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전문가가 경고하는 ‘집값을 떨어뜨리는 9가지 욕실 디테일’

집을 매수하러 온 방문객이 가장 오래 머무르거나 반대로 고개를 저으며 돌아서는 공간은 단연 욕실이다. 습기가 많이 발생하는 구조적 특성 때문에 다른 어느 공간보다 하자가 드러나기 쉽고, 시대에 뒤떨어진 설비과도한 개성이 반영된 인테리어는 구매 의욕을 급격히 떨어뜨린다.

2025년 9월 20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미국 부동산 중개인들과 인테리어 전문가들은 주택 매각 시 반드시 피해야 할 욕실의 9가지 문제점을 지목했다. 이들은 “오래된 비품, 악취, 환기 불량 같은 사소해 보이는 요소도 거래 가격과 거래 성사율을 좌우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다음은 탐미 카터(Engel & Völkers Atlanta)와 제이컵 네그(We Buy Houses in Des Moines) 등 현장 전문가들이 제시한 ‘집값을 깎아먹는 욕실 디테일’ 목록과 해결 방안이다.

주목

1. 시대착오적 설비(Outdated Features)

카터는 “소위 ‘할머니 욕조’라 불리는 분홍·연두빛 욕조는 ‘빈티지 감성’이 아니라 리노베이션 예산을 떠올리게 한다”고 지적했다. 1980년대식 황동 수도꼭지, 라미네이트 상판, 낡은 비닐 바닥재도 즉각적인 교체 신호로 간주된다. 네그는 “지난해 매물 중 한 곳은 꽃무늬 벽지에 금색 트림까지 더해져 모든 예비 구매자가 ‘수리 필수’로 평가했다”고 전했다.

2. 변기 주변 카펫(Toilet Carpet)

1960년대 유행이던 변기 전용 카펫은 오늘날엔 “역겹다”는 반응을 일으킨다. 카터는 “저렴한 타일로라도 즉시 교체해야 한다”며 “소액 투자로 거래 자체를 살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3. 할리우드 조명(Hollywood Vanity Lights)

거울 위에 구형 백열구가 일렬로 달린 ‘배니티 라이트’는 화장실을 낡아 보이게 한다. 조명을 중립적 디자인으로 바꾸는 것만으로도 공간 인상이 세련되게 탈바꿈한다. 참고로 ‘할리우드 라이트’란 1940~50년대 영화세트 분장실에서 쓰던 조명 방식이다.

4. 불쾌한 냄새(Smelly Bathrooms)

카터는 “락커룸 냄새나 그보다 심한 악취가 나면 타일을 볼 시간도 없이 구매자는 이탈한다”고 말했다. 네그 또한 “과도한 표백제 향까지 의심을 키웠다”며, 냄새 자체보다 ‘심각한 문제를 감추려는 것 아니냐’는 불신이 더 크다고 강조했다.

주목

5. 오염된 줄눈(Grout Grunge)

갈라지거나 검게 변색된 줄눈은 “지난 15년간 청소를 안 한 듯한 인상”을 준다. 전문가들은 새 코킹, 교체된 하드웨어, 밝은 조명, 무채색 페인트만으로도 청결 이미지를 회복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6. 장기 수리가 필요한 하자(Long-Term Repairs)

물 얼룩, 곰팡이, 노후 배관은 즉각적인 ‘계약 파기’ 요인이다. 네그는 “구매자는 구조적 문제와 비용 부담을 직감적으로 회피한다”고 밝혔다.

7. 환기 불량(Poor Ventilation)

환풍기가 없거나 기능이 미흡하면 숨겨진 곰팡이 가능성을 의심받는다. 네그는 “아이오와의 혹한기에 욕실 내부 유리에 성에가 낀 집을 본 순간, 더 큰 구조적 결함을 예상했다”고 사례를 소개했다.

8. 비좁거나 기형적 배치(Small or Poor Layout)

좁은 면적 자체보다 문이 변기에 부딪히거나 세면대와 샤워실 간 동선이 꼬이는 배치가 문제다. 그는 “한 고객은 샤워실과 화장대 사이를 옆걸음질로 지나야 문을 닫을 수 있는 주욕실 때문에 계약을 철회했다”고 전했다.

9. 미세한 흠집·얼룩(Cosmetic Blemishes)

작은 긁힘, 얼룩, 찢김도 ‘관리 소홀’ 이미지를 증폭한다. 네그는 “사소한 결점이 욕실에서는 과도하게 확대 해석된다”고 덧붙였다.


✔ 간단한 해결책(Simple Fixes)

“코킹 보수, 줄눈 청소, 조명 교체, 거울·손잡이·페인트만 바꿔도 대부분 500달러(약 67만 원) 이하로 개선이 가능하다.” — 제이컵 네그

전문가들은 작은 투자로도 ‘첫인상’을 극적으로 바꿀 수 있다고 강조한다. 특히 중립 색상기본형 하드웨어를 선택하면 다수 구매층을 흡수할 수 있다.


용어 한눈에 보기

1 ‘Grandma’s tub’은 1950~60년대 가정집에서 유행했던 파스텔색 도기 욕조를 일컫는다.
2 ‘Hollywood Vanity Lights’는 배우 분장용 거울 테두리에 구형 전구를 배열한 조명을 의미한다. 오늘날엔 ‘구식’의 대명사로 통한다.


결국 주택 매각을 앞둔 소유자는 욕실부터 점검해 작지만 결정적인 ‘비호감 요소’를 제거해야 한다. 전문가 조언처럼 500달러 안팎의 가벼운 공정만으로도 집 전체의 가치를 지킬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