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9일 최진식의 미국 매크로 분석 – 사상 최고치 이후 관망장세 속 연준 완화와 AI 테마 교차점

📰 서두 요약

뉴욕 3대 지수가 연준의 예방적 금리 인하 이후 사상 최고치를 재차 경신했으나, 선물‧옵션 만기 주간의 피로10년물 국채금리 재상승이 맞물리며 단기 숨 고르기에 돌입했다. 반도체·AI 테마가 다시 시장을 이끌고 있지만, 밸류에이션 부담과 정책 불확실성이 공존해 향후 며칠간은 박스권 공방이 예상된다.


1. 최근 시장 상황과 핵심 이슈

  • 연준 : 0.25bp 인하 단행, 연내 추가 2회 시사.
  • 국채금리 : 10년물 수익률 4.1% 재돌파→밸류에이션 상단 압박.
  • AI·반도체 : 엔비디아·인텔 제휴 뉴스 → SOX 지수 주간 +6%.
  • 중국 리스크 : 틱톡·바이트댄스 협상 진전, 위안화 강세 전환.
  • 소매판매·실업수당 : 소비 완만, 고용 냉각 조짐→연착륙 베팅 강화.

S&P500 intraday


2. 데이터 체크 : 숫자로 보는 현재 위치

지표 현재 1주 전 3개월 평균 기술적 의미
S&P 500 5,403 5,213 5,021 EMA 20 상회
나스닥100 19,846 18,745 18,105 상승 추세 가속
러셀2000 2,160 2,015 1,975 단기 돌파 후 되돌림
10Y 국채 4.10% 3.96% 4.05% 레인지 상단
WTI $89.4 $85.1 $82.6 공급 차질 우려
VIX 12.8 14.6 13.9 안도 국면

주가지수·변동성·채권·원자재 모두 낙관과 경계가 미묘하게 교차한다.

주목

3. 뉴스 흐름 세부 해설

3-1) 연준 & 경제 지표

• 파월 의장은 “리스크 관리 차원의 선제 인하“라 규정했으나, 점도표 중앙값은 물가·성장률 모두 상향.
• 주간 신규 실업수당 23만1천 건(예상 24만) → 노동시장은 완만하지만,비농업 고용 2개월 연속 둔화.
• 선행지수 4개월 최대폭 하락(-0.5%) → 기업 재고·주택 착공 부진이 원인.

3-2) AI 테마 집중 점검

엔비디아 ↔ 인텔 50억 달러 파운드리 투자 합의‘하이퍼스케일 AI 슈퍼컴’ 서사를 강화. 다만 Citi·씨티·BMO 등 일부 IB는 “선단(先端) 공정 수율 불확실“을 이유로 인텔을 매도 의견으로 전환.
→ 단기 차익 실현 vs AI CAPEX 장기 사이클 기대가 팽팽.

3-3) 섹터 로테이션

  • 소형주 ↔ 대형주 : 러셀2000 8월 고점 돌파 후 차익 매물, 4,000억 달러 규모 기술섹터 ETF 유입이 재차 대형 기술로 회귀.
  • 은행주 : 연준 인하 + 연착륙 시나리오에 6개 분기만의 일드커브 정상화 기대. 그러나 상업용 부동산(CRE)·규제자본 부담은 중기 리스크.
  • 리테일 : 월마트·아마존은 호조, 그러나 월마트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가짜 상품 스캔들이 ESG 이슈로 부각.

4. 단기(향후 며칠) 전략적 시나리오

시나리오 A — 연속 돌파

• 조건 : 10Y 수익률 ≤ 4%, VIX ≤ 13, SOX 신고점.
• 예상 : S&P 5,480·나스닥100 20,200 테스트.
• 유효 업종 : AI 반도체·클라우드·사이버보안.

시나리오 B — 플랫 & 스윙

• 조건 : 10Y 수익률 4.1~4.2% 횡보, VIX 13~15.
• 예상 : 1.5% 이내 박스권, 저평가 가치주·배당주로 순환.
• 유효 업종 : 은행·에너지·방어적 생활소비재.

주목

시나리오 C — 스텝다운 조정

• 조건 : 10Y 4.25% 상단 돌파, 달러지수 > 106.
• 예상 : S&P 5,250대 지지력 재확인, 단기 3% 내외 하락 가능.
• 유효 업종 : 금·채권·단기 달러 ETF.


5. 핵심 변수 체크리스트

  • PCE 물가 (9/27) : 헤드라인 2.4% 이상 시 매파적 재해석.
  • 9월 ISM 제조업 (10/1) : 50 상회 → 연착륙 확증, 48 이하 → 불안 재점화.
  • 옵션 만기일 자금 흐름 : Gamma 포지션 해소 후 0DTE 옵션이 변동성 증폭 요인.
  • 국채 입찰(2/5/7년) : 커버비율·간접낙찰 비율에 주목.

6. 투자자 Q&A — 실전 포인트

Q1. AI & 반도체는 너무 비싼 것이 아닌가?

Forward PER 32배로 역사적 상단이지만, TAM, Gross Margin, 현금흐름 성장 속도가 아직 밸류에이션 압박을 상쇄. 단, Citi·BMO가 인텔·엔비디아 일부를 매도·홀드로 내리는 등 IB 간 의견 분화가 시작됐으므로 분할 접근 권고.

Q2. 연준이 진짜로 두 번 더 내릴까?

점도표 중앙값은 그렇다. 단, 파월이 재차 “데이터 의존”을 강조했으므로 PCE·고용·서비스 PMI 흐름이 달라지면 점도표도 수정 가능. 확률적으로 2회 > 1회 > 0회 순.

Q3. 국채 수익률 급등 시 매도 폭탄 가능성?

장기물 수급(12조 달러 신규발행 추정)과 연준 QT가 중첩될 때 4.3% 이상 급등 위험. 이 구간에서는 금융 스트레스 지수·BBB 스프레드를 동시 모니터링.


7. 최진식의 결론 및 전략 제안

단기적으로 “낙관적 관망세”가 유효하다. 연준이 유동성 해전을 시작하자마자 반도체·은행이 동시 강세를 보였고, 중국발 리스크도 완화되며 심리가 개선됐다. 그러나 금리 재상승·밸류에이션·정책 피로도라는 세 가지 상한선이 존재한다.

투자 체크리스트

  • 주가지수 레버리지 ETF 보다는 업종 로테이션 ETF로 민첩하게 대응.
  • 인덱스 선물은 5,250~5,480 레인지 상단·하단에서 스프레드 전략.
  • 채권 포트는 5년 이하 단기+TIPs 30% 비중 유지.
  • 현금성 자산은 머니마켓·Treasury ETF로 운용해 5%대 이자 수취.
  • 금·비법정 통화 (레이 달리오 언급) 7~10% 분산 편입.

결국 “실적(earnings)과 유동성(liquidity)의 교차점”이 맞닿는 지점에서만 지수 재돌파가 가능하다. 연준의 다음 회의 전까지는 데이터 드리븐 트레이딩에 집중하되, 변동성 확대 국면에서는 리스크 헤지(풋옵션, VIX ETN)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 2025 Choi Jin-sik. All rights reserved. 본 칼럼은 정보 제공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투자 손익의 책임은 독자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