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저민 그레이엄 가치투자 모델, 센트럴 가든 앤드 펫 주가 점수 86%로 상향

[Validea Benjamin Graham Strategy Daily Upgrade Report]  미국 퀀트(계량) 리서치 기관 발리디아(Validea)가 2025년 9월 20일자로 발표한 벤저민 그레이엄 가치투자 전략 일일 보고서에 따르면, 센트럴 가든 앤드 펫(Central Garden & Pet Company, 티커: CENT)의 종합 점수가 71%에서 86%로 상승했다.

2025년 9월 20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발리디아는 전설적인 가치투자 선구자 벤저민 그레이엄의 공식을 토대로 저평가 종목을 선별하는 ‘밸류 인베스터(Value Investor)’ 모델 포트폴리오를 운용하고 있다. 이 모델은 P/B(주가순자산비율)와 P/E(주가수익비율)가 낮고, 부채비율이 안정적이며 장기적으로 꾸준한 이익 성장을 기록한 기업을 집중적으로 찾는다.

이번 평가에서 센트럴 가든 앤드 펫중형주(mid-cap)에 속하며 식품 가공(Food Processing) 산업에 포함된다. 점수 80% 이상은 모델 포트폴리오 편입 가능성을, 90% 이상은 강력 매수 관심을 뜻하는데, 86%라는 수치는 ‘관심 대상’ 구간에 진입했음을 알린다.

주목

1. 기업 개요

센트럴 가든 앤드 펫은 정원·반려동물(Garden & Pet) 산업에 특화된 미국 기업이다. 65개 이상의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며, 대표 상표로는 Amdro, Aqueon, Cadet, C and S, Farnam, Ferry-Morse, Four Paws, Kaytee, Nylabone, Pennington 등이 있다. 사업부문은 Pet 부문Garden 부문으로 구분된다.

Pet 부문에서는 반려견·반려묘 간식‧장난감‧침대‧펜스, 미용용품, 배변 패드부터 어류·소동물·파충류·조류 용품, 그리고 말·가축 사료와 각종 살충·위생 제품을 제공한다. 또한 살아있는 열대어와 소동물, 아웃도어 쿠션도 판매한다. Garden 부문은 잔디·정원 소모품, 잔디씨·채소·꽃·허브 종자, 야생조류 사료, 조류 주택, 제초제·살충제, 그리고 관상식물 등으로 포트폴리오가 구성된다.


2. 평가 세부 항목 및 결과

SECTOR: PASS  |  SALES: PASS  |  CURRENT RATIO: PASS  |  LONG-TERM DEBT vs. NET CURRENT ASSETS: PASS  |  LONG-TERM EPS GROWTH: PASS  |  P/E RATIO: FAIL  |  PRICE/BOOK RATIO: PASS

위 표는 그레이엄 전략이 요구하는 7가지 주요 테스트 통과 여부를 나타낸다. 센트럴 가든 앤드 펫은 6개 항목을 통과했고, P/E 비율 항목에서만 고배를 마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괄 점수는 86%로 상승해 투자 매력도가 개선됐다.

P/E 비율이 실패 항목으로 분류된 이유는 해당 지표의 절대값이 벤저민 그레이엄이 제시한 ‘순이익 대비 저평가’ 기준선을 상회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P/B 비율부채 안정성 항목을 비롯한 다른 조건에서 우수한 점수를 획득하며 전체 평가를 끌어올렸다.

주목

3. 벤저민 그레이엄 전략이란?

벤저민 그레이엄(1894‧05‧08~1976‧09‧21)은 ‘가치투자의 아버지’이자 현대 증권분석학의 창시자로 불린다. 그는 워런 버핏(Warren Buffett)을 비롯한 수많은 전설적 투자자를 길러냈다. 1936년부터 1956년까지 그의 투자사는 연평균 20% 수익률을 기록했는데, 이는 동기간 시장 평균 12.2%를 크게 상회한 수치다.

그레이엄의 투자 원칙은 안전마진(가격과 가치 간 차이), 저평가 지표(P/B·P/E) 및 재무건전성을 핵심으로 삼는다. 오늘날 발리디아는 해당 공식을 계량화해 월가의 빅데이터·알고리즘으로 재해석했고, 매일 모델 포트폴리오의 편입·제외를 업데이트한다.


4. 발리디아(Validea) 개요

발리디아는 워싱턴 D.C 근교에 본사를 둔 독립형 투자 리서치 플랫폼이다. 워런 버핏, 피터 린치, 마틴 츠바이크 등 장기 초과수익을 기록한 ‘투자 구루’들의 전략을 공개 자료에 기반해 계량화하고, 10개 이상의 모델 포트폴리오를 운용한다.Nasdaq.com이 발리디아 리포트를 단독 전재

이번 보고서 전문과 추가 데이터는 발리디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할 수 있다. 또한 Guru AnalysisFundamental Analysis 링크를 통해 CENT 개별 지표, 업종 평균 대비 상대가치, 재무제표 상세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5. 전문적 해석 및 시장 영향

① 가치투자 관점
점수 86%는 그레이엄 전략에서 ‘유망’으로 분류된다. 특히 6개 조건을 통과한 점은 양호한 현금흐름과 낮은 레버리지(부채)에 기초한 내재가치가 주가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② 성장 모멘텀과 리스크
Pet 부문의 경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반려동물 양육 인구 증가라는 구조적 수혜가 이어지고 있다. Garden 부문 또한 원예 취미 확산으로 수요가 증가해 실적 다변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다만, 원자재 가격 변동과 소비 경기 둔화는 잠재적 리스크 요인으로 남아 있다.

③ 투자자 유의 사항
발리디아 모델은 백테스트·계량지표 기반이므로, 거시경제 흐름·시장 심리가 바뀔 경우 예측력이 약화될 수 있다. 또한 단일 전략에 의존하기보다는 포트폴리오 분산과 장기적 관점이 필요하다.


6. 결론

센트럴 가든 앤드 펫은 벤저민 그레이엄 가치투자 전략 기준에서 명확한 재무 안정성과 실적 성장을 확인받으며 투자 매력도가 개선됐다. 향후 추가적인 P/E 비율 조정 또는 실적 서프라이즈가 발생할 경우, 90% 이상으로 상향돼 ‘강력 매수’ 구간에 들어설 가능성도 존재한다. 다만, 투자 판단은 개인별 위험 성향과 시장 환경을 고려해 이뤄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