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감에 뉴욕증시 사상 최고치 경신

[뉴욕증시] 20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S&P 500,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나스닥 100 지수 모두 종가 기준 역대 최고치를 새로 썼다. S&P500 지수는 전장 대비 0.49% 오른 5,231.71, 다우존스는 0.37% 상승한 40,211.57, 나스닥100은 0.70% 오른 18,942.26으로 마감했다. 같은 날 12월물 E-미니 S&P500 선물은 0.42%, 12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68% 각각 상승했다.

2025년 9월 20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에 주목하며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키웠다. 이날은 ‘트리플 위칭(triple witching)’*으로 불리는 파생상품 동시만기일이었지만, 시장 변동성은 평이한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10년물 미 국채금리가 2bp 오른 4.13%까지 오르면서 주가 상승폭은 일부 제한됐다.

*트리플 위칭은 주가지수선물·옵션과 개별주식 옵션 등 세 가지 파생상품이 동시에 만기를 맞는 분기 마지막 달의 셋째 금요일을 뜻한다. 통상 거래량이 급증하고 변동성이 확대되기 쉽지만, 이번 분기에는 비교적 차분한 흐름을 보였다.

주목

연준 인사·정치권 발언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의 닐 카시카리 총재는 이번 주 0.25%포인트 기준금리 인하에 찬성했다며, 올해 두 차례 추가 인하를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10월 28~29일 회의에서의 25bp 인하 가능성은 파생상품 시장에서 92%로 반영됐다.

“성장세 둔화와 인플레이션 하락세를 감안하면 완만한 추가 완화가 필요하다.” — 닐 카시카리 총재

정치권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해 틱톡(TikTok) 미국 사업 지배권을 중국 바이트댄스에서 미국 투자자 컨소시엄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전했다. 두 정상은 내달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회동할 예정이다.


실적·가이던스 상향…주가 우호적 환경 조성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에 따르면 S&P500 편입 기업 중 22%가 3분기 실적 전망을 상향 조정해 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3분기 S&P500 기업 이익 성장률 예상치는 6.7%에서 6.9%로 상향됐다. 이는 주가에 추가 탄력을 주는 요인으로 평가된다.


해외 증시·채권시장 동향

유럽에서는 유로스톡스50 지수가 4주 만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0.03% 상승했다. 반면 일본 니케이225는 1주 최저치로 0.57% 하락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은 0.30% 내렸다.

주목

채권시장에서 12월물 미국 10년물 T-노트 선물은 2주 최저치로 7.5틱 하락했고, 수익률은 2.7bp 오른 4.131%에 마감됐다. 유럽도 동반 약세로, 독일 10년물은 2주 최고인 2.748%, 영국 10년물은 4.715%까지 올랐다.

경제 지표로 독일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0.5%, 전년 대비 –2.2%로 15개월 만의 최대 하락을 기록했다. 영국은 8월 소매판매(자동차 연료 제외)가 0.8% 증가하며 5개월 만의 최대폭 증가세를 보였으나, 같은 달 재정적자는 180억 파운드로 5년 만의 최악을 기록했다.

유럽중앙은행(ECB)센테노 이사는 “유로존 성장률이 잠재 수준을 밑돌고, 인플레이션도 목표 이하로 떨어질 것”이라며 추가 완화를 시사했다. 반면 뮐러 이사는 “현 통화정책이 이미 다소 완화적”이라며 당장 금리 인하 필요성을 부인했다.


미국 개별 종목 동향

대형 기술주 ‘매그니피센트 세븐’이 지수 강세를 견인했다. 애플은 3% 넘게, 테슬라는 2% 넘게 상승했고, 알파벳·마이크로소프트는 1% 이상 올랐다. 오라클은 메타 플랫폼스와 200억 달러 규모 클라우드 계약 협상 소식으로 4% 이상 급등했다.

이밖에 클라비요·코어위브·링컨 내셔널 등이 증권사 투자의견 상향에 힘입어 3~4%대 상승했다. 반면 스콜라스틱은 12% 넘게 빠졌고, 헬스케어 기업 휴마나·주택건설사 레나·인텔 등이 각각 3~4% 이상 하락했다.


시장 전망 및 전문가 진단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의 ‘비둘기파적 전환’기업 실적 개선세가 당분간 주가 상승 사이클을 지지할 것으로 본다. 그러나 장기금리 상승과 정치적 변수—예컨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연준 인사 교체 시도—가 채권시장 불안을 키워 주식시장에도 파급될 수 있다는 경계감이 공존한다.

옵션 만기, 미·중 관세 협상, 유럽 물가 지표 등 다중 변수에 따라 단기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포트폴리오 다각화와 위험 관리가 요구된다는 것이 월가 전문가들의 공통된 조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