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틱톡 매각 시한 연장 가능성 시사

워싱턴 D.C. — 조 바이든 전 대통령 시절부터 이어져 온 중국 소셜미디어 플랫폼 ‘틱톡(TikTok)’의 미국 내 지분 매각 문제가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열린 케어 스타머 영국 총리와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매우 거래 성사에 근접했다”며 “현재 조건이 꽤 좋은 만큼 같은 조건을 바탕으로 시한을 연장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2025년 9월 18일,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튿날인 19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전화 통화에서 해당 사안을 직접 논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그는 기자회견 직후에도 “내일 시 주석과 대화를 나눌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6일 행정명령에 서명해, 2024년 제정된 ‘중국 소유권 강제 매각법’(Divestiture Law)의 시행 기한2025년 12월 16일까지 늦춘 상태다. 본래 이 법은 중국 기업 바이트댄스가 보유한 틱톡 지분을 미국 자본에 넘기도록 요구했으나, 유예가 추가되면서 ▶틱톡 사용자 데이터의 미국 내 보관 ▶알고리즘 투명성 확보 등을 둘러싼 협상이 상당 기간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주목

■ 핵심 용어 해설
틱톡(TikTok)은 중국 기업 바이트댄스(ByteDance)가 2016년 출시한 숏폼(15~60초) 동영상 플랫폼이다. 현재 전 세계 월간 활성 이용자(MAU)는 10억 명을 넘어섰으며, 미국 내 젊은 층의 주요 소셜미디어로 자리 잡았다. ‘중국 소유권 강제 매각법’은 ▲국가 안보상의 데이터 유출 위험 ▲중국 정부의 잠재적 검열·선전 가능성 등을 이유로 2024년 미 의회가 초당적 합의로 통과시킨 법률이다.

“우리는 중국과 거래 성사에 거의 다다랐다. 다만, 같은 조건을 유지한 채 기한을 약간 연장할 수 있을 것이다.” —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 협상 구도와 이해관계
미국 정부는 오라클·월마트·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 기술·유통 기업들이 틱톡 미국 사업부 인수의 우선협상 대상이 되기를 희망해 왔다. 반면 바이트댄스 측은 알고리즘 핵심 기술을 국가 안보 자산으로 간주하는 중국 규제 당국의 승인을 받아야만 매각을 완료할 수 있어, 최종 합의까지 복잡한 절차가 예상된다.

■ 정치·경제적 파장
트럼프 행정부 1기(2017~2021) 때부터 미국은 대중(對中) 기술 통제를 강화해 왔다. 이번 시한 연장은 ▶실질적인 중국 소유권 축소 압박 ▶미·중 갈등 완화 카드 ▶2026년 중간선거를 겨냥한 내부 지지층 결집 등 다층적 계산이 얽혀 있다는 평가다.

특히 뉴욕증권거래소(NYSE)·나스닥 등 미국 자본시장은 관련 소식에 민감하게 반응 중이다.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틱톡 지분 매각이 속도를 낼 경우, 인수 후보로 거론되는 미국 빅테크 기업 주가가 단기적으로 상승 모멘텀을 얻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주목

■ 전문가 시각
브루킹스연구소앤드루 메이어스 연구원은 “‘연장’이라는 표현은 협상을 지연시키는 동시에, 중국 측으로부터 추가 양보를 유도하려는 전략”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또한 “12월 16일까지 충분한 시간을 확보함으로써 미국 기업과 바이트댄스 모두 내부 승인 절차를 마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장 반응 — 이날 뉴욕 현지 시간 오전 장에서 오라클 주가는 2.3% 상승했으며, 월마트는 1.1% 올랐다. 다만 거래량은 평소 대비 20%가량 낮아, ‘관망 심리’가 두드러진 것으로 파악된다.


■ 향후 일정
19일 트럼프·시진핑 정상 통화 이후 미 상무부·재무부·국가안보국(NSA)이 공동으로 협상 내용 초안을 확정하면, 미 연방법원 법제화 절차와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CAC) 심사가 병행될 전망이다. 이는 연말까지 최소 세 차례 추가 협상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필자의 관점 — 현재 조건이 ‘꽤 좋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미·중 관계가 군사·외교적 대치와 별개로, 기술·경제 영역에서 부분적 협력을 도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미 국내 정치 일정 ▶중국 규제 리스크 ▶글로벌 데이터 거버넌스 갈등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어, 실무 협상 단계에서 변수가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측면에서는 틱톡 서비스가 단기간 내 중단될 가능성이 사실상 사라졌다는 점이 긍정적이다. 그러나 데이터 주권과 개인정보 보호 이슈는 여전히 해결 과제로 남아 있으며, 전문가들은 “최종 인수 주체가 누구든 알고리즘 투명성을 담보하는 별도 법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결론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연장 시사 발언은 틱톡 매각 드라마의 새로운 분기점을 형성했다. 남은 3개월간 정상 간 대화, 규제 당국 승인, 시장 참여자 이해관계가 교차하는 ‘다자(多者) 협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국내외 투자자들은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의 향방을 가늠하는 리트머스 시험지로 틱톡 이슈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