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아프리카 호우로 코코아 수확 기대…선물가격 약세 지속

코코아 선물가격이 다시 한 번 하락 압력을 받고 있다. 18일 ICE 뉴욕(커먼드티 코드: CCK25) 5월 인도분은 전 거래일보다 56달러(-0.69%) 내린 톤당 8,026달러에, ICE 런던(코드: CAK25) 5월물은 88파운드(-1.39%) 떨어진 톤당 6,244파운드에 각각 마감했다.

2025년 9월 18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서아프리카의 우호적 기상 여건이 열매(팟·pod) 생육을 개선하며 4∼5월에 수확이 본격화되는 미드 크롭(mid-crop) 출하량 증가 기대감이 가격을 짓누르고 있다.

최근 5주간 방어적 흐름이 이어진 코코아 시장은 지난주 4개월여 만의 저점까지 밀렸고, 국제코코아기구(ICCO)는 2월 28일 2024/25년도 세계 코코아시장이 14만2,000톤 흑자를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는 4년 만의 첫 공급 과잉 전망이다. ICCO는 같은 보고서에서 2024/25년도 생산량이 전년 대비 7.8% 늘어난 484만 톤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주목

📊 재고·수급 동향

수급 완화 조짐은 재고에서도 확인된다. 뉴욕·필라델피아 등 미국 주요 항만에서 ICE가 모니터링하는 등록재고는 1월 24일 21년 만의 저점(126만3,493자루) 이후 꾸준히 회복해 지난주 178만4,552자루로 4개월 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코트디부아르(아이보리코스트) 미드 크롭 감소 우려가 하락 폭을 제한한다. 현지 무역업체 컨센서스에 따르면 올해 미드 크롭 규모는 40만 톤으로 전년(44만 톤) 대비 9% 감소가 예상된다. 정부 통계에 따르면 10월 1일 이후 3월 23일까지 누적 선적량은 143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으나, 증가율은 작년 12월의 35%에서 둔화됐다.

“북미·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 초고가 코코아가 최종 소비를 위축시키고 있다.” — 모딜리즈 CFO 루카 자르멜라 (2024년 2월 4일 실적발표)


🍫 수요 압력: 초콜릿 업체의 경고

Hershey와 Mondelez 경영진은 잇단 컨퍼런스콜에서 고가 원재료 부담을 호소했다. Mondelez는 코코아 가격 급등으로 초콜릿 소매가가 최대 50% 상승할 수 있다고 밝혔고, Hershey 역시 2월 6일 “기존 레시피를 다른 원료로 대체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라인딩(grindings)은 원두를 갈아 코코아 버터·분말을 추출하는 1차 가공량을 뜻한다. 이는 실질 소비 흐름을 가늠하는 지표로 쓰인다. 1월 9일 유럽코코아협회(ECA)는 2023년 4분기 유럽 그라인딩이 33만1,853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하며 4년여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아시아(-0.5%)와 북미(-1.2%)도 동반 부진했다.

주목

🌍 지역별 생산 변수

세계 2위 생산국 가나의 상황은 반대다. 가나 코코아위원회(Cocobod)는 지난해 12월 생산 전망을 61만7,500톤으로 다시 하향했다(8월 전망 65만톤 대비 −5%). 공급 축소는 가격 지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나이지리아는 2월 27일 1월 코코아 수출이 4만6,970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27% 급증했다고 발표했다. 나이지리아는 세계 5위 생산국으로, 추가 물량이 국제 시장에 공급될 경우 일시적 가격 압박이 불가피하다.


🔎 전문가 시각

시장 참여자들은 “서아프리카의 엘니뇨 완화와 강우 회복이 작황에 긍정적”이라면서도, 장기적으로는 기후 변화·가나 생산 감소·노동력 부족 등 구조적 리스크가 상존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또한 재고 회복세가 수급 균형을 향한 과도한 낙관론을 자극할 수 있어 변동성 확대에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국내 투자자라면 코코아 선물은 달러·파운드 기반으로 거래되므로 환율 리스크가 크다는 점, 그리고 선물 만기 구조상 롤오버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요약하면, 서아프리카 우호적 기후로 2024/25 공급 흑자 전망이 제기되고 있으나, 북반구 수요 둔화·가나 생산 차질·재고 회복 속도 등의 복합 변수가 가격 경로를 결정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