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추가 완화 기대에 뉴욕증시 소폭 상승

뉴욕증시가 19일(현지시간) 장중 S&P500, 다우존스, 나스닥100 등 주요 지수가 일제히 상승하며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드러냈다.

2025년 9월 19일, 나스닥닷컴·바차트 보도에 따르면 추가적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Fed)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투자 심리를 지지했다. S&P500 지수는 전장 대비 0.16%,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04%, 나스닥100 지수는 0.19% 오르면서 나스닥100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같은 시각 12월 만기 E-미니 S&P500 선물은 0.13%, 12월 만기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26% 뛰었다. 반면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2bp 상승한 4.13%를 기록해 주가 상승폭은 제한됐다.

주목

■ “트리플 위치”(Triple-Witching) 현상과 변동성 확대

이날은 분기마다 찾아오는 트리플 위치 만기일이다. 이는 주가지수 선물·옵션과 개별주식 옵션 등 파생상품 세 가지가 동시에 만기 도래하면서 거래대금·변동성이 급증하는 이벤트다. 보도에 따르면 약 5조 달러 규모의 계약이 만료돼 장중 변동성이 평소보다 높아졌다.

시장 참가자들은 보통 이 기간 동안 현·선물 간 가격 왜곡과 대규모 롤오버(만기 이전 포지션 교체)로 인한 급격한 매수·매도 물량 출회를 주의한다.


■ 연준 인사 발언 및 금리 인하 기대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 니일 카시카리는 이번 주 FOMC가 단행한 25bp(0.25%p) 인하를 지지하며 “올해 추가로 두 차례 더 금리를 내릴 것”이라고 언급했다. 발언 직후 채권 매도세가 진정되면서 국채 가격이 낙폭을 일부 만회했다.

연방기금선물(FedWatch) 가격은 10월 28~29일 차기 FOMC에서도 92% 확률로 25bp 추가 인하를 반영했다. 시장은 사실상 11월 이전 두 차례 인하 시나리오까지 선제적으로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주목

■ 정치 리스크와 연준 독립성 우려

보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 이사 미셸 보우맨 해임 추진백악관 경제자문위원 스티븐 미런의 이사직 겸임을 검토 중이다. 시장은 이를 연준 독립성 훼손 가능성으로 받아들여 장기채권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 유럽·아시아 시장 동향 및 경제 지표

해외 증시는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유럽 스톡스50 지수는 0.23% 올라 4주 만에 고점을 재차 확인했으나,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30% 하락했다. 일본 닛케이225는 장중 사상 최고치 경신 후 0.57% 밀리며 1주 내 최저치를 기록했다.

독일 8월 PPI(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5%, 전년 대비 –2.2%로 15개월 만에 가장 큰 폭 하락을 기록하며 디스인플레이션 압력을 시사했다. 영국 8월 자동차 연료 제외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8% 증가해 5개월 만에 최대폭을 나타냈다.

영국 8월 재정수지는 180억 파운드(약 244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125억 파운드)를 웃돌며 5년 만에 8월 기준 최대 적자다.


ECB(유럽중앙은행) 통화정책 스탠스

ECB 정책위원회 멤버 마리오 센테노는 “유로존 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하회하고, 물가 상승률이 곧 목표(2%) 이하로 내려가 장기간 머물 가능성이 높다”며 추가 완화가 더 우세한 시나리오라고 말했다. 반면 마르틴 뮐러 위원은 “현재 정책은 다소 완화적이며, 즉각적 금리 인하 필요성은 없다”고 상반된 의견을 제시했다. 파생상품 시장은 10월 30일 ECB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2% 미만으로 가격 책정 중이다.


■ 미국 종목별 움직임

‘매그니피션트 세븐’ 대형 기술주가 지수 강세를 견인했다. 테슬라와 애플이 1% 이상 상승했으며, 아마존(+0.76%), 마이크로소프트(+0.75%), 메타(+0.50%), 엔비디아(+0.11%)도 플러스권을 유지했다.

개별 종목 중에서는 인공지능(AI) 인프라 기업 코어위브(CoreWeave)가 루프캐피털 ‘매수’ 신규 커버리지와 목표가 165달러 제시에 4% 넘게 급등했다. 마케팅 자동화 플랫폼 클라비요(+3% 이상)와 링컨내셔널(+3% 이상) 역시 모건스탠리 ‘비중확대’(Overweight) 추천 후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스콜라스틱은 1분기 주당순손실 –2.52달러로 예상치(–2.44달러)를 하회하면서 12% 급락했다. 헤스 미드스트림은 2026~2027년 CAPEX 축소 계획 발표로 7% 내렸다. 주택건설사 레나는 3분기 매출이 예상(90억5천만 달러)에 못 미치고 4분기 신규주문 전망도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해 4% 이상 하락했다.

인텔은 씨티그룹이 ‘매도’(Sell)로 하향하고 목표가를 29달러로 제시하면서 2% 이상 급락했다. 메트라이프는 파이퍼샌들러가 ‘중립’(Neutral)으로 낮추며 1%대 약세를 보였다.


■ 국채·금리 동향

미 국채 10년물 선물(12월물)은 6틱 하락해 2주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수익률은 4.143%까지 올라 2주 최고치를 경신했다. 위험자산 랠리로 안전자산 선호가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이다. 유럽 국채 역시 약세를 나타내 독일 10년물 분트 수익률은 2.746%, 영국 길트는 4.707%로 각각 2주 내 최고치를 찍었다.

시장 전문가들은 “만약 연준이 예상보다 빠르게 금리 인하를 발표할 경우 현재 수익률 곡선의 평탄화 흐름이 완화될 가능성”을 제기했다. 다만 정치 리스크와 매크로 불확실성을 이유로 장기채권 투자 비중을 급격히 늘리기에는 시기상조라고 평가했다.


■ 전문적 통찰: 추가 완화 기대가 지수 상승 이끌지만 한계 존재

시장에 이미 두 차례 추가 인하 기대가 선반영된 만큼, 연준이 실제로 행동에 나서더라도 먼저 반영된 재료(Buy the rumor, sell the fact)로 단기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트리플 위치 종료 이후 파생상품 롤오버 물량이 해소되면 변동성 축소와 함께 기술주 주도 랠리가 숨 고르기 국면에 진입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투자자라면 단기 모멘텀보다는 기업 실적·현금흐름 등 펀더멘털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리스크 조정 후 기대수익률을 따져볼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 신저가 매수를 노리는 경우 빅테크 이외 섹터 분산과 옵션 헤지 전략을 병행해 변동성 급등에 대비하는 것이 현명하다는 분석이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됐으며,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