
본 기자가 취재한 다수의 월가 이코노미스트들은 콜린스 총재의 발언을 “매파적 중립”으로 해석한다. 완만한 인하를 지지하지만 인플레이션 재발을 철저히 방어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는 분석이다. 특히 금융여건 완화가 지속되는 한, 연준이 급진적 인하에 나설 명분이 제한될 수 있다는 점이 재확인됐다는 평가다.
결국 시장은 향후 발표될 미국 노동부 고용보고서와 소비자물가지수(CPI) 등에 주목하며 “12월 또는 내년 1분기 추가 인하” 시점을 저울질할 것으로 보인다. 만약 지표가 예상보다 강하게 나오면 ‘금리 동결 장기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