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튼 월드와이드, 밸리디아 멀티팩터 모델에서 93% 고득점…저변동성·모멘텀·배당 매력 부각

밸리디아(Validea)가 20일 공개한 ‘Guru Fundamental Report’에 따르면 힐튼 월드와이드 홀딩스(티커: HLT)는 핌 판 블리트(Pim van Vliet)의 멀티팩터(Multi-Factor) 전략 평가에서 93%라는 높은 점수를 받았다. 해당 전략은 저(低)변동성 종목이면서 동시에 강한 모멘텀높은 네트 페이아웃 수익률(Net Payout Yield)을 보유한 기업을 선호한다.

2025년 9월 20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힐튼은 ‘호텔·모텔’ 산업 내 대형 성장주로 분류되며, 평가 모델이 요구하는 대부분의 정량 지표를 충족했다. 점수 80% 이상은 전략상 ‘관심’ 대상, 90% 이상은 ‘강한 매수 의향’으로 해석되기 때문에 93%는 투자 매력도가 상당히 높다는 의미다.


주요 평가 항목 요약

· 시가총액(Market Cap): PASS
·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PASS
· 12-1 모멘텀(Twelve Minus One Momentum): NEUTRAL
· 네트 페이아웃 수익률(Net Payout Yield): NEUTRAL
· 최종 등급(Final Rank): PASS

이번 분석은 ‘멀티팩터 인베스터(Multi-Factor Investor)’ 모델 가운데서도 저변동성 팩터를 핵심으로 삼았다. 저변동성 전략은 ‘리스크가 낮을수록 수익률도 낮다’는 전통적 투자 이론과 달리, 낮은 변동성을 가진 주식이 장기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시현한다는 점에서 연구·실전 모두에서 주목받아 왔다.

주목

핌 판 블리트 소개

핀란드 출신의 판 블리트는 로베코 자산운용(Robeco Asset Management)의 ‘보수적 주식(Conservative Equities)’ 부문을 총괄한다. 그는 저변동성·가치·모멘텀을 결합한 투자기법을 『High Returns From Low Risk』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했고, PhD 학위는 네덜란드 에라스무스대학교 로테르담에서 취득했다.

세부 링크 및 추가 자료

용어 풀이

· 저변동성(Low Volatility): 특정 주가의 일간, 주간, 월간 변동폭을 통계적으로 측정한 값이 낮음을 의미한다.

· 네트 페이아웃 수익률: 주주에게 돌아가는 현금 총액(배당금+자사주 매입–신주 발행액)을 시가총액으로 나눈 지표로, 실질 주주 환원율을 보여 준다.

· 멀티팩터 모델: 가치·성장·품질·모멘텀·변동성 등 복수의 팩터를 동시에 고려해 종목을 선별하는 계량 투자 기법을 뜻한다.


밸리디아 플랫폼 개요

밸리디아는 워런 버핏·벤저민 그레이엄·피터 린치 등 ‘투자 구루’들의 공개 전략을 데이터베이스화해 종목을 평가·모델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리서치 서비스다. 이번 보고서 역시 해당 플랫폼이 보유한 22가지 전략 중 하나에 기반해 작성됐다.

“본 보고서에 포함된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의 것이며, 반드시 나스닥 혹은 밸리디아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