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채 수익률 상승에 힘입어 달러 인덱스 반등

[환율·채권] 달러 인덱스(DXY)가 18일(현지 시각) 0.50% 상승하며 103선 중반으로 올라섰다. 미 국채 수익률이 동반 상승한 가운데, 연준이 빠른 속도로 금리를 추가 인하하기 어렵다는 관측이 달러를 지지했다.

2025년 9월 18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전일 “상품 가격 상승이 물가에 반영되고 있으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내년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밝혀 시장의 완화 기대를 억제했다. 이날 발표된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9월 필라델피아 연은 경기전망지수가 모두 예상을 웃돌면서 미 10년물 국채금리는 추가로 뛰어올랐다.

미 노동부는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전주 대비 3만3000건 감소한 23만1000건(예상 24만 건)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같은 날 공개된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제조업지수23.2로, 8개월 만의 최고치를 나타냈다(예상 1.7). 반면 8월 경기선행지수는 전월 대비 -0.5% 떨어져 넉 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주목

달러 인덱스 차트

연준 독립성 훼손 우려도 부각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리사 쿡 연준 이사를 해임하려는 시도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소속 스티븐 미란이 ‘겸직’ 형태로 연준 이사직을 맡을 가능성이 거론되면서다. 해외 투자자들은 중앙은행의 정치적 중립성 약화를 이유로 달러 자산을 줄일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전날 -25bp(0.25%포인트) 기준금리 인하 이후 연방기금선물 시장은 10월 28~29일 FOMC에서 추가 -25bp 인하 가능성을 93% 반영하고 있다.


유로·엔화 동향

유로/달러( ^EURUSD)는 0.20% 하락했다. 독일 재무청이 4분기 국채 발행 규모를 기존 계획보다 20% 늘어난 905억 유로(약 1070억 달러)로 제시한 것이 유로 약세 요인으로 작용했다. 다만 유럽중앙은행(ECB)이 사실상 금리 인하 사이클을 마무리한 반면, 연준은 연내 두 차례 추가 인하가 예상된다는 ‘정책 괴리’가 유로 낙폭을 제한했다.

주목

스왑시장은 10월 30일 ECB 통화정책회의에서 -25bp 인하 확률을 2%로만 반영하고 있다.

엔화/달러( ^USDJPY)는 0.59% 상승(엔화 약세)하며 1주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일본 니케이225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함에 따라 ‘위험자산 회피’ 수요가 줄어든 가운데, 미국 지표 호조로 미 국채금리가 오르자 엔화가 동반 약세를 보였다.

엔화는 전일 고이즈미 신지로 농림수산상이 집권 자민당 총재 경선 출마를 선언한 이후에도 일부 지지력을 유지해 왔다. 시장은 그가 재정확장에 상대적으로 호의적이며, 일본은행(BOJ)의 정책 경로에 과도하게 개입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귀금속 시장

12월물 금 선물(GCZ2)온스당 39.50달러(-1.06%) 하락했고, 12월물 은 선물(SIZ2) 역시 0.08% 내렸다. 달러 강세글로벌 채권금리 상승이 압박 요인으로 작용했다. S&P500 지수가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안전자산 수요도 줄었다.

금 가격 차트

다만 전일 FOMC가 기준금리를 추가로 25bp 인하하고, 연말까지 50bp 정도의 추가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점은 금·은 가격의 하방을 방어하는 요인으로 거론된다. 실제 근월물 금 선물(U25)은 17일 사상 최고가 3,698.60달러를 기록했으며, 은 가격도 14년 만의 고점을 찍었다.

금 ETF 보유량은 화요일 기준 2년 3개월래 최고치, 은 ETF 보유량은 수요일 기준 3년래 최고치로 늘었다.*ETF: 상장지수펀드(Exchange Traded Fund)


전문가 해설: 핵심 지표·용어 풀이

달러 인덱스(DXY)는 주요 6개 통화(유로, 엔, 파운드, 캐나다달러, 스웨덴크로나, 스위스프랑)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다. 수치가 오르면 달러가 강세임을 의미한다.

필라델피아 연은 지수는 동부 펜실베이니아·남부 뉴저지·델라웨어 지역 제조업체들의 경기 전망을 조사해 산출한다. 0을 기준으로 0 이상이면 ‘확장’, 0 이하면 ‘위축’을 뜻한다.

커리(Carry) 거래는 금리가 낮은 통화로 자금을 조달해 금리가 높은 통화나 자산에 투자하는 전략이다. 최근 일본 엔화의 약세는 미국·유럽과의 금리 차 확대와 관련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기자 관점

연준이 비둘기파적(완화적) 정책을 당분간 유지하더라도, 정치적 압력에 대한 불확실성이 시장 참가자들에게 새로운 변수로 다가오고 있다. 실제로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면서도 ‘연준 독립성 훼손’ 뉴스가 반복적으로 부각될 때마다 달러가 급락세로 전환하는 변동성이 연출된다. 투자자들은 지표 호조와 정치적 노이즈 간 상쇄 효과를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독일 정부의 대규모 국채 발행 확대는 ‘재정 건전성의 모범생’으로 불려온 독일이 긴축 일변도에서 벗어나 방위·인프라 투자에 나선다는 점에서 유로존 전체 채권시장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국채 공급 증가는 독일뿐 아니라 주변국 금리에도 상향 압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유럽 채권 ETF나 장단기 스프레드 전략 투자자는 이에 따른 포트폴리오 조정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단기적으로는 강한 경제지표와 국채수익률 상승이 달러를 지지하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정치 리스크와 연준 완화 기조가 달러의 상단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환·원자재·채권 등 다중 자산 간 상관관계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헷지 전략이 중요성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