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500 지수($SPX)는 장중 +0.11% 상승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I)는 +0.08%, 나스닥 100($IUXX) 지수는 +0.23% 오르며 새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12월물 E-미니 S&P 선물은 +0.09%, 12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22% 상승했다.
2025년 9월 19일, 나스닥닷컴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연방준비제도(Fed)의 추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베팅하며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100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점이 시장 전반의 낙관론을 뒷받침한다.
다만 오늘은 ‘트리플 위칭(Triple-Witching)’이 겹친 거래일로, 약 5조 달러 규모의 주식 옵션·선물·파생상품이 만기된다. 트리플 위칭은 분기마다 찾아오는 파생상품 동시 만기일로, 변동성이 평소보다 급격히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이날 10년물 미 국채금리가 +2bp 상승한 4.13%까지 오르며 주가 상승 폭을 제한했다.
◆ 연준 및 정책 불확실성
미니애폴리스 연방은행 총재 닐 카시카리는 “이번 주 기준금리 25bp 인하 결정에 찬성했으며, 올해 추가로 두 차례 더 인하할 것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해당 발언은 완화적 통화 기조를 재확인한 것으로 시장에 긍정적 재료로 작용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통화를 갖고, TikTok 미국 사업권을 중국 바이트댄스(ByteDance)에서 미국 투자자 컨소시엄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통화에서 양국 무역 현안이 함께 거론될 가능성이 높아, 향후 정상회담으로 이어질지도 주목된다.
◆ 기업 실적 전망 개선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S&P 500 기업 중 22% 이상이 3분기 실적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해 애널리스트 기대치를 앞설 것으로 제시했다. 이는 1년 만에 가장 높은 비율이다. 전망치 기준 3분기 순이익 증가율도 기존 6.7%에서 6.9%로 상향돼 주가에 우호적인 배경을 제공한다.
시카고 상품거래소(CME) FedWatch 자료에서 10월 28~29일 FOMC 회의에서 25bp 인하가 단행될 확률은 92%로 반영됐다.
◆ 해외 시장 동향
유럽 Euro Stoxx 50 지수는 4주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0.23% 상승했다. 반면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30%, 일본 니케이 225는 사상 최고치에서 후퇴해 1주 최저치로 -0.57% 마감했다.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2주 최고 수준인 2.752%로 +1.7bp 상승했고, 영국 10년물 길트금리는 4.717%로 +3.1bp 올랐다. 같은 날 발표된 독일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 대비 −0.5%(예상 −0.1%), 전년 대비 −2.2%로 15개월 만에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영국 8월 소매판매(자동차 연료 제외)는 전월 대비 +0.8% 증가해 5개월 만에 최대 폭을 보였다. 그러나 같은 달 재정적자는 180억 파운드(약 244억 달러)로 예상치(125억 파운드)를 상회하며 5년 만에 8월 기준 최대치를 기록했다.
유럽중앙은행(ECB) 위원 마리오 센테노는 “유로존 성장률이 잠재수준을 밑돌고 물가상승률이 머지않아 목표치 이하로 내려갈 것”이라며 추가 완화를 시사했다. 반면 동료 위원 마르틴 뮐러는 “현재 정책은 다소 완화적이며, 추가 인하 필요성을 보지 못한다”고 밝혔다.
◆ 미국 국채 및 연준 독립성 우려
12월 만기 10년물 미 국채선물(ZNZ5)은 -5틱 하락해 2주 최저치로 밀렸다. 수익률은 장중 4.143%까지 올라 2주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주가 강세로 안전자산 수요가 위축된 데다, 유럽 국채 약세가 동반된 영향이다.
연준 독립성 훼손 논란도 금리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리사 쿡 연준 이사를 해임하려 했다는 보도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EA) 소속 스티븐 미런이 직책을 유지한 채 연준 이사직을 겸임하려는 의도가 시장에 전해졌다.
◆ 미국 주요 종목 흐름
‘매그니피슨트 세븐’으로 불리는 대형 기술주가 지수를 견인했다. Tesla +2% 이상, Apple +1% 이상 올랐고, Microsoft +0.94%, Amazon +0.75%, Nvidia +0.56%, Alphabet +0.27% 순으로 동반 상승했다.
AI 클라우드 업체 CoreWeave는 루프캐피털의 ‘매수’ 신평가와 165달러 목표가 제시에 따라 +3% 급등했다. Klaviyo와 Lincoln National도 각각 모건스탠리의 ‘비중확대’ 상향 조정으로 +3%, +1% 상승했다.
FedEx는 1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3.83달러로 컨센서스(3.59달러)를 상회해 +2% 올랐다. 반면 Scholastic은 1분기 주당손실 −2.52달러로 예상치(−2.44달러)보다 적자 폭이 커지며 -10% 폭락했다.
Hess Midstream는 2026~2027년 자본지출 축소 계획을 밝히며 -9% 하락했고, 주택 건설사 Lennar는 3분기 매출이 88억 1,000만 달러로 예상치(90억 5,000만 달러)를 밑돌고 4분기 신규주문 가이던스도 기대에 못 미쳐 -1% 떨어졌다.
Intel은 씨티그룹이 투자의견을 ‘매도’로 낮추고 목표주가를 29달러로 제시하자 -1% 하락했다. MetLife도 파이퍼 샌들러의 ‘중립’ 하향 조정으로 -1% 약세를 보였다.
오는 9월 19일에는 C&F 파이낸셜(CFFI), 루이지애나-퍼시픽(LPX), Pathward Financial(CASH) 등 3개사가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 용어 설명 및 전문가 시각
1트리플 위칭은 주가지수 선물·옵션, 개별주식 옵션의 만기가 동시에 도래하는 분기 마지막 달 셋째 금요일을 뜻한다. 만기 청산 과정에서 프로그램 매매가 집중되며 유동성과 변동성이 급증한다.
2‘매그니피슨트 세븐’은 시가총액 상위 7개 빅테크 기업(Apple, Microsoft, Amazon, Alphabet, Nvidia, Meta, Tesla)을 일컫는 신조어로, 지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절대적이다.
기자의 견해로, 연준이 올해 안에 두 차례 추가 금리 인하를 단행한다면 장기채 수익률 곡선은 단기적으로 다시 평탄화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물가 둔화 속도가 기대에 못 미칠 경우 인하 속도 조절 또는 일시 중단 가능성도 상존한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의 연준 인사 개입 논란은 중앙은행의 독립성·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향후 시장 변동성 촉매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