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채 금리 상승에 달러 강세…연준·ECB 통화정책 기대 엇갈려

달러 인덱스 0.50% 상승

달러화가 다시 힘을 얻고 있다. 18일(현지시간) 뉴욕 외환시장에서 달러 인덱스(DXY)는 전장 대비 0.50% 오른 수준에서 거래됐다. 미국 국채금리가 매파적(fhawkish) 톤을 띤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들의 발언으로 상승세를 보이면서 달러도 동반 강세를 나타냈다.

2025년 9월 18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Kansas City 연방준비은행의 제프리 슈미드(Jeffrey Schmid) 총재는 ‘추가 경제 지표를 확인한 뒤에야 금리 인하를 지지할 수 있다’고 밝혀 시장의 조기 완화 기대를 낮췄다. 그의 발언 직후 미 10년물 국채수익률이 상승했으며, 이는 달러 매수 심리를 자극했다.

같은 날 발표된 주간 실업수당 지표도 연준의 매파적 입장을 뒷받침했다. 초신청 건수는 4천 건 증가한 23만2천 건으로 시장 예상치와 일치했고, 계속 청구 건수는 4천 건 늘어난 186만3천 건으로 전망치(187만 건)를 밑돌았다. 고용시장이 여전히 견조하다는 신호다. 다만, S&P 글로벌 8월 제조업 PMI는 48.0으로 8개월 만의 최저치를 기록해 경기 둔화 우려도 공존했다.

주목

연준 인사들, ‘점진적 완화’와 ‘신중론’ 교차

슈미드 총재의 발언과 달리 Boston 연은의 수전 콜린(Susan Collin) 총재는 ‘연준이 곧 완화 사이클에 착수할 것’이라며 ‘점진적이고 체계적인 금리 인하’가 적절하다고 밝혔다. Philadelphia 연은의 패트릭 하커(Patrick Harker) 총재도 같은 맥락에서 ‘데이터가 예상에 부합한다면 9월 인하에 동의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연방기금선물(FedWatch)에 따르면, 시장은 9월 17~18일 FOMC에서 0.25%p 인하 가능성을 100%로, 0.50%p 인하 가능성은 29%로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기자가 보기엔 PMI 부진에도 불구하고 고용이 견실해 0.25%p 인하 시나리오가 우세하다.


유로존 지표 부진‧ECB 9월 인하 전망 98%

같은 날 유로/달러(EUR/USD)는 0.46% 하락했다. 유로존 2분기 임금상승률이 3.6%(전분기 4.7%)로 둔화되고, 8월 소비자신뢰지수도 -13.4로 예상치(-12.6)보다 악화되며 ECB의 완화 기대를 키웠다. 최근 공개된 ECB 7월 의사록은 ‘9월 회의에서 새로운 데이터와 전망을 바탕으로 정책 제약 수준을 재평가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에 스왑시장은 9월 12일 ECB 회의에서 0.25%p 인하 가능성을 98%로 반영 중이다.

S&P 글로벌에 따르면 8월 유로존 제조업 PMI는 45.6으로 전월 대비 0.2p 하락했지만, 복합 PMI는 51.2로 전월 대비 1.0p 상승했다. 서비스업이 선방했으나 제조업 부진이 지속돼 유로화 약세를 부추겼다.

주목

엔화 약세…日 PMI 개선에도 안전자산 수요 둔화

달러/엔(USD/JPY)은 0.90% 상승했다. 일본 닛케이225 지수가 3주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엔화의 안전자산 매력이 감소했다. 일본 8월 지분은행 제조업 PMI는 49.5(전월 대비 +0.4), 서비스 PMI는 54.0(전월 대비 +0.3)으로 경기 회복 조짐을 보였으나, 미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금리차 확대가 엔화 약세 압력을 증폭했다.

현재 스왑시장은 9월 20일 BOJ 회의에서 +10bp 인상 가능성을 0%로, 10월 30~31일 회의에서 11%로 반영하고 있다. 기자는 최근 일본의 임금·서비스물가 상승세를 고려하면 연내 소폭 인상 가능성을 열어둘 필요가 있다고 본다.


금·은 가격 급락…달러·금리·지정학 리스크 혼재

12월물 금 선물은 온스당 35.70달러(-1.40%) 하락, 9월물 은 선물은 0.430달러(-1.46%) 내렸다. 달러 강세와 글로벌 금리 상승, 그리고 슈미드 총재의 매파적 발언이 귀금속 가격을 압박했다. 은은 장 초반 상승했으나 미국 PMI 부진 발표 후 산업금속 수요 둔화 우려로 하락 전환했다.

한편, 콜린 총재의 비둘기파적(dovish) 발언은 ‘가치 저장 수단’으로서 금 수요를 지지했으며, 테헤란 하마스 고위 인사 암살에 대한 이란의 보복 가능성이 지속적인 지정학적 위험 프리미엄을 제공했다.


용어 설명

PMI(구매관리자지수)는 민간 조사기관이 제조업·서비스업 구매담당자 설문을 통해 산출하는 경기 선행지표다.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 50 미만이면 위축을 의미한다.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Continuing Claims)는 실업급여를 받는 인원이 얼마나 유지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고용시장 열기를 판단하는 단서가 된다.


기자 해설 및 전망

현재 외환시장은 ‘연준은 최소 0.25%p 인하, ECB는 0.25%p 인하’라는 방향성을 일단 가격에 반영한 상황이다. 그러나 PMI 등 실물지표의 방향성이 엇갈리는 만큼, 추후 발표될 9월 고용·물가 지표가 달러 강세 지속 여부를 결정지을 전망이다. 유로화는 단기적으로 약세를 면키 어렵지만, ECB가 일회성 인하에 그친다면 연말 반등 여지도 남아 있다. 엔화는 BOJ 정책 변화가 지연될수록 약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투자자들은 국채금리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달러 중심 포트폴리오 헤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금·은 가격이 단기 급락했지만,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한 장기 분산투자 수단으로서의 가치가 유효하다는 판단이다.

달러 인덱스 차트
유로/달러 차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