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0.25%p 금리 인하, 백악관 하셋 “신중한 첫걸음”

연준 0.25%p 인하, 백악관 하셋 “신중한 첫걸음”

2025년 9월 18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백악관 경제 고문인 케빈 하셋(Kevin Hassett)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25bp) 인하한 결정에 대해 “좋은 첫 단계”라고 평가했다.

하셋 고문은 같은 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결국 중요한 것은 완만하고도 신중한 속도로 목표에 다가가면서 실시간으로 경제 지표를 주시하는 것”이라며, 이번 인하 폭이 적절하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이어 “그것이야말로 신중한 정책(prudent policy)이자 연준이 추구해야 할 접근법”이라고 강조했다.

주목

25bp 인하는 광범위한 합의가 이뤄진 결과라고 본다.” — 케빈 하셋, 2025년 9월 18일 CNBC 인터뷰 중


• 용어 해설1basis point(bp)는 금리 변동 폭을 나타내는 단위로, 1bp = 0.01%p를 의미한다. 따라서 25bp는 0.25%포인트에 해당한다. 금융시장에서 미세 조정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지만, 일반 투자자에게는 생소할 수 있어 추가 설명을 덧붙였다.

• 연준의 ‘점진적 인하’ 기조 — 최근 몇 년간 연준은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와 고용 시장 강도를 모두 감안해, “데이터에 기반한 완만한 금리 조정” 전략을 유지해 왔다. 이번 0.25%포인트 인하 역시 그 연장선상에 있다는 것이 하셋의 해석이다. 그는 “데이터 흐름을 확인하면서 속도 조절을 하는 것”이 정책 신뢰도를 높인다고 부연했다.

• 내부 의견차 — 하셋은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내부, 특히 새로 취임한 연준 이사 스티븐 미란(Steven Miran) 등을 포함한 일부 인사들이 더 큰 폭의 금리 인하를 주장했음을 인정했다. 그러나 그는 “25bp 인하는 상당히 폭넓은 합의(common ground)”라며, 행정부와 연준 간 의견 차에도 불구하고 현 결정에 힘을 실었다.


• 케빈 하셋은 누구인가 — 하셋은 ‘세금개혁의 설계자’로 불리며,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대통령 수석 고문으로서 통화·재정·무역 전반에 걸친 정책 조언을 제공하고 있다. 그가 공개석상에서 연준 결정을 지지한 것은, 행정부와 중앙은행의 관계를 둘러싼 긴장감을 완화하려는 의도라는 해석도 나온다.

주목

• 전문가 관전 포인트 — 시장은 25bp 인하를 이미 상당 부분 선반영했지만, “속보다는 방향”이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하셋 발언은 향후 추가 인하 가능성을 전면 배제하지 않으면서도, 단번에 큰 폭의 완화로 전환할 가능성은 낮다는 시그널로 읽힌다.

• 국내 투자자에게 주는 시사점 — 미국 정책 금리는 글로벌 유동성을 좌우하기 때문에, 달러·원 환율, 국고채 금리, 코스피 투자 심리 등에 직·간접적 파급 효과가 있다. 특히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 격차가 벌어질 경우, 자본 유출입 속도와 방향에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경제지표 발표 일정과 연준 인사들의 발언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하는 이유다.


1편집자 주 — 본 기사는 AI의 초안을 바탕으로 전문 에디터의 검수를 거쳐 게재됐으며, 기사 내용은 Investing.com의 원문을 충실히 번역·반영하였다.