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선물 가격이 19일(현지시간) 급락하며 1개월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날 뉴욕 ICE에서 12월물 아라비카 커피(KCZ25)는 전일 대비 -14.35센트(−3.77%) 하락한 3.67달러, 런던 ICE에서 11월물 로부스타 커피(RMX25)는 -312달러(−7.02%) 떨어진 4,137달러에 각각 장을 마쳤다.
2025년 9월 1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의원들이 커피 제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하는 법안을 발의할 계획이라는 워싱턴포스트 보도가 전해지면서 투자 심리가 얼어붙었다. 미 의회가 실제로 관세를 철회할 경우, 최근 커피 가격을 떠받쳐 온 공급 차질 요인이 약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쏟아졌다.
현재 미국은 브라질산 커피에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이 조치로 아라비카 커피 세계 1위 생산국인 브라질산 수입이 크게 줄면서 ICE가 모니터링하는 창고 재고가 급감했다.
ICE에 따르면 9월 19일 기준 아라비카 재고는 654,224포대(60㎏ 기준)로 16.75개월 만에 최저치를 찍었으며, 로부스타 재고 역시 6,464계약으로 1.7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미국은 생두 수입의 약 3분의 1을 브라질에 의존하는 만큼, 관세 면제가 단행되면 공급 긴축은 상당 부분 완화될 전망이다.
반면 베트남발 공급 확대로 인한 하방 압력도 존재한다. 베트남 통계청은 1~8월 커피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한 114만1,000t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미 농무부(USDA)는 2025/26 생산량이 전년 대비 6% 증가한 176만t(2,940만 포대)로 4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베트남은 로부스타 커피 최대 생산·수출국이다.
이번 주 초까지만 해도 가격은 상승 흐름을 보였다. 9월 16일 아라비카 12월물은 계약 최고가를, 근월물(U25)은 7개월 만의 고점을 각각 기록했다.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주에 강수량이 전무하다는 브라질 기상업체 소마르(Somar)의 보고서가 트리거였다. 커피나무 개화기에 물이 부족하면 수확량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
또 NOAA는 10~12월 남반구에 71% 확률로 라니냐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다. 라니냐는 브라질에 극심한 건조를 가져올 수 있어 2026/27 작황에 악재로 작용한다.
브라질 정부 통계기관 코나브(Conab)는 9월 4일 2025년산 아라비카 생산 전망치를 4.9% 하향한 3,520만 포대로 수정했다. 전체 커피 생산 전망치도 5,570만 포대에서 5,520만 포대로 0.9% 낮췄다.
국제커피기구(ICO)는 9월 3일 보도를 통해 7월 전 세계 커피 수출이 1.6% 감소한 1,160만 포대, 2024년 10월~2025년 7월 누적 수출은 0.3% 감소한 1억1,561만5,000포대라고 밝혔다. 브라질 상무부와 수출업체협회(Cecafe)에 따르면 7월 브라질산 생두 수출은 전년 대비 20.4% 감소한 16만1,000t이다.
그러나 브라질 최대 커피 조합 콕스페(Cooxupe)는 9월 12일 회원 농가의 수확률이 98.9%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수확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서면서 단기적으로는 공급 물량 부담이 가격을 누를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글로벌 수급 전망*USDA·Volcafe
미 농무부 해외농업국(FAS)은 6월 25일 2025/26년 전 세계 커피 생산이 전년 대비 2.5% 증가한 1억7,868만 포대(60㎏ 기준)로 사상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같은 기간 로부스타는 7.9% 늘어나지만 아라비카는 1.7%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종합 재고는 4.9% 증가해 2,281만9,000포대에 이를 전망이다. 그러나 커피 트레이더 볼카페(Volcafe)는 2025/26 아라비카 공급 부족을 850만 포대로 추정, 이전 시즌(550만 포대)보다 적자 폭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기사를 작성한 리치 애스플런드 기자는 해당 종목에 직·간접적인 투자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조언으로 간주될 수 없다.
■ 용어 해설
아라비카(Arabica)는 부드러운 산미와 향이 특징으로 전 세계 커피 생산량의 약 60%를 차지한다. 고지대에서 재배되며 기후 변화에 민감하다.
로부스타(Robusta)는 쓴맛과 높은 카페인이 특징으로, 아라비카보다 내병성이 강해 저지대·고온 지역에서 주로 재배된다. 인스턴트 커피나 에너지 음료 원료로 많이 사용된다.
■ 기자 시각
관세 철회는 미국 내 커피 원두 가격 안정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재고 급감이 불러온 가격 급등·급락의 변동성이 지속될 전망이다. 특히 라니냐 가능성, 브라질·베트남 작황, 글로벌 물류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수급 불확실성’이 커피 시장의 핵심 변수로 남을 것이다. 국내 커피 수입업체·카페 프랜차이즈 역시 헤지 전략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